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28

1. 연구 배경과 의의 28

2. 연구 목적과 방법 34

Ⅱ. 수묵 예술의 형식과 표현 38

1. 수묵 예술의 개념과 변천 38

2. 수묵 예술의 도구와 표현 방법 62

가. 서예의 도구와 표현 방법 62

나. 구상적 수묵화의 도구와 표현 방법 72

다. 추상 수묵의 도구와 표현 방법 80

Ⅲ. 포스터의 형식과 표현 89

1. 현대 포스터의 개념과 형식 발전 89

2. 포스터의 형식 도구와 표현 방법 103

가. 타이포그래피의 활용 103

나.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 113

다. 추상적 도형의 활용 121

라. 사진의 활용 131

Ⅳ. 포스터의 수묵 이미지 적용과 변용 142

1. 포스터의 수묵 이미지 적용 방식 143

가. 수작업 수묵 이미지의 적용 144

나. 컴퓨터그래픽을 통한 수묵 재현 147

다. 사물 사진의 수묵화적 변형 150

라. 수묵 기법의 디지털 변형 154

2. 수묵 이미지의 변용(變用) 160

가. 융합과 변용 160

나. 변용과 낯설게 하기 166

Ⅴ. 변용의 원류: 낯설게 하기 방식의 유형과 기법 170

1. 콜라주 170

가. 콜라주의 개념과 의미 170

나. 콜라주의 유형과 기법 172

2. 몽타주 179

가. 몽타주의 개념과 의미 179

나. 몽타주의 유형과 기법 183

3. 데페이즈망(dépaysement) 194

가. 데페이즈망의 개념과 의미 194

나. 데페이즈망의 유형과 기법 196

Ⅵ. 수묵의 포스터적 변용 형식과 방법 213

1. 타이포그래피의 수묵 이미지 적용 213

가. 물성의 타이포그래피 적용 유형 214

나. 필감의 타이포그래피 적용 유형 225

2. 일러스트레이션의 수묵 이미지 적용 239

가. 일러스트레이션으로의 적용 유형 239

나. 수묵과 일러스트레이션의 병치 유형 243

3. 추상 도형의 수묵 이미지 적용 245

가. 추상 도상으로의 적용 유형 246

나. 수묵과 추상 도형의 병치 유형 251

4. 사진의 수묵 이미지 적용 255

가. 수묵의 사진 변용 유형 255

나. 수묵과 사진의 병치 유형 259

Ⅶ. 수묵의 낯설게 하기 변용 280

1. 콜라주 기법의 수묵 이미지 적용 280

가. 수묵과 문자의 결합 281

나. 수묵과 이미지의 결합 287

2. 몽타주 기법의 수묵 이미지 적용 292

가. 문자 몽타주 292

나. 도상 몽타주 299

3. 데페이즈망 기법의 수묵 이미지 적용 306

가. 공간 모순화 307

나. 계량적 모순화 311

다. 형태 모순화 315

Ⅷ. 결론 325

참고문헌 333

부록 341

부록 1. 수묵 예술의 도구와 표현 방법 341

부록 2. 포스터의 형식 도구와 표현 방식 342

부록 3. 포스터의 수묵 이미지 적용 방식 343

부록 4. 낯설게 하기의 방식과 기법 344

부록 5. 수묵의 포스터적 변용 형식과 방법 346

부록 6. 수묵의 낯설게 하기 변용 기법과 유형 347

ABSTRACT 349

[표 1] 수묵 예술의 도구와 표현 방법 87

[표 2] 포스터의 방법적 형식 도구와 활용 의의 139

[표 3] 포스터의 수묵 이미지 적용 방식 159

[표 4] 포스터 적용 수묵의 의미에 관한 연구 162

[표 5] 낯설게 하기의 방식과 기법 210

[표 6] 수묵의 포스터적 변용 형식과 방법 278

[표 7] 수묵의 낯설게 하기 변용 기법과 유형 322

