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Ⅰ. 서론 13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1.3. 선행연구 동향 분석 및 연구의 차별성 19

1.4. 연구 흐름도 22

1.5. 용어 정리 23

Ⅱ. 유목주의와 포스트 휴먼 그리고 모빌리티스 24

2.1. 인류의 이동과 포스트 휴먼의 개념 이해 25

2.1.1. 인류와 이동의 상호관계와 확장 26

2.1.2. 이동의 탈구와 초월적 포스트 휴먼 특성 이해 28

2.2. 모빌리티에서 모빌리티스까지 35

2.2.1. 모빌리티스 개념 이해 35

2.2.2. 모빌리티스 현대적 가치 38

2.3. 모빌리티스적 장소와 이동 45

2.3.1. 모빌리티스적 장소의 정체성 45

2.3.2. 예술 양식에서 나타나는 모빌리티스적 가치 47

2.3.3. 장소의 가치를 형성하는 모빌리티스적 요소 52

Ⅲ. 사이 공간의 확장과 '인터스페이스' 56

3.1. 물리적 네트워크 : 사이 공간의 개념과 확장 57

3.1.1. 사이공간 개념 이해 58

3.1.2. 사이 공간에서 인터스페이스로 확장 60

3.2. 다차원적 네트워크 : '인터스페이스' 66

3.2.1. '인터스페이스' 개념 이해 66

3.2.2. 인터스페이스의 현대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간 사례 70

3.2.3. 인터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특성 75

3.2.4. 모빌리티스적 가치의 요소와 인터스페이스 특성 연결 79

3.3. 모빌리티스적 장소 가치를 통해 본 인터스페이스 특성 80

3.3.1. 유동적 상호작용의 공진화적 변화 80

3.3.2. 임의로운 탈동시적 네트워크 81

3.3.3. 시각적 몰입을 통한 비물질화 82

3.3.4. 다채로운 가치의 수용적 노드 83

Ⅳ. 글로벌 오피스 공간 사옥 사례를 통한 인터스페이스 사례분석 85

4.1. 글로벌 오피스 사옥 86

4.1.1. 공간의 확장과 오피스 공간 86

4.1.2. 오피스 공간의 자율적 유연성 : 문화적 환경 전환 87

4.2. 사례분석의 기준 및 분석 방법 89

4.2.1. 사례분석 대상 및 범위 89

4.2.2. 사례분석 방법 90

4.2.3. 사례분석 틀 90

4.3. 글로벌 오피스 공간 사옥 사례분석 92

4.4. 소결 108

Ⅴ. 결론 110

참고문헌 116

Abstract 119

표목차

〈표 1-1〉 유목주의와 모빌리티 관련 선행연구 목록 19

〈표 1-2〉 사이 공간 관련 선행연구 20

〈표 2-1〉 포스트 휴먼적 배경의 담론 선행연구 내용 34

〈표 2-2〉 서호도, Home within Home 48

〈표 2-3〉 스튜디오 드리프트, Franchise Freedom 50

〈표 2-4〉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작품 51

〈표 2-5〉 다의적 가치로 변모되는 관계 53

〈표 2-6〉 유연한 관계의 조화로운 연결 54

〈표 2-7〉 파노라마적 연속과 동적 변화 54

〈표 2-8〉 경계의 탈피적 초월 55

〈표 3-1〉 구찌 코스모고니 버추얼 팝업 71

〈표 3-2〉 싱가포르 창이 공항 73

〈표 3-3〉 라스베이거스 MSG 스피어 75

〈표 3-4〉 동시적 다차원의 영역 76

〈표 3-5〉 상호관계의 유연한 연결의 콘텐츠 77

〈표 3-6〉 몰입적인 멀티 센서리 경험 77

〈표 3-7〉 문화 및 사회 허브의 중심지 78

〈표 3-8〉 유동적 상호작용의 공진화적 변화 81

〈표 3-9〉 임의로운 탈동시적 네트워크 82

〈표 3-10〉 시작적 몰입을 통한 비물질화 83

〈표 3-11〉 다채로운 가치의 수용적 노드 84

〈표 4-1〉 사례분석 대상 리스트 89

〈표 4-2〉 사례분석 틀 1 90

〈표 4-3〉 사례분석 틀 2 91

〈표 4-4〉 사례분석 1 92

〈표 4-5〉 사례분석 2 94

〈표 4-6〉 사례분석 3 96

〈표 4-7〉 사례분석 4 98

〈표 4-8〉 사례분석 5 100

〈표 4-9〉 사례분석 6 102

〈표 4-10〉 사례분석 7 104

〈표 4-11〉 사례분석 8 106

〈표 4-12〉 사례분석 종합 108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흐름도 (연구자 작성) 22

