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3

Ⅰ. 서론 16

1. 연구 배경 16

1) 겹사 법랑 공예의 전승 발전 및 계승 16

2) 새로운 중국식 가구 제품 디자인 컨셉 혁신에 대한 수요 16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8

3. 해외 연구 현황 19

1) 중국 국내 연구 현황 19

2) 해외 연구 현황 20

4. 문제점 21

1) 현재 법랑 공예의 문제점 21

Ⅱ. 겹사 법랑 개론 24

1. 겹사법랑 공예의 정의 24

2. 겹사 법랑 공예의 유입 25

1) 당대 유입설 25

2) 원대와 명대 유입설 27

3. 겹사 법랑 공예의 발전사 29

4. 법랑 공예 제작 공정 39

5. 겹사 법랑 공예의 가치 41

1) 역사적 연구 가치 41

2) 미학적 가치 43

3) 문화 교류 가치 44

4) 일상생활의 실용적 가치 45

Ⅲ. 제품 디자인에 나타난 법랑 공예의 모습 47

1. 명·청 시기 작품의 법랑 공예 48

1) 명대 시기 장식품의 겹사법랑 공예 48

2) 청나라 시기 장식품의 겹사 법랑 공예 59

2. 가구 제품의 겹사 법랑 공예 활용 64

1) 명나라, 청나라 법랑 가구 스타일의 특징 77

2) 가구에서 활용한 장식 도안 78

3. 현대 가구 제품에서 활용하는 법랑 공예 93

4. 겹사 법랑 공예의 예술적 특징 96

1) 명나라 시대 겹사 법랑 가운데 드러나는 예술 미학적 특징 96

2) 청나라 시대 겹사 법랑 가운데 드러나는 예술 미학적 특징 97

5. 소결론 98

Ⅳ. 현대 디자인에서 법랑을 적극 활용 방안 100

1. 현대 디자인에서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겹사 법랑 100

1) 겹사 법랑과 구리색의 독창적 결합 100

2) 심플함을 추구하는 겹사 법랑 공예 디자인 102

3) 겹사 법랑 공예와 다양한 소재의 융합 103

4) 현대 디자인 언어에서 드러나는 겹사 법랑의 표현 104

5) 겹사 법랑과 융합된 공예의 독창성 106

2. 가구 디자인 법랑 공예 활용의 특징 107

1) 디자인적 개성화 107

2) 전통문화 계승과 현대화 108

3) 고급화와 대중화 108

3. 가구 디자인에서 드러나는 법랑 공예에 대한 가치 평가 109

1) 문화적 가치 109

2) 예술적 가치 112

3) 사회적 가치 112

4. 소결 113

Ⅴ. 전통을 계승한 중국식 가구 리뉴얼 115

1. 중국 전통 가구의 시대별 특징 115

2. 현대 중국식 가구 개요 120

3. 현대 중국식 가구와 전통 가구의 차이 122

1) 기능상의 차이 122

2) 재료의 차이 123

4. 새로운 중국식 가구의 현 시장 분석 125

1) 현시장 소비 분석 125

2) 현시장 수요 분석 129

3) 디자인 방향 131

5. 새로운 중국식 가구 구상 131

1) 가구 디자인 컨셉 131

2) 가구 기능 132

3) 가구 디테일 132

6. 현대 중국식 가구 수요조사에 따른 디자인 실현 방법 134

1) 중국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전통적인 중국식 가구에 대한 탐구 134

2) 대중화 소비 수요 부응 및 사용 편리성과 심미안 강조 136

3) 대중화 소비 수요에 발맞추고 편리한 사용과 심미안을 강조 137

7. 소결 138

Ⅵ. '산하인기'(山河印記)를 활용한 중국 스타일 티테이블 디자인 140

1. 디자인 구상 140

2. 제품 외관 142

3. 재료와 제작 과정 143

4. 문제점 및 해결방안 148

5. 작업물 전시 149

6. 현대 가구에서 전통문화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152

Ⅶ. 결론 153

참고문헌 156

Abstract 159

표목차

〈표 1〉 명나라, 청나라 비교 분석 91

〈표 2〉 현대와 전통 가구 비교 124

〈표 3〉 2015년~2020년 중국 가구 생산량 그래프 126

〈표 4〉 2016년~2020년 중국 가구 생산량 그래프 127

〈표 5〉 2021년~2025년 중국 가구 영업 수익 예측 그래프 128

그림목차

〈그림 1〉 고궁박물관 서번연 조안 18

〈그림 2〉 Y자형 의자 21

〈그림 3〉 명대 겹사 전지 화훼발 25

〈그림 4〉 일본 칠보소 26

〈그림 5〉 일본 칠보소 26

〈그림 6〉 원대 겹사 법랑 전지 연문 장초병 31

〈그림 7〉 원대 겹사 법랑 전지 연문 솥 모양 화로 32