〈그림 1〉 〈여사잠도(女史箴圖)〉, 고개지 40

〈그림 2〉 〈강범루각도(江帆樓閣圖)〉, 이사훈(李思訓) 42

〈그림 3〉 〈강산설제도(江山雪霽圖)〉, 왕유(王維) 42

〈그림 4〉 〈광루도(劻廬圖)〉, 형호(荊浩) 43

〈그림 5〉 〈청만소사도(晴巒蕭寺圖)〉, 이성(李成) 44

〈그림 6〉 〈설산소사도(雪山蕭寺圖)〉, 범관(範寬) 44

〈그림 7〉 〈송천도(松泉圖)〉, 오진(吳鎮) 45

〈그림 8〉 〈책장도(策杖圖)〉, 선저우(沈週) 45

〈그림 9〉 〈송창독이도((松窗讀易圖)〉, 석도(石濤) 45

〈그림 10〉 〈노납참선도〉, 판텐서우 47

〈그림 11〉 〈관녀도〉, 린펑몐 47

〈그림 12〉 〈할아버지께 신문을 읽어 드리다〉, 장자오허 47

〈그림 13〉 〈현대서예〉, 히다이 난코쿠(比田井南谷) 48

〈그림 14〉 〈원(圓)〉, 모리타 시류(森田子龍) 49

〈그림 15〉 〈정오(正午)〉, 서세옥 50

〈그림 16〉 〈무제(無題)〉, 황루이(黃銳) 51

〈그림 17〉 〈잃어버린 왕조〉, 구웬다 51

〈그림 18〉 〈문초(問楚)〉, 류쯔젠(劉子建) 52

〈그림 19〉 〈금문대련(金文对联)〉, 황빙홍(黃賓虹) 54

〈그림 20〉 〈급취장곡(急就章軸)〉, 조지겸(趙之謙) 54

〈그림 21〉 〈검남시축(劍南詩軸)〉, 정보(鄭簠) 55

〈그림 22〉 〈팔월첩〉, 장지(張芝) 56

〈그림 23〉 〈고시사첩〉, 장욱(張旭) 56

〈그림 24〉 〈급암전(汲黯傳)〉, 조맹부 57

〈그림 25〉 〈답사 민사 논문첩(答謝民師論文帖)〉, 소식 58

〈그림 26〉 〈빈(貧)〉, 이노우에 유이치 59

〈그림 27〉 〈현대서예〉, 꿔즈쉬(郭子緒) 61

〈그림 28〉 〈광추狂鞦〉, 구간(古干) 61

〈그림 29〉 을영비(乙瑛碑) 64

〈그림 30〉 〈다보탑비(多寶塔碑)〉, 안진경 65

〈그림 31〉 〈한유송이원귀반곡서(韓愈送李愿歸盤谷序)〉, 섬두(沈度) 66

〈그림 32〉 〈제범중엄도복찬권(題范仲淹道服贊卷)〉, 동카오(董誥) 66

〈그림 33〉 〈현녀첩(賢女帖)〉, 취웬 68

〈그림 34〉 〈붕괴〉, 테시마 유우케이 69

〈그림 35〉 〈문자산수(文字山水)〉, 쉬빙(徐冰) 70

〈그림 36〉 〈학샹(鶴翔)〉, 왕난밍 70

〈그림 37〉 〈해(海)〉, 사오옌 71

〈그림 38〉 〈만학송풍도(萬壑鬆風圖)〉, 리탕 73

〈그림 39〉 〈타고르〉, 쉬베이훙 74

〈그림 40〉 〈유민도〉, 장자오허 75

〈그림 41〉 〈황해송석도(黄海松石圖)〉, 홍인 76

〈그림 42〉 〈황산연하(黃山煙霞)〉, 리커란 77

〈그림 43〉 〈사의(寫意) 수묵 작품〉, 장다첸(張大千) 78

〈그림 44〉 〈발묵선인도(潑墨仙人圖)〉, 량카이 79

〈그림 45〉 〈추상 수묵〉, 자오무치(趙無極) 81

〈그림 46〉 〈소요유(逍遙遊)〉, 우관중 82

〈그림 47〉 〈생명현선(生命玄線)037〉, 장따워 82

〈그림 48〉 〈빙먹(冰墨)계열〉, 리광밍 84

〈그림 49〉 〈수묵 작품〉, 장창 85

〈그림 50〉 〈태도 시리즈〉, 상춘 86

〈그림 51〉 〈물랭루즈〉, 앙리 툴루즈로트렉 91

〈그림 52〉 〈Priester 포스터〉, 루시엔 베른하르트(Lucian Bernard) 92

〈그림 53〉 〈구축주의 포스터〉, 알렉산더 로드쳉코 93

〈그림 54〉 〈Bauhaus 전 포스터〉, 유스트 슈미트 94

〈그림 55〉 〈아르데코 포스터〉, A.M. 카상드르 95

〈그림 56〉 〈취리히 톤할레 콘서트 포스터〉,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96

