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6
Ⅰ. 서론 18
1. 연구 배경 18
2. 연구 목적 20
3. 연구의 검토 21
4. 연구범위 및 방법 24
Ⅱ. 감정표현 27
1. 감정표현의 개념 및 정의 27
2. 감정표현의 종류 29
가. 심리적인 표현 29
나. 생리적인 표현 31
다. 사회·문화적인 표현 33
3. 예술에서의 감정표현 34
가. 음악 36
나. 무용 37
다. 회화 39
라. 도예 및 조각 43
Ⅲ. 분노 46
1. 분노의 개념 46
가. 분노의 정의 47
나. 분노의 형성 51
2. 분노의 표현 56
가. 분노 표현의 특징 56
나. 분노 표현의 구분 57
3. 현대인의 분노 59
가. 현대인의 분노 의미 59
나. 현대인의 분노 표현 61
4. 분노의 예술표현 64
가. 분노와 예술의 역사 64
나. 분노 미학 65
다. 동·서양 분노 미술표현 67
5. 표현 사례 70
가. 외젠 들라크루아(Ferdinand Victor Eugène Delacroix, 1798~1863) 70
나. 자크-루이 다비드(Jacques-Louis David, 1748~1825) 70
다. 바너비 바퍼드(Barnaby barford, 1977~) 71
Ⅳ. 표현주의 72
1. 표현주의 개념 및 특징 72
가. 표현주의 개념 72
나. 표현주의 특징 73
2. 표현주의 이론적 분석 79
가. 광의 표현주의(Extensive Expressionism) 80
나. 협의 표현주의(Intensive Expressionism) 83
3. 표현주의 표현 분석 87
가. 표현주의 표현의 특징 87
나. 표현 방법 88
4. 표현주의 표현 사례 92
가.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 92
나. 에곤 실레(Egon Schiele) 94
다. 에밀 놀데(Emil Nolde) 95
라. 피터 불코스(Peter Voulkos) 97
마. 루디 오티오(Rudy Autio) 99
Ⅴ. 연구작품 제작 101
1. 제작 의도 101
가. 분노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 101
나. 작품에 분노 감정의 표현 103
2. 표현주의 개념 접근법 110
가. 접근의 구조 110
나. 접근 방법 113
3. 제작 과정 117
가. 성형기법 및 흡수성 재료 117
나. 안료 121
다. 시유 및 번조 129
Ⅵ. 작품 분석 131
1. 시각적 분석 131
가. 점, 선, 면 131
나. 질감 133
다. 대칭 및 중첩 135
2. 시리즈 작품 설명 137
가. 규칙 형태 및 불규칙 특징 138
나. 분노 유형 시리즈 138
Ⅶ. 결론 168
참고문헌 173
Abstract 179
〈표 1〉 감정의 심리 31
〈표 2〉 생리학적인 특징 33
〈표 3〉 사회문화적 감정 34
〈표 4〉 심리적 측면에서 분노의 정의 49
〈표 5〉 철학적 분노의 정의 51
〈표 6〉 분노의 형성 52
〈표 7〉 외부 원인 56
〈표 8〉 조너선 H. 터너의 분노 표현 형태 57
〈표 9〉 행동의 분노 표현 59
〈표 10〉 분노의 긍정적 효과 60
〈표 11〉 다리파 청기사파 신즉물주의 특징 86
〈표 12〉 바이러스 및 세포 형태 활용 106
〈표 13〉 표현주의 색채 응용 117
〈표 14〉 흡수성 소재 섬유 비교 120
〈표 15〉 D1 백자토 및 안료 혼합 시편 122
〈표 16〉 D1 백자토, 슈퍼슬립, 백자. 흑토 및 안료 혼합 시편 122
〈표 17〉 태토(초벌 전) 및 안료 CM500A 칠한 시편 123
〈표 18〉 태토(초벌 전) 및 안료 CM600A 칠한 시편 123
〈표 19〉 태토(초벌 전) 및 안료 CM700 칠한 시편 124
〈표 20〉 태토(초벌 전) 및 안료 CM500A+M700 칠한 시편 124
〈표 21〉 태토(초벌 전) 및 안료 CM700+M700 칠한 시편 125
〈표 22〉 태토(초벌 후) 및 안료 CM500A 칠한 시편 125
〈표 23〉 태토(초벌 후) 및 안료 CM600A 칠한 시편 126
〈표 24〉 태토(초벌 후) 및 안료 CM700 칠한 시편 126
〈표 25〉 백조형토 초벌 후 안료색 127
〈표 26〉 흑토 초벌 후 안료색 127
〈표 27〉 사용한 물감 128
〈표 28〉 유색 유약 130
〈표 29〉 규칙 형태 및 불규칙 특징 138
〈표 30〉 회피(回避)형 분노 작품 분석 139
〈표 31〉 비겁(卑怯, cowardice)형 분노 작품 분석 143
〈표 32〉 내향(內向)적 분노 작품 분석 146
〈표 33〉 비난(非難)형 분노 작품 분석 148
〈표 34〉 고의(故意)적 분노 작품 분석 150
〈표 35〉 분출(噴出)형 분노 작품 분석 154
〈표 36〉 삐침형 분노 작품 분석 159