〈그림 2-1〉 최초의 인류와 이동 목적과 발전 (연구자 작성) 26

〈그림 2-2〉 물리적 이동과 디지털 이동, 이동의 확장 (연구자 작성) 28

〈그림 2-3〉 인간과 기술 혼성, 포스트휴먼 (연구자 작성) 29

〈그림 2-4〉 하이데거 Enframing 관점 (연구자 작성) 31

〈그림 2-5〉 모빌리티스 이동과 사회 연결성 (연구자 작성) 35

〈그림 2-6〉 모빌리티 렌즈를 통한 모빌리티 패러다임 (연구자 작성) 42

〈그림 2-7〉 장소의 정체성 변화 (연구자 작성) 46

〈그림 2-8〉 서도호, Home within Home 47

〈그림 2-9〉 Franchise Freedom 49

〈그림 2-10〉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50

〈그림 2-11〉 장소의 가치를 형성하는 모빌리티스적 요소 (연구자 작성) 52

〈그림 3-1〉 요시노부 아시하라(Yoshinobu Ashihara) 소니 빌딩 58

〈그림 3-2〉 모바일 네트워킹을 통한 이동 공유 시스템 61

〈그림 3-3〉 다기능적 허브로 변모되는 사이공간 63

〈그림 3-4〉 모바일 기술을 통한 연결성 강화 63

〈그림 3-5〉 인터스페이스 공간적 개념 전개 69

〈그림 3-6〉 구찌 코스모고니 버추얼 팝업(좌), 구찌 가옥 (우) 70

〈그림 3-7〉 싱가포르 창이 공항 71

〈그림 3-8〉 싱가포르 창이 공항 Jewel 이미지 72

〈그림 3-9〉 라스베이거스 MSG 스피어 외관 73

〈그림 3-10〉 MSG 스피어 U2 공연 74

〈그림 3-11〉 모빌리티스적 가치의 요소와 인터스페이스 특성 연결 (연구자 작성) 79

초록보기

 "산업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세계는 움직이기 시작했다. 디지털화, 가상 세계화, 개인화라는 개념들이 기존의 경계를 무너뜨린 새로운 지평선을 활짝 열게 되었다. 인류가 역사상 일찍이 지금처럼 유동성이 요구되고 장려된 적이 없었다."

이동성은 인류에게 부여된 가장 필수적인 자유와 권리의 초석이며, 산업 시대의 종말과 함께 디지털화, 가상 세계화, 개인화라는 개념들이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가고 있다. 이동성은 현대 생활과 사회구조 내에서 중추적인 힘으로 진화하며, 사회적 관계는 끊임없는 움직임과 활동을 통해 복잡하게 형성되고, 사회관계를 장소에 고정된 것이 아닌 순환하는 실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사람들 간에 다양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였다. 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셀은 인간을 '여행하는 인간', 즉 '호모 비아토르'로 묘사하고, 인간의 존재를 시간과 공간 속에서의 끊임없는 여정으로 보았으며, 마르셀의 철학의 '노마디즘(Nomadism)'을 포함, 영적, 실존적 차원까지 확장하여, 인간이 삶의 여정에서 이동은 본질적인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며, 경험을 형성하고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생활 전반에 걸친 모든 이동과 유동적인 것들을 사회학자인 존 어리는 '모빌리티(Mobility)'라 정의하였다. 모빌리티(Mobility)를 수반으로 단순한 물리적 움직임을 넘어 경제적·문화적·사회적·환경적 역학을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를 '모빌리티스'로 칭하였다. 모빌리티스는 과거 장소들 간의 공간적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단순한 이동, 물리적 행위가 아닌 유목주의 개념을 근간으로 물리적 현상을 넘어서 지적체계의 전환점인 모빌리티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관계를 거부한다. 이는 변화적이고 공진화적 관계를 강조하며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된 포스트 휴먼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모빌리티 시스템이 발현되는 오늘, 모빌리티의 발달로 공간도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사회적 공간으로 변화되고 정보통신 기술은 '부재적 현존'에서 '연결된 현존'으로 전환되며, 경계를 흩트린다. 이는 이동 중에도 사회적 네트워크가 유지되는 '사이 공간(Interspace)'으로 나타나며, 물리적 장소로써 동·시간대에 모여 일하던 사무 환경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여 동시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업무뿐 아니라 휴식하며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매개하는 변화적 공간 즉, '인터스페이스'로 변화되고 있다. 이동성은 특정된 업무 공간의 범주를 넘어 시·공간의 경계가 흐려진 새로운 공간이 제시됨에 따라 '모빌리티스' 개념은 교통 혁신, 원격 근무, 물리적 장소 융합이 이루어지고 동적 공간의 형태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오피스 공간에서 나타나는 '인터스페이스'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효과적인 매개체 기능을 할 것이라 사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존 어리의 모빌리티스 개념을 연구의 토대로 이동은 단순한 물리적 움직임을 넘어 경제, 문화, 사회적 다양한 관계적 네트워크를 형성케 하는 모빌리티스적 가치의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확장된 이동을 통해 관계적 네트워크를 지속적인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며, 이동 중에도 관계적 네트워크가 유지되는 '인터스페이스' 특성을 도출하여 앞서 제시한 모빌리티스적 요소와 연결한다. 즉, 만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유지되는 관계를 통해 동시성을 생성하고 동적, 트랜스 결합체인 '인터스페이스'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모빌리티스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터스페이스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며, 범위와 방법을 서술한다. 다음으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과 시사점을 작성하고, 연구의 전체적인 전개를 명시한다.