〈그림 57〉 〈단테의 지옥을 방문하세요〉, 푸시핀스튜디오 97

〈그림 58〉 〈일몰대로〉, 발데마르스비에르치(Waldemar Swierzy) 98

〈그림 59〉 〈남아프리카 룰렛을 위한 연극포스터〉, 군터 람보 99

〈그림 60〉 〈뉴웨이브 포스터〉, 볼프강 바인가르트 100

〈그림 61〉 〈Design Quarterly를 위한 그래픽 이미지〉, 에이프릴 그레이먼 101

〈그림 62〉 〈해체주의 포스터〉, 데이비드 카슨 102

〈그림 63〉 〈스틸러 구두 광고〉, 루시안 베른하르트 105

〈그림 64〉 〈그래픽 광고예술: 국제 현대 광고 전시회〉, 얀 치홀트 106

〈그림 65〉 〈MIT를 위한 포스터〉, 디에트마 윙클러(Dietmar Winkler) 107

〈그림 66〉 〈비엔나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콜로만 모저 108

〈그림 67〉 〈바젤 오피스디자인전〉, 테오 발머 109

〈그림 68〉 〈사이키델릭 포스터〉, 웨스윌슨(Wess Wilson) 110

〈그림 69〉 〈뉴 웨이브 타이포그래피 포스터〉, 루돌프 바인가르트 111

〈그림 70〉 〈해체주의 포스터〉, 데이비드 카슨 112

〈그림 71〉 〈Bosch 광고〉, 루시안 베른하르트(Lucian Bernhard) 115

〈그림 72〉 코카콜라 광고 116

〈그림 73〉 〈반전 포스터〉, 타데우스 트렙코프스키 117

〈그림 74〉 〈Poppy Records를 위한 포스터〉, 밀턴 글레이저 118

〈그림 75〉 〈냄새나는 호흡을 끝내라〉, 세이무어 크와스트 119

〈그림 76〉 〈Ya Es Hora Gym 광고포스터〉 120

〈그림 77〉 〈Novyi lef의 표지디자인〉, 알렉산더 로드쳉코 122

〈그림 78〉 〈모던디자인의 원리책표지〉, 테오 반 데스부르흐와 모홀리나기 123

〈그림 79〉 〈베토벤〉,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124

〈그림 80〉 〈공업표준순회전 Traveling exhibition of industrial standards〉, 테오 발머 125

〈그림 81〉 〈14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알프레드 롤러 127

〈그림 82〉 〈미국 건축전포스터〉, 막스 빌 128

〈그림 83〉 〈Delftsche Slaolie 포스터〉, 반 데어 렉 129

〈그림 84〉 〈Nihon Buyo〉, 다나카 이코 130

〈그림 85〉 〈WET〉, 에이프릴 그레이먼 131

〈그림 86〉 〈도쿄 올림픽〉, 카메쿠라 류사쿠 133

〈그림 87〉 〈Newborn Baby〉, 베네통 134

〈그림 88〉 〈스위스 관광 포스터〉, 헤르베르트 마터 136

〈그림 89〉 〈피셔 출판사 포스터〉, 군터 람보 137

〈그림 90〉 〈Fischer 출판사 포스터〉, 군터 키저 138

〈그림 91〉 〈'Article 29' UN 인권 포스터〉, 차즈 마비얀 데이비스 139

〈그림 92〉 〈한자(漢字)〉, 칸타이킁(靳埭強) 144

〈그림 93〉 중국 영화 포스터 145

〈그림 94〉 〈필묵지연(筆墨紙硯)〉, 주일능(硃日能) 146

〈그림 95〉 〈차(茶)〉, 주천항(硃天航) 147

〈그림 96〉 〈인상휘주(印象徽州)〉, 증국무(曾國武) 147

〈그림 97〉 제1차 중국 요소의 국제 창의 대회 포스터 148

〈그림 98〉 〈수묵·소운(水墨·蘇韻)〉, 왕용(王勇), 설몽교(薛夢嬌) 149

〈그림 99〉 〈수서호(瘦西湖)〉,이몽원(李夢園) 149

〈그림 100〉 혀끝으로 만나는중국 150

〈그림 101〉 〈천리강산도·현대편(千裏江山圖·現代篇)〉, 양영량(楊泳樑) 151

〈그림 102〉 〈송계재주도(松溪載酒圖)〉, 야오루 152

〈그림 103〉 〈추량사범도(秋涼思梵圖)〉, 야오루 152

〈그림 104〉 〈선산누각(仙山樓閣)〉, 랑징산 154

〈그림 105〉 〈하루키기봉(春樹奇峰)〉, 랑징산 154

〈그림 106〉 〈아시아 녹색 디자인 위크 2013년 시리즈 포스터〉,왕홍(汪泓) 155

〈그림 107〉 〈묵희체(墨喜體)〉, 조여평(曹汝平) 156

〈그림 108〉 〈농묵(濃墨)〉,고정우(顧正友), 요양(姚陽) 156

〈그림 109〉 산천척(山千呎) 157

〈그림 110〉 대나무 157

〈그림 111〉 〈기타 guitar〉, 피카소 174

〈그림 112〉 〈marketing tribune〉, david carson 174

〈그림 113〉 〈pursuit〉, 카를로 카라 175

〈그림 114〉 〈콜라주〉, 유스타퀴오 네베스 176

〈그림 115〉 〈Cut with the Kitchen Knife Dada through the Beer-Belly of the Weimar Republic〉, 한나 회흐 177

〈그림 116〉 〈poster for the Los Angeles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에이프릴 그레이먼 178

〈그림 117〉 〈포토몽타주 작품〉, Maurice Tabard 184

〈그림 118〉 〈On the Crisis Party Congress of the SPD〉, 존 하트필드 185

〈그림 119〉 〈스위스 여행 포스터〉, 헤르베르트 마터 186

〈그림 120〉 〈Swiss Auto Club 포스터〉,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187

