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초록
ABSTRACT
목차
Ⅰ. 서론 19
1. 연구의 필요성 19
2. 연구의 목적 22
3. 연구의 가설 23
4. 연구의 제한점 24
Ⅱ. 이론적 배경 25
1. 자이로토닉 익스펜션 시스템 (Gyrotonic Expansion System) 25
2. 자이로토닉 및 자이로키네시스의 효과 29
3. 하지부종 30
4. 균형능력 32
5. 피로 34
Ⅲ. 연구 방법 35
1. 연구 대상 35
2. 연구 기간 37
3. 연구 설계 및 절차 37
4. 실험도구 및 분석 장비 38
5. 측정 방법 39
1) 하지 둘레 측정 39
2) 하지 체수분 측정 40
3) 정적 균형 능력 측정 41
4) 동적 균형 능력 측정 42
5) 피로지수 (Fatigue Severity Scale, FSS) 검사 44
6. 운동프로그램과 압박스타킹 46
1) 자이로키네시스 운동 (운동군) 46
2) 압박 스타킹 착용 (대조군) 48
7. 자료처리 49
Ⅳ. 연구결과 50
1. 하지 부종의 변화 50
1) 하지 둘레 변화 50
2) 체수분의 변화 53
2. 균형능력의 변화 56
1) 정적 균형의 변화 56
2) 동적 균형 (Y-balance test, YBT)의 변화 59
3. 피로의 변화 62
1) 피로지수 (Fatigue Severity Scale, FSS)의 변화 62
Ⅴ. 논의 65
1.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이 하지 부종에 미치는 영향 65
2.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69
3.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73
Ⅵ.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8
부록 89
Table 1. Characteristic of study population 36
Table 2. Duration of study 37
Table 3. Measurement equipment 39
Table 4. Gyrokinesis exercise program 47
Table 5. Shapiro-Wilk normality test (circumference for lower extremity) 51
Table 6. Comparison of changes between groups (circumference for lower extremity) 52
Table 7. Shapiro-Wilk normality test (ECW/TBW) 54
Table 8. Comparison of changes between groups (ECW/TBW) 55
Table 9. Shapiro-Wilk normality test (one leg stand) 57
Table 10. Comparison of changes between groups (one leg stand) 58
Table 11. Shapiro-Wilk normality test (YBT) 59
Table 12. Comparison of changes between groups (YBT) 61
Table 13. Shapiro-Wilk normality test (FSS) 63
Table 14. Comparison of changes between groups (FSS) 64
Figure 1. Spinal motion of Gyrokinesis 28
Figure 2. Schematic diagram of the study process 38
Figure 3. Lower extremity circumference measurement 40
Figure 4. Inbody S10 measurement 41
Figure 5.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 test 42
Figure 6. Y-balance test 44
Figure 7. Compression stockings 48
Figure 8. Change of lower extremity circumference 52
Figure 9. Change of body water 55
Figure 10. Change of one leg stand 58
Figure 11. Change of Y-balance test 62
Figure 12. Change of Fatigue Severity Scale 64
목적: 사무직 여성 근로자는 장시간 앉은 자세로 생활하면서 혈액 및 림프 순환의 저하와 움직임 감소로 인해 하지부종, 균형 능력 문제, 피로에 노출되어 있다. 효율적으로 하지부종, 균형 능력, 피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운동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은 국내에서 강사 및 센터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나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운동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이 하지부종과 균형능력,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사무직 근로 여성 27 명 (20 ~ 40 대)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운동군 (n = 14)과 대조군 (n = 13)에 무작위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을 60 분 동안 주 2 회로 8 주간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8 주간 압박스타킹을 주 2 회, 하루 4 시간 이상 근무시간내 착용하도록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운동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사후 - 사전)으로 독립 표본 T-test 와 비모수 검정인 Mann- 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하지 둘레에서 발목 둘레의 변화는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1), 체수분의 변화에서는 신체 전체의 ECW/TBW (p<.05)와 하지의 ECW/TBW (p<.01)변화에서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균형능력 검사인 눈감고 한 발 서기 (p<.005)와 YBT R - PL (p<.05)의 변화에서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FSS 의 변화도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론: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은 새로운 운동법으로 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그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은 사무직 근로 여성의 하지부종 감소와 균형능력 향상 및 피로 감소에 효과가 있었는데, 이는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의 원리가 적용되어 혈액 및 림프 순환의 증가와 기계적 자극을 통한 고유수용감각 증진, 3 차원적인 움직임을 통한 전정감각 증진, 심부 근력과 척추 주변 근력 및 유연성 증진, 명상의 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