〈그림 8〉 명대 선덕 연간(宣德, 1425년~1435년)에 제작된 겹사 전지 연문 극고 33

〈그림 9〉 명대 선덕 연간에 제작된 겹사 법랑 전지 연문 직경병 34

〈그림 10〉 청대 강희 연간에 제작된 겹사 법랑 전지 연문 담병 36

〈그림 11〉 청대 건륭 연간에 제작된 겹사 법랑 부준(鳧尊) 38

〈그림 12〉 명나라 경태람 동물 문양 방호(方壺) 50

〈그림 13〉 명나라 경태람 과일류를 올려두는 제기 50

〈그림 14〉 명나라 선덕 연간에 제작된 겹사법랑전지연문완 50

〈그림 15〉 명나라 초기 경태 스타일 겹사 법랑 전지 연문 매병 51

〈그림 16〉 명나라 중기 경태 스타일 겹사 법랑 팔사문 삼환준 51

〈그림 17〉 명나라 겹사 법랑 포도 문양 단지 52

〈그림 18〉 명나라 선덕 연간에 제작된 겹사 법랑 전지 연꽃 문양 주전자 52

〈그림 19〉 명나라 만력 연간(1573년~1620년)에 제작한 겹사 법랑 쌍용 희주문 국판 구반 53

〈그림 20〉 명나라 선덕 연간에 제작한 겹사 법랑 사문 쌍지 기판 53

〈그림 21〉 명나라 선덕 연간에 제작한 참태 법랑 전지연문합 53

〈그림 22〉 명나라 경태람 팔괘 문양의 작은 병 54

〈그림 23〉 명나라 선덕 연간에 제작한 겹사 법랑 용황문(용과 봉황) 화로 55

〈그림 24〉 명나라 중기 경태람 동으로 제작한 겹사법랑 해마 사회구 문양(사자가 공을 가지고 노는 문양) 그릇 55

〈그림 25〉 명나라 말기 겹사 법랑 '취소인봉' 절연세(吹簫引鳳) 57

〈그림 26〉 명나라 만력 시기에 제작된 겹사 법랑 전지 화훼 문양의 국화꽃 모양 촛대 57

〈그림 27〉 명나라 경태람 화과문양 삼족향로 58

〈그림 28〉 명나라 겹사 법랑 길상 문양이 새겨진 직사각형 향로 58

〈그림 29〉 청나라 경태람 동으로 만든 화훼 삼수각 쌍이정 59

〈그림 30〉 청나라 초기에 제작된 겹사 법상 월계꽃 문양 황금 사자 주전자 60

〈그림 31〉 청나라 건륭 연간에 제작된 겹사 법랑 명나라 황실 스타일의 말그림 족자 62

〈그림 32〉 자단감법랑보좌 66

〈그림 33〉 자단감법랑오륜도보좌병풍(겹사 법랑 수자(壽字) 등받이 의자, 높이 83cm, 폭 53cm) 68

〈그림 34〉 겹사 법랑 수자(壽字) 등받이 의자 69

〈그림 35〉 자단감화법랑운용문 캐비닛(자단감법랑수돈(綉墩) 전체 높이는 53cm, 표면 지름 28cm) 71

〈그림 36〉 자단감법랑수돈 72

〈그림 37〉 청나라 건륭 연간 겹사법랑번연문 냉장고 73

〈그림 38〉 자단칠면감법랑서번연문벤치 75

〈그림 39〉 자단칠면감법랑서번연문 긴 탁자 76

〈그림 40〉 자단목감법랑 걸상 79

〈그림 41〉 청나라 건륭시기에 제작된 법랑 서양인 삽화 병풍 81

〈그림 42〉 겹사 법랑 산수 인물도 괘병(挂屛) 82

〈그림 43〉 명나라 시절 제작된 옻칠한 원형 걸상 84

〈그림 44〉 청나라 건륭 연간에 제작된 상감법랑사우도 병풍 85

〈그림 45〉 청나라 건륭 연간에 제작된 '오륜도병풍' 86

〈그림 46〉 시계풀 문양 88

〈그림 47〉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법랑 꽃문양 수돈 89

〈그림 48〉 팔각성 문양(八角星) 91

〈그림 49〉 팔달훈 문양(八達暈) 91

〈그림 50〉 박쥐 문양 92

〈그림 51〉 법랑 걸상 95

〈그림 52〉 스쥔의 법랑 가구 작품 〈묵미농〉 95

〈그림 53〉 호상 116

〈그림 54〉 나한상 118

〈그림 55〉 권의 118

〈그림 56〉 신중식각기 119

〈그림 57〉 신중식 가구 122

〈그림 58〉 나한 침대 123

〈그림 59〉 조형 변화 과정 143

〈그림 60〉 목재 장인에게 지도받는 모습 143

〈그림 61〉 보드 건조 144

〈그림 62〉 순묘 구조 제작 144

〈그림 63〉 퍼티 도색 145

〈그림 64〉 옻칠하기 전의 모습 145

〈그림 65〉 황산지 프린트 스루(print through) 버전 146

〈그림 66〉 프린트 스루 그림을 따라 금속선을 겹사하는 모습 146

〈그림 67〉 컬러 워셔 도색 147

〈그림 68〉 에폭시 수지 첨가 148

〈그림 69〉 전체 렌더링 효과 이미지 150

〈그림 70〉 렌더링 효과 이미지 150

〈그림 71〉 렌더링 효과 이미지 151

〈그림 72〉 완제품 전시 152

초록보기