〈그림 121〉 〈제3절 아시아 예술제 포스터〉, 칸타이쿵 188

〈그림 122〉 〈평행 세계〉, Uğur Gallenkuş 189

〈그림 123〉 영화 중경삼림(重慶森林)포스터 190

〈그림 124〉 〈Zang Tumb Tumb〉, 필립보 마리네티 191

〈그림 125〉 〈foldout from Lesmots en liberté futuristes〉, 필립보 마리네티 191

〈그림 126〉 〈토마토 토크 포스터〉, 딜란 켄들(Dylan Kendle) 192

〈그림 127〉 〈Ray Gun 커버〉, 데이빗 카슨 193

〈그림 128〉 〈L'Empire des lumieres〉, 마그리트 198

〈그림 129〉 〈La clairvoyance〉, 마그리트 198

〈그림 130〉 〈L'orient〉, 마그리트 199

〈그림 131〉 〈La condizione umana〉, 마그리트 199

〈그림 132〉 〈The queen of the house〉, 마그리트 200

〈그림 133〉 〈The Son of Man〉, 마그리트 200

〈그림 134〉 어린이용 자외선차단제 201

〈그림 135〉 〈Le chateau des pyrenees〉, 마그리트 202

〈그림 136〉 〈Le monde familier〉, 마그리트 202

〈그림 137〉 〈Portret van Paul Nouge〉, 마그리트 203

〈그림 138〉 〈Golconda〉, 마그리트 203

〈그림 139〉 〈The Listening Room〉, 마그리트 204

〈그림 140〉 〈La Légende des siècles〉, 마그리트 204

〈그림 141〉 〈폭스바겐 광고〉 205

〈그림 142〉 〈Private diary〉, 마그리트 206

〈그림 143〉 〈Ontdekking〉, 마그리트 206

〈그림 144〉 〈아른하임의 영역〉, 르네 마그리트 207

〈그림 145〉 〈La nuit d'amour〉, 르네 마그리트 207

〈그림 146〉 〈The collective invention〉, 마그리트 208

〈그림 147〉 〈The red model〉, 마그리트 208

〈그림 148〉 〈L'explication〉, 마그리트 208

〈그림 149〉 Perdizes Kennel(애견훈련소)의 광고 209

〈그림 150〉 〈묵희(墨戲)〉,우원화(吳文華) 215

〈그림 151〉 〈의경(意境)〉, 우원화(吳文華) 215

〈그림 152〉 〈문방사보(文房四寶)〉, 서위(徐偉) 216

〈그림 153〉 〈묵상망(墨相忘)〉, 송위위(宋衛衛) 216

〈그림 154〉 〈수묵대막(水墨大漠)〉, 전우(田宇) 216

〈그림 155〉 〈도법자연(道法自然)〉, 조소맹(曹曉萌) 216

〈그림 156〉 〈무매(無霾)〉, 진연(陳冉) 217

〈그림 157〉 남천(藍天) 218

〈그림 158〉 대학청춘(大學青春) 218

〈그림 159〉 〈학한몽각(鶴寒夢覺)〉, 맹신휘(孟申暉) 219