2장에서는 인류와 이동성을 근간으로 연구한 학자들의 유목주의의 개념을 통하여 이동의 의미와 발전의 연관성을 파악하며, 인간과 이동의 상호관계 개념을 다룬다. 이후, 현대 사회와 기술의 근본적인 상호 작용에 이동성이 강조되는 모빌리티스에 대해 고찰하며, 존 어리의 『모빌리티스』 를 바탕으로 앞의 개념을 구체화할 것이다. 이를 이론적 기저로 하여 이동성이 장소와 환경을 보고 향유하는 방식의 변화에 따른 장소의 가치가 전환되는 것을 파악하며, 모빌리티스적 사유가 드러나는 예술 양식을 표현한 사례로 하여 장소 가치를 전환 시키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모빌리티 패러다임 발전에 영향을 받는 현대적 장소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며, 이에 따라 전환되는 '인터스페이스' 개념을 고찰할 것이다. '사이 공간'의 개념을 이해하고, 오늘날의 사례를 통해 '인터스페이스'로 확장과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또한, 현대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례를 토대로 '인터스페이스'의 특성을 도출한 후, 앞서 제시한 장소 가치를 변모시키는 모빌리티스적 요소와 결합하여 최종적인 장소 특성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최종적인 '인터스페이스' 특성을 오피스 공간 사례에 접목하여 분석한다. 과거 직원의 근태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의 장소와 관리와 통제의 장소에서 탈피되어 연결과 변화를 거듭하는 다의적인 장소로 전환을 살펴보며, 분석된 결과를 통해 동적 장소로서 '인터스페이스'가 이루는 상관관계를 정리하였다.

5장은 연구내용을 최종적으로 요약 및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서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오피스 공간 사례는 새로운 만남,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업무 공간의 범주를 넘어 동적이고 공진화적인 장소로 모빌리티스적 가치와 연계되어 있음을 전제하였다. 모빌리티스가 함의한 장소적 가치로 '인터스페이스'를 바라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빌리티스 개념은 새로운 연결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전통적 경계를 흐려지게 한다. 즉, 다양한 관계의 상호 연결을 통해 경계를 허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역할을 정의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 모빌리티스적 장소 가치로써 '인터스페이스'를 논하기 위해 도출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장소 가치를 형성하는 모빌리티스적 요소는 '다의적 가치로 변모되는 관계', '다양한 관계의 유연한 연결', '파노라마적 연속과 동적 변화', '경계의 탈피적 초월'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현대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간 사례를 토대로 분석한 '인터스페이스 형성 특성'은 '동시적 다차원의 영역','상호관계의 유연한 연결의 콘텐츠', '몰입적인 멀티 센서리 경험', '문화 및 사회 허브의 중심지'로 나타났다. 앞의 특성들을 결합하여 도출한 모빌리티스적 장소 가치가 드러나는 '인터스페이스' 특성은 '유동적 상호작용의 공진화적 변화', '임의로운 탈동시적 네트워크', '시각적 몰입을 통한 비물질화', '다채로운 가치의 수용적 노드'로 정리되었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모빌리티스적 장소 가치가 드러나는 '인터스페이스' 다양한 관계의 연결되는 교차점으로 경험과 소통을 이루며, 공동체적 결속과 동시에 독립적인 개인으로써 다양성을 고양 시키고, 상호관계를 지속해 나갈 수 있는 다의적인 장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가지 특성은 어느 하나에 편향되어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닌 서로 상호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받고 있으며, 궁극적인 역할과 의미로 '인터스페이스'는 다의적 환경을 제공함으로 동적인 연결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빌리티스를 공간적으로 해석하여 오늘날 '현대적 장소' 가치의 확장과 변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터스페이스'를 이동과 가상의 기술적 기능을 수행하는 허상의 공간을 논한 것이 아닌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변모되는 오피스 공간들이 '인터스페이스'로 확장되어 상호 교류가 이루어지며 고정된 정체성에서 탈피되어 역동적이고 다의적 장소의 가치 획득한다는 의미적 연구의 척도를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오피스 공간은 능동적인 커뮤니티로서 관계를 기반하며 '인터스페이스'의 가치를 지니며, 상호작용, 교류가 일어나는 동적 과정의 결과로 모빌리티스적 가치를 지녔으며, 단순한 거점이 아닌 다양한 관계로 채워짐을 통해 지속적인 재구성과 변화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했으리라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사례가 대기업에 치중되어 소규모의 다양한 오피스 공간 사례를 분석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빌리티스의 현대적 가치가 기술과 사람, 사람과 장소를 관계를 해석할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길 바라며, 이와 연계된 '인터스페이스' 특성이 하나의 특정 장소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관계의 조화를 이루는 탈동시적 네트워크의 취지에 긍정적인 영향으로써 작용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