〈표 37〉 흥분(興奮)형 분노 작품 분석 162
〈표 38〉 작품의 형태와 장식1 166
〈표 39〉 작품의 형태와 장식2 167
〈그림 1〉 이론적 연구 방법 25
〈그림 2〉 표현주의 적용을 통한 접근법 26
〈그림 3〉 실기연구 방법 26
〈그림 4〉 로버트 플루치크의 '정서적 원반' 31
〈그림 5〉 로버트 플루치크의 '감정의 바퀴' 31
〈그림 6〉 감정 지도(Bodily maps of emotions) 33
〈그림 7〉 쇼팽 녹턴 Op.9, No.1, 1-8 37
〈그림 8〉 쇼팽 녹턴 Op.9, No.1, 19-26 37
〈그림 9〉 마사 그레이엄, 1894~1991 38
〈그림 10〉 마사 그레이엄, 1894~1991 38
〈그림 11〉 Emptied Gestures, 2018 39
〈그림 12〉 Harmonic Series,Prospect 3+, 2015 39
〈그림 13〉 웨민쥔(岳敏君), Liberty guides the people, 1996 40
〈그림 14〉 김대현, 자존 (shlf-respect), 2023 40
〈그림 15〉 마일즈 존스턴, Shelter, 2018 41
〈그림 16〉 마일즈 존스턴, Dualism, 2018 41
〈그림 17〉 마일즈 존스턴, liminal, 2018 41
〈그림 18〉 요제프 알베르스, Homage to the Square: Departing in Yellow, 1964 42
〈그림 19〉 요제프 알베르스, Homage to the Square, 1969 42
〈그림 20〉 요제프 알베르스, Homage to the Square, 1970 42
〈그림 21〉 김택상, Breathing painting, 2022 42
〈그림 22〉 김택상, A sky full of stars, 2023 42
〈그림 23〉 존슨 창, 〈Open Mind I〉, 2016 43
〈그림 24〉 존슨 창, 〈Open Mind III〉, 2016 43
〈그림 25〉 존슨 창, 〈Ooen Mind V〉, 2016 43
〈그림 26〉 향경(向京), 평범한 사람-무한 기둥(凡人-無限柱) 44
〈그림 27〉 뇌자기공명영상 결과(Bayesian Spatial Point Process model) 분노 반응과 관련되는 뇌 영역 47
〈그림 28〉 분노의 표현을 위한 대처 결정 과정 48
〈그림 29〉 분노 경험에 이르는 심리적 과정 49
〈그림 30〉 Berkowitz의 인지적-신연합 모델(Cognitive-Neoasso-ciationistic model) 54
〈그림 31〉 부정적 정서 경험과 관련된 내분비계 활동 59
〈그림 32〉 怒吼吧, 中國! 李桦, 1935 68
〈그림 33〉 血衣, 王式廓, 1950년대 68
〈그림 34〉 achilles 69
〈그림 35〉 아버지의 저주, 1777, 130*162 69
〈그림 36〉 외젠 들라크 루아, Médée furieuse, 1862 71
〈그림 37〉 자크루이 다비드, The Anger of Achilles, 1819 71
〈그림 38〉 바너비 바퍼드, Wrath, 2012 71
〈그림 39〉 반 고흐, 해바라기, 1880 76
〈그림 40〉 반 고흐, 까마귀가 나는 밀밭, 1890 76
〈그림 41〉 카임 수틴, Butcher Boy, 1919~1920 77
〈그림 42〉 카슈의 전경 Landscape at Cagnes, 1918 77
〈그림 43〉 칸딘스키 Composition Ⅷ 구성 8, 1923 79
〈그림 44〉 칸딘스키 노랑 빨강 파랑 Gelb Rot Blau, 1960 79
〈그림 45〉 케테 콜비츠, The Mothers, 1922 82
〈그림 46〉 브루노 타우트, 유리전시관 (Glaspavillon), 1914 82
〈그림 47〉 칼 슈미트 로틀루프, The Factory, 1909 84
〈그림 48〉 칼 슈미트 로틀루프, Tower in the Park, 1910~1912 84
〈그림 49〉 파울 클레, Hammamet with Its Mosque, 1914 85
〈그림 50〉 파울 클레, Mount Niesen, 1915 85
〈그림 51〉 오토 딕스 (Otto Dix),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1927~1928 86
〈그림 52〉 오토 딕스, 프라하 거리(Prague Street), 1920 86
〈그림 53〉 프란츠 마르크, 푸른 말, 1911 89
〈그림 54〉 프란츠 마르크, 싸우는 형상들, 1914 89
〈그림 55〉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Street Berlin, 1913 91
〈그림 56〉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Five Women in the Street, 1913 91