〈그림 160〉 〈본(本)〉, 진량(陳亮) 219

〈그림 161〉 〈국(Country)〉, 소혜민(蘇慧敏) 219

〈그림 162〉 〈동지(冬至)〉, 우원화(吳文華) 220

〈그림 163〉 〈필묵지연(筆墨紙硯)〉, 주일능(硃日能) 221

〈그림 164〉 〈묵조(墨鳥)〉, 조여평(曹汝平) 221

〈그림 165〉 〈확산 Spread〉, Li zhuang 221

〈그림 166〉 자유융합(自由融合) 222

〈그림 167〉 〈묵희체(墨喜體)〉, 조여평(曹汝平) 224

〈그림 168〉 〈농묵(濃墨)〉, 고정우(顧正友), 요양(姚陽) 224

〈그림 169〉 〈아시아 녹색 디자인 위크 2013년 포스터〉, 왕홍(汪泓) 224

〈그림 170〉 〈무묵성상(無墨成象)〉, 엽자비(葉子菲) 226

〈그림 171〉 〈묵분오색(墨分五色)〉, 이과(李科) 226

〈그림 172〉 〈수묵지미(水墨之美)〉, 이조승(李朝勝), 소수려(蘇秀麗) 226

〈그림 173〉 〈차(茶)〉, 주천항(硃天航) 227

〈그림 174〉 〈인상휘주(印象徽州)〉, 증국무(曾國武) 227

〈그림 175〉 〈축몽(築夢)〉, 희정운(稽倩雲) 227

〈그림 176〉 〈묵서(墨書)〉, 이조승(李朝勝) 228

〈그림 177〉 〈언진의(言盡意)〉, 노보급(魯普及) 228

〈그림 178〉 수(水) 229

〈그림 179〉 〈결수(缺水)〉, 임축생(林祝生) 229

〈그림 180〉 〈풍월무변(風月無邊)〉, 황릉야학(黃陵野鶴) 230

〈그림 181〉 〈춘하추동(春夏秋冬)〉, 황릉야학(黃陵野鶴) 231

〈그림 182〉 소년시절의 너(少年的你) 232

〈그림 183〉 영(影) 232

〈그림 184〉 우리글 번짐 234

〈그림 185〉 〈反사스 중국필승〉, 장싱밍(張興明) 234

〈그림 186〉 〈풍화설월(風花雪月)〉, 이불군(李彿君) 235

〈그림 187〉 〈무심·산수(無心·山水)〉, 전국동(戰國棟) 236

〈그림 188〉 〈Paju Children's Book Festival〉, 김영철 237

〈그림 189〉 〈도(道) Eastern philosoghy〉, 장옥겸(張玉廉) 238

〈그림 190〉 〈오수〉, 류장핑(劉江平) 240

〈그림 191〉 〈자동차 배기가스 오염 주제 포스터〉, 류장핑(劉江平) 241

〈그림 192〉 〈Black Fish Concert〉, 류장핑(劉江平) 241

〈그림 193〉 〈Great Oil Leak〉, Anatoliy Omelchenko 242

〈그림 194〉 아디다스 제품광고 243

〈그림 195〉 〈Goodbye Pollution〉, Junichi 244

〈그림 196〉 수오염 244

〈그림 197〉 〈객가인상(客傢印象)〉, 궈멍난(郭夢楠) 245

〈그림 198〉 〈존 케이지(John Cage)의 'In A Landscape'를 의해 창작한 포스터〉, 일본 무사시노 미술대학 기초 디자인과 246

