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 요약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방법 18
1) 연구 범위 18
2) 연구 대상 18
3) 연구 방법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정보의 정의 21
1) 정보의 어원 및 정의 21
2) 정보의 역할 및 특징 25
3) 정보처리 과정 31
제2절 배우의 연기와 정보의 관계성 34
1) 정보와 사고체계의 다양성 34
2) 정보와 정서의 관계성 45
제3장 본론 48
제1절 연구 도구 48
1) 배우에게 제공된 대본 48
2) 배우에게 제공된 3가지 정보 49
제2절 데이터 분석 방법 52
제3절 연구 결과 및 분석 53
1) 피실험자의 일반적 특성 53
2)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른 연기자의 인식 변화 차이 54
3)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른 연기의 방향성 정도 차이 57
4) 배우의 퍼포먼스 평가 58
제4장 결론 61
제1절 연구 결과를 통한 정보 양상 고찰 61
1) 배우의 인터뷰 61
2) 가장 효과적인 정보 양상 고찰 69
제2절 연구 요약 72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82
〈부록 1〉 설문지 82
〈부록 2〉 설문지 6번 서술형 문항 응답 90
〈부록 3〉 대본 95
〈부록 4〉 배우의 인터뷰 100
〈부록 4-1〉 제공된 정보에 따른 연기 변화 인식 101
〈부록 4-2〉 제공된 정보에 따른 연기 방향성 변화 102
〈부록 4-3〉 제공된 정보에 따른 유효성 & 피드백 105
ABSTRACT 108
〈표 1〉 피실험자의 일반적 특성 53
〈표 2〉 기타 항목 설문 응답 55
〈표 3〉 6번 문항 응답 공통점 55
〈표 4〉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른 연기자의 인식 변화차이 56
〈표 5〉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른 연기의 방향 정도 차이 58
〈표 6〉 공연자 플로우 측정 항목 59
〈표 7〉 배우의 퍼포먼스 평가 60
〈표 8〉 배우의 인터뷰 결과 - 정보의 해석 차이 61
〈표 9〉 배우의 인터뷰 결과 - 연기 방향성의 변화 64
〈표 10〉 배우의 인터뷰 결과 - 정보에 따른 유효성 & 피드백 67
〈그림 1〉 인간 정보처리 시스템과 인지과정 32
〈그림 2〉 인지 체계에서의 사고와 언어 34
〈그림 3〉 배우에게 제공된 정보 1 49
〈그림 4〉 배우에게 제공된 정보 2 50
〈그림 5〉 배우에게 제공된 정보 3 50
배우의 연기는 복잡한 과정의 결과이다. 즉, 배우는 시나리오, 연출자의 지시, 그리고 자신의 해석, 경험, 감각 등 다양한 정보를 수용하고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연기 지시(Direction)'로서의 정보는 배우가 살아있는 인물을 창조하는데 방향을 잡아주는 길잡이의 역할을 한다.
연기 지시자는 배우의 효과적 연기 표현을 위해 정보를 고심하여 선택하고, 전달한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은 디렉션은 배우에게 혼란을 주고, 지시가 지나치게 세세하면 배우가 주어진 지시를 엄격하게 따르면서 다소 기계적인 연기가 되거나 충동이 약화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감정 상태를 지시하는 것은 배우가 감정에 집착하여 자기 검열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 반면, 적절한 디렉션은 배우의 연기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에 따라 배우의 연기를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연기 디렉션으로서의 정보'가 배우의 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정보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은 배우에게 동일 대본을 기반으로 퍼포먼스를 세 번 진행하게 하였다. 배우는 퍼포먼스마다 장면-정보 타입 A, 장면-정보 타입 B, 장면-정보 타입 C의 순서대로 다른 정보를 지시받았으며, 이를 피실험자와 함께 관찰하였다. 제공된 정보는 인물 내면의 행위에 관한 것이었으며, 이는 목표를 수반하면서도 배우의 연기 결과를 결정짓지 않는 방향성만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결론적으로, 배우의 연기는 제공된 정보 타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배우의 연기는 정보에 따라 다른 방향을 향하며,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 변화는 배우의 뉘앙스, 정서, 행동, 상대 배우와의 교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관찰자와 배우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정보 타입은 장면-정보 타입 C였으며, 배우의 인터뷰를 통해 그 양상을 파악하였다. 장면-정보 타입 C의 언어적 표현이 배우에게 정확한 목표와 주체성을 이끌어 배우의 내적 동기부여를 활성화했으며, 다양한 전략 활용을 통해 능동적 활동과 창의적인 사고를 유도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배우의 효과적 연기 표현을 위한 명확한 디렉션은 목적에 부합하고 해석의 여지가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었다. 즉, 연기 지시자 혹은 연기 지도자는 배우가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방향만을 제시하는 정보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기 지시자, 연기 지도자 또는 배우는 효과적인 연기 표현을 위해 '정보'에 대해 새롭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