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4

제1장 서론 16

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6

제2절 연구 방법 19

제3절 논문의 구성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이론적 토대 21

1. 기술 수용 이론 21

2. 태도의 삼자 구성 이론(tripartite view of attitude) 26

3. 사회 인지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28

제2절 인적자원관리와 인공 지능 31

1. 인적자원관리 맥락에서의 인공 지능 정의 31

2. 인적자원관리 분야 인공 지능 적용 선행 연구 33

3.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 도입 동인(動力) 및 장애 요인 선행 연구 39

제3절 인사관리자의 인공 지능 수용과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41

1.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개념 41

2. 인사관리자의 인공 지능 변화 준비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43

제4절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 48

1.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의 개념 48

2. 기술 수용 맥락에서의 현상 유지 편향 51

3. 기술 수용 맥락에서의 현상 유지 편향과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의 차이 53

4.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과 변화 프레이밍 55

제5절 인공 지능 불안(Artificial intelligence anxiety) 57

제6절 기술 수용 결정요인 60

1. 지각된 기술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60

2. 지각된 사용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61

제7절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외적 지향성과 벤치마킹 행동 62

제3장 연구 설계 64

제1절 연구 모형 64

제2절 연구 가설 65

1.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이 인공 지능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65

2. 인공 지능 불안의 매개효과 67

3. 지각된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 유용성의 매개효과 69

4. 지각된 인적자원 인공 지능 사용 용이성의 매개효과 73

5. 인공 지능 불안과 지각된 유용성 및 사용 용이성의 이중 매개효과 75

6.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외적 지향성의 조절 효과 78

제4장 연구 방법 83

제1절 설문 구성과 자료 수집 방법 83

1. 설문 구성 84

2. 자료 수집 방법 85

제2절 연구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7

1. 인사관리자의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대한 몰입 87

2. 인공 지능 불안 (AI anxiety) 89

3. 지각된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 유용성 89

4. 지각된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 사용 용이성 90

5.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 사용 의도 90

6. 인적자원관리 벤치마킹 91

제3절 자료 분석 방법 92

제5장 연구결과 99

제1절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99

제2절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102

1. 자료의 정규성 검정 102

2. 탐색적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104

3. 확인적 요인 분석 113

제3절 연구 가설 검정 121

1. 연구 모형 적합도 분석 121

2. 연구 모형 경로계수 분석 123

제6장 결론 및 논의 13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33

제2절 현 관행 몰입과 인공 지능 사용 의도 사이의 심리적 경로 139

제3절 벤치마킹 활성화 정도의 조절 효과 143

제4절 연구의 시사점 145

1. 이론적 시사점 145

2. 실무적 시사점 148

제5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51

1. 연구의 한계점 151

2. 향후 연구방향 153

참고문헌 155

설문지 181

ABSTRACT 186

표목차

〈표 1〉 인공 지능의 정의 31

〈표 2〉 인적자원관리 분야 인공 지능 적용 선행 연구 35

〈표 2〉 인적자원관리 분야 인공 지능 적용 선행 연구(계속) 36

〈표 2〉 인적자원관리 분야 인공 지능 적용 선행 연구(계속) 37

〈표 2〉 인적자원관리 분야 인공 지능 적용 선행 연구(계속) 38

〈표 3〉 설문지 문항 구성 84

〈표 4〉 모형 평가 적합도 지수 및 기준값 97

〈표 5〉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 분석 결과 100

〈표 6〉 설문 문항 별 기술 통계량 분석 결과 102

〈표 6〉 설문 문항 별 기술 통계량 분석 결과 (계속) 103

〈표 6〉 설문 문항 별 기술 통계량 분석 결과 (계속) 104

〈표 7〉 지각된 유용성 요인 분석 결과 105

〈표 8〉 지각된 사용 용이성 요인 분석 결과 106

〈표 9〉 인공 지능 불안 요인 분석 결과 106

〈표 10〉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 사용 의도 요인 분석 결과 107

〈표 11〉 지각된 조직의 벤치마킹 활성화 정도 요인 분석 결과 108

〈표 12〉 현 조직의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수준 요인 분석 결과 109

〈표 13〉 인사관리자가 희망하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수준 요인 분석 결과 110

〈표 14〉 측정변수의 내적 신뢰도 분석 결과 111

〈표 15〉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항목 별 내적 신뢰도 분석 결과 112

〈표 16〉 인사관리자의 인적자원관리 관행 몰입 정도 기술 통계량 114

〈표 17〉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115

〈표 18〉 측정 모형 적합도 분석 결과 116

〈표 19〉 잠재 변수 별 관측 변수의 요인 부하량 117

〈표 20〉 잠재 변수의 평균분산추출 및 개념신뢰도 118

〈표 21〉 각 변수의 평균분산추출 제곱근과 변수 간 상관관계 비교 119

〈표 22〉 연구 모형 적합도 분석 결과 122

〈표 23〉 경로계수 분석 결과 125

〈표 24〉 인사관리자의 인적자원관리 관행 몰입 정도 특정 간접효과 127

〈표 25〉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기저 모형 적합도 130

〈표 26〉 상호 작용 항 경로 모형 검증 결과 131

〈표 27〉 연구 가설 검정 종합 135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모형 64

〈그림 2〉 구조방정식 연구 모형 121

〈그림 3〉 경로계수 분석 결과 124

〈그림 4〉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개념모형 129

초록보기

 생성형 인공 지능을 필두로 한 최근의 인공 지능 알고리즘의 발전은 조직 내 인사관리의 역할과 방식, 그리고 인사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다양한 연구들이 인사관리 관행에 인공 지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인사관리 인공 지능 서비스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적자원관리 인공 지능에 대한 인사관리자들의 우려와 반대 의견도 분명히 공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직무 수행 시 인공 지능을 활용할 사용 주체인 인사관리자 개인의 인공 지능 기술 수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인공 지능을 포함한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적용에 대한 인사관리자들의 반응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조직과 개인의 이해관계, 조직 내의 정치적 역학, 기술 도입의 방식 및 개인의 심리적, 감정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인사관리자들은 기술 중심의 변화에 대해 개별적으로 판단을 내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고 직무에 적용할지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인공 지능을 도입하는 것과 관련된 인사관리자들의 태도와 인공 지능 사용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인공 지능 적용으로 수행 방식의 변화가 예상되는 인적자원관리의 각 관행에 대해 인사관리자들이 몰입하고 있는 정도와 인공 지능 사용 의도 사이의 복잡한 심리적 연관성을 인공 지능 불안,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사용 용이성 등의 기술 수용 의도를 결정하는 정서 및 인지적 요인을 활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 다양한 산업군에 종사하는 인사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498명의 응답을 구조방정식과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사관리자들의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이 인공지능 사용 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인공 지능 불안을 매개로 한 부정적인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인사관리자들이 현재 관행에 더 몰입할수록 인공 지능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이 불안감이 인공 지능 사용 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사관리자들의 관행에 대한 강한 몰입이 인공 지능 불안과 함께 기술 수용을 저해하는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는 인사관리자의 인공 지능 불안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공 지능에 대한 불안감이 인사관리자의 현재 관행에 대한 몰입과 인공 지능 사용 의도 사이를 부(-)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인사관리자들의 관행에 대한 몰입이 인공 지능 도입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과정을 밝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사관리 분야에서 인공 지능 수용과 관련된 심리적, 조직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또, 상위 계층 이론의 중요한 개념인 관리자의 관행에 대한 몰입(commitment to the status quo)과 기술 수용 이론을 잠재적 사용자의 불안을 매개로 연계하여 확장한 점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도 함께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