〈그림 199〉 〈일필휘지-기운생동〉, 조동업 247

〈그림 200〉 〈TENSION〉, 강병돈 247

〈그림 201〉 〈수묵〉, 양쉬(楊絮) 248

〈그림 202〉 〈수&묵〉, 전융량(甄永亮) 248

〈그림 203〉 〈Love〉, 윤홍열 249

〈그림 204〉 〈Heart-Mind for Green Xtiension〉, 조동업 249

〈그림 205〉 〈소융(消融)〉, 왕진화(王進華) 250

〈그림 206〉 〈수묵단청〉, 펑판(彭凡) 250

〈그림 207〉 〈DeviantArt〉, 우원화 250

〈그림 208〉 〈일출동방(日出東方)〉, 류쉬(劉旭) 252

〈그림 209〉 〈무생(無生)〉, 유설교(劉雪嬌), 양소연(楊曉燕) 252

〈그림 210〉 〈From ink to digital〉, Laze Tripkov 253

〈그림 211〉 〈순환〉,훠카이(霍楷) 254

〈그림 212〉 〈임류독좌도(臨流獨坐圖)〉, 좌: 범관(範寬), 우: 양잉량 256

〈그림 213〉 〈신세계에서 온(來自新世界)〉, 양잉량 257

〈그림 214〉 텔레비전 음식프로그램 포스터 258

〈그림 215〉 〈천지인(天地人)시리즈 포스터〉, 리닝 260

〈그림 216〉 〈HITOMOJI〉, 카와이 토모코 261

〈그림 217〉 전초팽작(煎炒烹炸)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262

〈그림 218〉 〈체리 가든 만다린 오리엔탈 레스토랑〉, Trine 263

〈그림 219〉 〈물〉, 이미영 263

〈그림 220〉 고(高), 쾌(快), 강(強), 박(博) 264

〈그림 221〉 〈한자(漢字)〉, 칸타이킁 265

〈그림 222〉 〈Rurubu〉, Haley Friesen, Nobuhiro Sato 265

〈그림 223〉 Japengo Café 포스터 266

〈그림 224〉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267

〈그림 225〉 〈LG건설 포스터〉, 김익현 268

〈그림 226〉 화관주업 269

〈그림 227〉 농부산천(農伕山泉) 270

〈그림 228〉 영화 영웅유몽 포스터 271

〈그림 229〉 영화 황금시대 포스터 272

〈그림 230〉 칠현금문화선전 273

〈그림 231〉 〈한국음악축제〉, 안창호, 전성배 학위 논문『수묵의 회화적 조형성을 활용한... 273

〈그림 232〉 〈축(築)〉, 진보홍(陳保紅) 273

〈그림 233〉 가라탄바 청주 포스터 274

〈그림 234〉 〈국항지음(國航知音)〉, 장홍과(張洪科) 274

〈그림 235〉 분류(奔流) 275

〈그림 236〉 〈수묵지심(水墨之芯)〉, 소림(邵林) 275

〈그림 237〉 〈아동이 세계의 선율이다〉, 칸타이킁 276

〈그림 238〉 와호장룡: 청명보검(臥虎藏龍: 靑冥寶劍)포스터 276

〈그림 239〉 천아(天鵝) 277

〈그림 240〉 침취우필묵(沉醉於筆墨) 277

〈그림 241〉 〈변질〉, 주뢰(週蕾), 황전조(黃典潮) 282

〈그림 242〉 〈순역〉, 우원화 282

〈그림 243〉 문화를 뜯어가지 마라 283

〈그림 244〉 문자철학 동서공융 284

〈그림 245〉 물 없이는 살 수 없다 285

〈그림 246〉 〈학(鶴)〉, 우원화 286

〈그림 247〉 〈영(永)〉, 여효위(厲孝偉) 288

〈그림 248〉 동(動), 정(靜), 미(美) 288

〈그림 249〉 Seven Faces of Asaba 2005 289

