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서론 8
Ⅰ. 김안로의 인맥과 사림적 활동 13
1. 김안로의 가계와 학맥 13
2. 기묘사화 전후 김안로의 사림적 행보 21
Ⅱ. 김안로의 정치적 부침과 사림세력과의 관계 27
1. 김안로의 복권 이후 사림세력과의 갈등 27
2. 사림세력과의 결별 이후 김안로의 정치적 몰락 38
결론 48
참고문헌 51
부록 55
〈부록 1〉 김안로의 가계도 55
〈부록 2〉 김안로의 관력 55
ABSTRACT 61
본고는 중종대 활약했던 김안로의 사림적 특성들을 살펴보고 김안로와 사림세력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문장에 뛰어난 재능을 보인 것으로 알려진 김안로는 사림세력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던 인물이다. 그의 아버지와 백부, 숙부 및 빙부 모두 김종직의 문인이었고, 중종대 사림세력이었던 김안국, 유운, 김정 등과 비슷한 시기에 과거에 급제하여 친분을 유지했다. 뿐만 아니라 김안로는 소격서 혁파, 소릉 복위 운동, 정몽주·김굉필의 문묘 종사 문제 등을 주장하며 본인의 사림적 성격을 드러냈다. 하지만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가 발생하면서 그 전까지 언관직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김안로는 잠시 조정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김안로가 다시 조정에서 활동하게 된 것은 기묘사화 발생 약 2년 후 김안로의 아들이 중종의 부마로 채택되면서부터이다. 중종과 혼인관계로 엮이게 된 김안로는 이후 조정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조정에는 남곤이나 심정과 같이 기묘사화에 가담했고 사림세력에 반대하는 대신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김안로는 이들의 견제로 귀양을 가게 된다.
이후 김안로의 아들 연성위는 여러 차례 김안로의 방환을 요청한 끝에 1531년(중종 26) 관직에 재등용되었다. 1527년(중종 22)에는 작서의 변이 발생하여 경빈 박씨와 복성군이 사사당하고 이에 연루된 심정 역시 파직을 당했다. 한편 김안로가 조정에 복귀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심정의 아들 심사순이 사림세력을 모함하는 방문을 내걸었다는 이유로 처벌받게 되고 이 사건의 배후로 심정이 지목되어 사사당한다. 결론적으로 보면 조정에 김안로를 귀양보내는 데 일조했던 대신들이 모두 사라진 셈이다.
이와 같이 조정에 본인을 반대하는 인물들이 사라진 상황에서 김안로가 조정을 장악하기란 쉬운 일이었을 것이다. 사림세력의 지지와 중종의 신뢰를 바탕으로 세력을 확장해나가던 김안로가 점차 사림세력과 틀어지게 되는 계기는 기묘명현 재등용 문제로 추정된다. 기묘사화 이후 사림세력은 높은 문지를 보유했고 중종과 혼인 관계로 엮인 김안로를 배경 삼아 안전하게 정치 생활을 영위하고 싶었을 것이다. 아울러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기묘사림을 신원하고 재등용해주기를 바랐을 것이다. 하지만 중종은 본인 스스로 처벌한 기묘사림을 재등용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가까이에서 중종을 보필하던 김안로는 이러한 중종의 의중을 알았을 것이다. 결국 김안로는 사림세력이 원하던 기묘사림 소통문제를 해결해내지 못하여 그들과 사이가 틀어지게 되었다.
게다가 김안로는 중종의 신뢰도 잃게 되었다. 김안로가 내세웠던 '보익동궁'의 슬로건이 중종에게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된 것이다. 후에 세자를 지지하던 윤임 일파와 경원대군을 지지하던 윤원로·윤원형 일파가 갈등을 빚고 있을 때 중종이 윤임 일파에 비해 윤원로 일파에게만 약한 처벌을 내리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중종의 의중이 경원대군에게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김안로는 외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므로 중종의 입장에서는 김안로를 처벌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김안로는 윤원로·윤원형 일파와 권력 다툼을 빚는 과정에서 왕실을 욕보였다는 명목으로 사사당한다.
김안로는 중종대 사림세력으로 대표되는 조광조와 상당히 비슷한 정치적 입장을 보여주었으나 후대의 인식은 정반대이다. 둘 다 사림세력으로 중종의 선택에 의해 조정에 등용되었고, 중종의 선택으로 처벌당한다. 하지만 사림세력으로부터 외면받은 채 조광조보다 더 무거운 죄목으로 사사당한 김안로는 사림세력이 집권하게 되는 조선 후기에 재평가될 수 없었다. 게다가 김안로는 도덕적으로도 무결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더욱 김안로와 사림세력의 연관성을 지워야 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조광조와 김안로에 대한 정반대의 평가가 나왔다고 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