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0

2. 본론 12

2.1. 낭만주의 시대와 피아노 음악 12

2.1.1. 낭만주의 시대의 표제음악 16

2.1.2. 낭만주의 시대의 성격소품 19

2.1.3. 낭만주의 시대의 피아노 작곡가 21

2.2. 슈만의 피아노 음악 26

2.2.1. 슈만의 생애 26

2.2.2. 슈만의 피아노 작품 세계 28

2.2.3. 슈만의 성격소품 33

2.3.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에 영향을 준 호프만의 소설 36

2.4.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 d단조 분석 39

2.4.1. 제1곡 'Äußerst bewegt' 41

2.4.2. 제2곡 'Sehr innig und nicht zu rasch' 50

2.4.3. 제3곡 'Sehr aufgeregt' 61

2.4.4. 제4곡 'Sehr langsam' 68

2.4.5. 제5곡 'Sehr lebhaft' 73

2.4.6. 제6곡 'Sehr langsam' 80

2.4.7. 제7곡 'Sehr rasch' 85

2.4.8. 제8곡 'Schnell und spielend' 91

3. 결론 98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표목차

[표1] 슈만의 피아노 작품 목록 28

[표2]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의 전체 형식 구조 40

[표3] 제1곡의 구성 41

[표4] 제2곡의 구성 50

[표5] 제3곡의 구성 61

[표6] 제4곡의 구성 68

[표7] 제5곡의 구성 73

[표8] 제6곡의 구성 80

[표9] 제7곡의 구성 85

[표10] 제8곡의 구성 91

악보목차

[악보1] 제1곡의 A-a부분 (1-8마디) 42

[악보2] 제1곡의 A-b부분 (9-16마디) 44

[악보3] 제1곡의 A-a'부분 (17-24마디) 45

[악보4] 제1곡의 B-c부분 (25-32마디) 46

[악보5] 제1곡의 B-d와 B-c'부분 (33-48마디) 47

[악보6] 제1곡의 끝부분 (63-72마디) 49

[악보7] 제2곡의 A-a부분 (1-23마디) 51

[악보8] 제2곡의 B부분 (38-54마디) 53

[악보9] 제2곡의 C부분 (92-99마디) 55

[악보10] 제2곡의 C부분 (100-109마디) 56

[악보11] 제2곡의 연결구 부분 (119-137마디) 57

[악보12] 제2곡의 종결 부분 (146-165마디) 59

[악보13] 제3곡의 A부분 (1-32마디) 61

[악보14] 제3곡의 B-c부분 (33-48마디) 64

[악보15] 제3곡의 B-d부분 (49-68마디) 65

[악보16] 제3곡 Coda부분 (116-128마디) 67

[악보17] 제4곡 A부분 (1-11마디) 69

[악보18] 제4곡 B부분 (12-17마디) 71

[악보19] 제4곡 A'부분 (24-27마디) 72

[악보20] 제5곡 A-a부분 (1-10마디) 74

[악보21] 제5곡 A-b부분 (15-37마디) 75

[악보22] 제5곡 B-c부분 (51-57마디) 77

[악보23] 제5곡 B-d부분 (63-75마디) 79

[악보24] 제6곡 A부분 (1-10마디) 81

[악보25] 제6곡 A부분 (11-18마디) 82

[악보26] 제6곡 B부분 (19-34마디) 83

[악보27] 제6곡 A'부분 (35-39마디) 84

[악보28] 제7곡 A-a부분 (1-5마디) 86

[악보29] 제7곡 A-b부분 (9-26마디) 86

[악보30] 제7곡 B-c부분 (41-52마디) 87

[악보31] 제7곡 B-c'부분 (53-68마디) 88

[악보32] 제7곡 A'부분 (69-80마디) 89

[악보33] 제7곡의 Coda부분 (89-116마디) 90

[악보34] 제8곡 A부분 (1-7마디) 92

[악보35] 제8곡 B부분 (25-29마디) 93

[악보36] 제8곡 A'부분 (49-59마디) 93

[악보37] 제8곡 C부분 (73-88마디) 94

[악보38] 제8곡 A"부분 (113-130마디) 95

[악보39] 제8곡 A"부분 (131-145마디) 96

초록보기

 본 논문은 로버트 알렉산더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크라이슬레리아나(Kreisleriana) Op. 16〉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슈만의 피아노 음악에 나타난 낭만주의 기법과 표제음악(Program Music)에 대하여 주목하며,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의 형식, 화성, 조성, 리듬, 선율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은 18세기 고전주의 음악의 형식에서 벗어나 문학과 융합되어,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적 장르인 표제음악으로 탄생했다. 표제음악은 음악 외적인 이야기를 음악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이러한 작품들은 일상적이거나 구체적인 음악적 형식과는 별개로, 청자에게 특정한 이야기나 이미지를 묘사하고 전달하는데 중점을 둔다.

슈만은 문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환상으로, 시, 소설, 이야기 등에서 영감을 받아 문학적 내용을 암시하는 많은 작품을 썼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는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는 대표적인 성격소품이자 표제음악으로, 총 8곡으로 이루어진 모음곡 형식의 환상곡이다. 또한, 슈만은 선율의 발전이나 프레이즈, 불규칙한 리듬과 특유의 화성 등 자신의 독자적인 기법들로 낭만 음악이 화려하게 꽃피우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슈만은 의식 속에 있는 가상의 인물인 플로레스탄(Florestan)과 오이제비우스(Eusebius)의 성격적인 대조를 음악에서 표현했다.

슈만 피아노곡의 특징은 그의 많은 곡들이 문학작품에서의 인용과 주변인물 또는 상황과 연결된 암시로 가득하다는 점이다. 또한, 낭만주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즉흥적, 감정적, 공상적인 색채가 드러난다.

본 논문의 주요 초점은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에서 드러나는 리듬, 화성, 음악적 형식, 그리고 성격소품의 구성과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이 작품이 어떠한 예술적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