〈그림 250〉 〈묵운 상하이〉, 장위신(張雨欣), 러우자이(樓嘉怡) 290

〈그림 251〉 〈Hello I am a Nuclear Angel〉, 펑쥔(彭駿) 291

〈그림 252〉 〈복(福), 록(祿), 수(壽)〉, 홍위(洪衛) 293

〈그림 253〉 〈LOVE 서울(愛首爾)〉, 칸타이쿵 294

〈그림 254〉 〈진선미(眞善美)〉, 진지위(陳志偉) 294

〈그림 255〉 〈병신(丙申) 중국 명가 시리즈 강좌〉, 왕소봉(王小峰) 294

〈그림 256〉 〈회소자모표(懷素字母表)〉, 관홍(關洪) 295

〈그림 257〉 〈춘(春)〉, 왕건(王建) 296

〈그림 258〉 〈중국몽(中國夢)〉, 황홍민(王宏民) 296

〈그림 259〉 〈패션예술전(時尙藝術展)〉 297

〈그림 260〉 〈궤적(軌跡)〉, 석증천(石增泉) 297

〈그림 261〉 〈의자서법(椅子書法)〉, 유소강(劉小康) 298

〈그림 262〉 공산(空山) 300

〈그림 263〉 〈화이부동〉, 궁승도(宮承濤), 양파(楊波) 300

〈그림 264〉 〈계산행여도(溪山行旅圖)〉, 좌: 범관(範寬), 우: 양잉량(楊泳樑) 301

〈그림 265〉 〈송계재주도(松溪載酒圖)〉, 야오루 303

〈그림 266〉 〈추량사범도(鞦涼思梵圖)〉, 야오루 303

〈그림 267〉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304

〈그림 268〉 〈선산누각(仙山樓閣)〉, 랑징산 305

〈그림 269〉 〈하루키 기봉(春樹奇峰)〉, 랑징산 305

〈그림 270〉 소설(塑寫) 산수 306

〈그림 271〉 〈신평면(新平面)〉, 허젠핑(何見平) 308

〈그림 272〉 아시아 그래픽디자인 초대전 309

〈그림 273〉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310

〈그림 274〉 농부산천(農伕山泉) 311

〈그림 275〉 영화 문제 되지 않는 문제 포스터 312

〈그림 276〉 황금시대(黃金時代) 313

〈그림 277〉 〈황급히(急忙)중국〉, 차성리(查胜利) 314

〈그림 278〉 기공(啓功) 315

〈그림 279〉 〈수서호(瘦西湖)〉,이몽원(李夢園) 316

〈그림 280〉 〈수묵·소운(水墨·蘇韻)〉, 왕용(王勇), 설몽교(薛夢嬌) 316

〈그림 281〉 〈인상휘주(印象徽州)〉, 린쥔량(林俊良) 317

〈그림 282〉 〈ART〉, 쉐밍(薛明) 318

〈그림 283〉 무(舞) 319

〈그림 284〉 이형(異形) 319

〈그림 285〉 〈산수십칙(山水十則)〉, 칸타이쿵 320

〈그림 286〉 〈수묵지미(水墨之美)〉, 유강평(劉江平) 321

〈그림 287〉 〈따뜻해지기〉, 양전(楊振) 321

초록보기

 이 논문은 현대 포스터에 나타나는 수묵 이미지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고찰하고 유형화한 연구다. 1980년대부터 시작한 컴퓨터의 사용은 형식과 목적, 매체가 다른 수묵 예술과 포스터의 조형 융합을 크게 촉진시켰다. 컴퓨터를 통해 포스터에 수묵을 활용하는 방식은 네 가지로 집약된다. 손으로 그린 수묵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 적용하는 방식, 수묵 이미지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창조하는 방식, 기존의 수묵 작품을 소재로 2차 창조하는 방식, 마지막으로 수묵의 특징을 컴퓨터의 조형 언어로 새롭게 응용, 창조하는 방식이다.