〈그림 57〉 에리히 헤켈, 천을 두른 여인(Woman in Cloth), 1912 92
〈그림 58〉 The Scream, 1983 94
〈그림 59〉 The Sick Child, 1985-1986 94
〈그림 60〉 Puberty, 1894-1895 94
〈그림 61〉 Self-Burning Cigarette, 20세기 초 94
〈그림 62〉 Girl with Black Hair, 1910 95
〈그림 63〉 The Small City II, 1912 95
〈그림 64〉 self portrait, 1911 95
〈그림 65〉 Sonnenblumen I, 1911 95
〈그림 66〉 Free Spirit 1906 97
〈그림 67〉 Pentecost, 1909 97
〈그림 68〉 Dance Around the Golden Calf, 1910 97
〈그림 69〉 Crucifixion, 1911-1912 97
〈그림 70〉 무제(untitled), 1956 98
〈그림 71〉 흔들리는 도자기 (Rocking Pot), 1956 98
〈그림 72〉 나는 블랙(Flying Black), 1958 98
〈그림 73〉 말을 탄 여성(Women on Horseback), 1983 100
〈그림 74〉 오디세움 (Odysseum), 1993 100
〈그림 75〉 대형 선박(Massive vessel, "Icarus"), 1991 100
〈그림 76〉 바이러스 형태 적용한 과정 105
〈그림 77〉 형태의 모티브 105
〈그림 78〉 적색 응용 108
〈그림 79〉 CM700(검은색), CM500A(빨간색), D45(보라색), D93A(노란색) 고화도 안료 109
〈그림 80〉 가시 세부 표현 109
〈그림 81〉 표현주의 접근 방법 116
〈그림 82〉 점토판 제작 과정 118
〈그림 83〉 점토판 성형 후 코일링(coiling) 기법적용 제작 과정 118
〈그림 84〉 지지대 제작 후 결합 완성 119
〈그림 85〉 의료용 거즈를 활용한 조형 제작 과정 120
〈그림 86〉 삼베(리넨)을 활용한 조형 제작 121
〈그림 87〉 채색 과정 1 129
〈그림 88〉 채색 과정 2 129
〈그림 89〉 화장토 혼합된 효과 129
〈그림 90〉 연빨간색 유약을 시유 130
〈그림 91〉 시유 및 번조 과정 130
〈그림 92〉 점, 선, 면의 표현 요소 133
〈그림 93〉 분노의 반응에 대한 다양한 질감 표현 135
〈그림 94〉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세부적인 표현 137
〈그림 95〉 회피형 분노 No. 1 139
〈그림 96〉 회피형 분노 No. 2 140
〈그림 97〉 회피형 분노 No. 3 141
〈그림 98〉 비겁형 분노 No. 1 143
〈그림 99〉 비겁형 분노 No. 2 144
〈그림 100〉 내향적 분노 No. 1 146
〈그림 101〉 내향적 분노 No. 2 147
〈그림 102〉 비난형 분노 No. 1 148
〈그림 103〉 비난형 분노 No. 2 149
〈그림 104〉 비난형 분노 No. 3 149
〈그림 105〉 고의적 분노 No. 1 151
〈그림 106〉 고의적 분노 No. 2 152
〈그림 107〉 고의적 분노 No. 3 153
〈그림 108〉 고의적 분노 No. 4 153
〈그림 109〉 분출형 분노 No. 1 155
〈그림 110〉 분출형 분노 No. 2 155
〈그림 111〉 분출형 분노 No. 3 156
〈그림 112〉 분출형 분노 No. 4 157
〈그림 113〉 삐침형 분노 No. 1 159
〈그림 114〉 삐침형 분노 No. 2 160
〈그림 115〉 삐침형 분노 No. 3 160
〈그림 116〉 흥분형 분노 No. 1 163
〈그림 117〉 흥분형 분노 No. 2 163
〈그림 118〉 흥분형 분노 No. 3 164
〈그림 119〉 흥분형 분노 No. 4 164
산업화에 이은 정보화 등의 사회적 현상과 발전을 통해 현대인들은 전근대와 비교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이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경제적 차이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사회적으로 심각한 양극화를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부정적 감정을 형성하게 하였다. 특히, 분노는 그러한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중 하나이다. 사소한 일에도 화를 참지 못하고, 상황에 맞지 않은 공격적 언어나 행동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분노조절장애)는 현대사회에서 흔한 정신질환이기도 하다.