 본 논문의 주제는 중국의 전통 겹사 법랑 공예가운데 나타나는 시각적 표현 및 이를 기초로 하는 새로운 중국 스타일의 가구 제품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첫째, 오늘날 새로운 중국 스타일의 가구에 대해 시각적, 촉각적, 공간적인 심미적 감각을 기반으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새로운 중국식 가구 제품을 느껴보고, 찾아내며 제작해보고자 한다. 둘째, 중국의 전통적인 겹사 법랑 공예를 혁신하고 활용하여 오늘날의 가구 제품 디자인에 녹여보고자 한다.

중국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고대의 공예 미술이 고도로 발전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 가운데 법랑채의 명성이 드높았으며, 섬세한 공예기법과 도기의 아름다움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하고 재구성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법랑 공예가 중국에 유입된 이후로 수백년의 세월을 거치며 중화 민족의 전통문화와 조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그 예술적 영향력은 예술작품에만 국한되었다. 현대인의 일상생활과는 점차 거리가 멀어졌다. 중국 문화 예술 시장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겹사 법랑 공예는 가구 제품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사조가 되었으며 독특한 표현 형식을 통해 중국 장식품 예술 분야의 인문학적 정신과 심미적인 목소리를 반영하였다.

법랑 공예는 서양에서 중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유구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중국의 장식품 및 가구 등에 널리 활용되었고, 정교함은 중국 공예사의 한 축으로 자리잡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설을 통해 법랑 공예가 중국에 유입된 시기에 대해 살펴보고 법랑 공예가 중국의 각 시대별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며 겹사 법랑 공예의 예술적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겹사 법랑 공예를 오늘날의 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새로운 중국식 가구 디자인 분야에 적용시 시장성이 무궁무진할 것이다. 아울러 겹사 법랑 공예가 명나라, 청나라 시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가구 제품과 장식품에서 활용된 실제 사례를 통해 완성도 높은 디자인 구상과 응용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디자인 과정에서 이러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 디자인 구상에 적용할 수 있으며 겹사 법랑 기술과 가구 제품 디자인을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의 가구 디자인의 기본적인 수요와 응용에 부합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겹사 법랑 공예를 전승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길이기도 하다.

더불어 법랑 공예의 소재가 매우 희귀하고 고난도의 기법이라는 점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공예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해 오늘날 우리는 새로운 제작 방식을 모색하고 대체 가능한 소재를 찾아야 하며 생산 단가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겹사 법랑 공예 기법이 시대적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가구 디자이너가 법랑 공예기법을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 기법을 통해 새로운 중국식 가구 디자인의 발전적 사고를 표현하도록 한다. 아울러 다양한 재료와 공예기법이 새로운 중국식 가구 디자인에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