포스터의 수묵 적용에 관해서는 중국 전통 예술 소재의 현대적 만남이나 동서양 미학의 융합이라는 긍정적 시각도 가능하지만, 컴퓨터라는 창작 수단을 통해 포스터가 수묵이라는 전통 예술의 형식과 기법을 포스터의 언어로 왕성하게 차용(借用) 또는 전용(轉用)하는 현실을 볼 수 있다.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먼저 포스터에서 발견되는 수묵은 예술적 정신과 형식을 지닌 수묵 예술로서가 아니라, 포스터의 형식 안에서 디지털 기술로 처리된 '수묵 이미지'라는 점이다. 또한 포스터에 적용되는 수묵 이미지는 수묵 예술과 포스터의 융합적 결과지만, 한편으로는 눈에 띄어야 하는 포스터의 기능과 목적에 맞게 최적화된 수묵의 다양한 변용(變用)이라는 점이다. 특히 포스터의 수묵 이미지가 '낯설게 하기'와 관련된 기법의 적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수묵에 적용된 낯설게 하기의 방법으로는 20세기 초 입체파와 초현실주의의 창작 기법에서 출발하여, 1990년대 이후 다양한 시각 분야의 창작 기법으로 왕성하게 활용된 콜라주, 몽타주, 데페이즈망이 중요하다. 콜라주의 이질적 결합, 몽타주의 부조화적 공존, 데페이즈망의 역설과 모순이 포스터에 필요한 시각적 충격과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묵의 활용 장치이다.

이에 본 연구는 포스터의 수묵 이미지 변용을 크게 두 가지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하나는 적용된 수묵 요소가 포스터의 조형 수단으로서 어떻게 포스터의 형식과 호응하여 전용되고 있는지 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낯설게 하기의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 하는 것이었다. 전자의 경우 포스터와 수묵 예술의 형식을 대비시키고 수묵의 각 요소가 포스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다시 낯설게 하기의 각 기법에 따라 수묵 표현의 유형들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수묵이 포스터의 형식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모두 여덟 개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를 수묵 이미지에 적용되고 있는 낯설게 하기의 관점으로 재분류한 결과 모두 열 다섯 개의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수묵 이미지를 포스터에 적용하는 방식에 대한 심층적이고 광범위하면서 구체적인 유형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적 의미가 있다. 또한 포스터에 나타난 수묵의 표현을 낯설게 하기를 중심으로 변용의 관점에서 검토한 것으로서도 상당한 독창적 차별점이 있다 하겠다. 이와 같은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포스터의 수묵 표현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향후 창작에도 참고 가치가 있는 유용한 제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