그러나 연구자는 분노가 단지 양극성 장애, 조증(躁症) 상태,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등의 행동장애로서의 부정적인 증상만이 아니라고 인지하고 있다. 자신의 권리나 공중도덕이 침해당하고 있을 때의 적절한 분노는 본인을 표현하고 자아를 보호할 수 있는 용기를 주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고 생각한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노를 맹목적으로 억누르거나 완전히 통제하기보다는 분노의 가치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상황에 적합한 분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에 따른 분노의 필요성을 인정하기 위해 분노로 인한 피해와 결과 등 다양한 분노의 종류와 특징, 원인을 문헌적 자료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한다. 이를 표현주의적 접근법에 기반한 조형적 표현 요소로 변환 후 도자의 형태와 장식을 통해 상황에 따른 적절한 긍정적인 분노의 조형을 표현하고자 한다.
제I장 서론에서는 「분노 감정을 모티브로 한 도자표현연구」를 위한 연구 배경과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II장에서는 인간의 감정표현에 관한 개념 및 정의와 종류, 그리고 예술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의 종류를 소개하며, 감정표현의 다양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제III장에서는 연구의 핵심 주제인 분노의 개념 이해를 위해 분노의 정의, 원인을 심리학, 철학, 사회학적 측면에서 조사 및 분석한 일반적 고찰을 진행한다. 또한, 인간 사회에서 등장하는 분노의 표현을 분노의 특징과 구분, 동양과 서양미술에서 등장하는 분노의 다양한 표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IV장에서는 본 연구의 작품 표현을 위한 접근법으로 적용된 독일 표현주의를 살펴본다. 내면에 잠재된 강렬한 표현 욕구를 원색의 화면으로 표현한 미술사조인 독일 표현주의의 특징과 표현 방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주관적인 색채와 과장된 형태 등 표현주의에서 강조되는 '개인의 내면 표현'을 위한 표현 방식을 분노 감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접근방식으로 구조화하였다.
제V장에서는 이전 장들에서 분석되었던 이론적 근거들을 바탕으로 분노의 다양한 유형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의도와 접근법, 그리고 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노의 형태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주장한 '분노는 영혼의 질병'이라는 개념과 '전염성', 인체의 생리적 반응 등을 토대로 확인했을 때 분노가 바이러스 및 세포의 특성과 유사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기반으로 작품의 형태를 도출하였다. 분노의 종류에 따른 장식기법과 색을 적용하였다. 특히 주요 표현 색상으로 사용된 색의 경우 다양한 안료와 소지의 실험을 통해 추출된 색의 사용으로 작품에서 분노의 감정을 명확히 표현하고자 하였다.
제VI장에서는 「분노 감정을 모티브로 한 도자표현연구」의 작품 연구를 위해 점·선·면의 표현 요소, 분노 표현을 위한 날카로운 질감, 대칭 및 중첩의 조형 요소를 통한 다양한 변화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회피형 분노, 비겁형 분노, 내향적 분노, 비난형 분노, 고의적 분노, 분출형 분노, 삐침형 분노, 흥분형 분노의 8종류로 각각의 특성을 보이는 분노의 표현을 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VII장 결론이다. 현대 도예가들은 작품 연구에 있어 예술적 개념과 미학적 가치,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현대사회의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자예술에 담긴 시대적 특성과 문화적 함의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내면에 잠재된 강렬한 표현 욕구를 추구하는 표현주의 미학에서의 표현 방식을 분노 감정을 표현하는 접근법으로 적용해 도자 예술의 형태와 장식으로 창출하였다. 이를 통해 감정의 복합성을 전달하고, 분노의 내적 갈등과 역할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변증법적 관점으로 개인과 사회에서 분노의 감정을 재고하고, 이에 기반해 관람객들이 분노의 다양한 종류를 표현한 작품 속에서 자신만의 감성적 공감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