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6
제2장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 18
2.1.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18
2.1.1.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목적 18
2.1.2.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19
2.2. 공공도서관의 변화 21
2.2.1.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변화 21
2.2.2.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23
2.2.3. 공공도서관의 공간변화 24
2.2.4. 공공도서관의 변화 양상 26
2.3. 공공도서관과 지역 커뮤니티 27
2.3.1.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관계 27
2.3.2. 공공도서관의 지역 커뮤니티 28
2.3.3.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구성 30
제3장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32
3.1. 특화도서관의 개념과 의미 32
3.1.1. 특화도서관의 개념 32
3.1.2. 특화도서관의 필요성 33
3.2. 특화도서관의 현황 34
3.2.1. 국내 특화도서관 현황 34
3.2.2. 특화도서관의 공간구성 38
3.3. 특화도서관 선진사례 분석 42
3.3.1. Utopia, a Library 42
3.3.2. Hamilton Public Library 44
3.3.3. Jiashan Museum & Library 46
3.3.4. Antipode Music, Youth and Cultural Center 48
3.3.5. Yuen Long District Library 50
3.3.6. Billie Jean King Main Library 52
제4장 특화도서관 계획 및 설계 54
4.1. 대상지 선정 및 분석 54
4.1.1. 대상지 선정 54
4.1.2. 대상지 현황 59
4.2. 계획의 목표 및 전략 66
4.2.1. 특화프로그램 도입 66
4.2.2. 지역 커뮤니티 형성 67
4.2.3. 디자인 전략 68
4.3. 특화도서관 공간 계획 71
4.3.1. 프로그램 계획 71
4.3.2. 공원과 연계한 저층부 73
4.3.3. 수직적 소통 공간 75
4.3.4. 오픈 플랜 76
4.3.5. 중심 특화 공간 77
4.4. 특화도서관 설계안 78
4.4.1. 배치계획 78
4.4.2. 평면계획 80
4.4.3. 단면계획 83
4.4.4. 입면계획 84
4.4.5. 내·외부 이미지 85
제5장 결론 87
5.1. 연구의 결과 87
5.2. 연구의 의의와 한계 88
참고문헌 89
ABSTRACT 92
표 1.1. 연구의 흐름도 17
표 2.1. 공공도서관의 기능 19
표 2.2. 공공도서관의 역할 20
표 2.3. 복합화의 의의 23
표 2.4. 공공도서관 건축의 변화 25
표 2.5.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공간계획 31
표 3.1. 지역 커뮤니티에서의 특화도서관 34
표 3.2. 국내 특화도서관 현황 36
표 3.3. 선행연구 내 특화 공간 유형 40
표 3.4. 특화도서관의 특화 공간 유형 41
표 3.5. Utopia, a Library 개요 42
표 3.6. Utopia, a Library 공간구성 43
표 3.7. Hamilton Public Library 개요 44
표 3.8. Hamilton Public Library 공간구성 45
표 3.9. Jiashan Museum & Library 개요 46
표 3.10. Jiashan Museum & Library 공간구성 47
표 3.11. Antipode Music, Youth and Cultural Center 개요 48
표 3.12. Antipode Music, Youth and Cultural Center 공간구성 49
표 3.13. Yuen Long District Library 개요 50
표 3.14. Yuen Long District Library 공간구성 51
표 3.15. Billie Jean King Main Library 개요 52
표 3.16. Billie Jean King Main Library 공간구성 53
표 4.1. 부평 캠프마켓의 역사 55
표 4.2. 부평 애스컴시티 내 클럽 현황 56
표 4.3. 음악 관련 부평 정책 및 사업 57
표 4.4. 대상지 주변 지역 커뮤니티 요소 58
표 4.5. 대상지 개요 61
표 4.6. 대상지 현황 분석 65
표 4.7. 시민참여 프로그램 설문조사 결과 68
표 4.8. 프로그램 구성표 72
그림 2.1. 공공도서관의 기능 21
그림 2.2. 공공도서관의 변화 24
그림 2.3. 공공도서관의 변화 양상 26
그림 2.4. 지역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27
그림 2.5.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 29
그림 3.1. 국내 특화도서관 관련 사업 진행 35
그림 3.2. 특화도서관 공간구성 39
그림 4.1. 대상지 내 특화도서관 위치 59
그림 4.2. 부평 캠프마켓 마스터플랜 60
그림 4.3. 부평 캠프마켓 구역 61
그림 4.4. 주변 문화맥락 62
그림 4.5. 주변 음악문화 현황 63
그림 4.6. 주변 역사문화 현황 64
그림 4.7. 음악의 아카이빙 66
그림 4.8. 특화도서관 디자인 전략 70
그림 4.9. 배치계획 73
그림 4.10. 배치 동선계획 74
그림 4.11. 수직적 소통 계획 75
그림 4.12. 평면 오픈 플랜 계획 76
그림 4.13. 중심 특화 계획 77
그림 4.14. 배치도 및 1층 평면도 79
그림 4.15. 2층 평면도 81
그림 4.16. 3층 평면도 82
그림 4.17. 단면계획 83
그림 4.18. 입면계획 84
그림 4.19. 메인이미지 85
그림 4.20. 내부투시도 86
공공성의 의미가 확대됨에 따라 건축에서의 공공성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공공건축은 공급자 중심과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기능으로 주민을 고려하지 않은 방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공공성의 부재를 보이고 있다. 그 중 공공도서관은 지역 커뮤니티 기능을 포함하는 공공재로써 주민의 소통을 유도하고, 소통을 통해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문화시설의 기능으로 확대되면서 주민의 여가생활을 충족시키고, 지역 문화를 활용하여 지역 이미지를 구축하는 거점으로써 여겨지고 있다. 이와 같이 공공도서관은 기존의 기능인 아카이빙과 함께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는 주체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역 커뮤니티와 문화를 만드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문화를 복합하여 주민을 위한 문화 컨텐츠를 만들고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지역주민을 위한 특화도서관을 계획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역할을 고찰하고 사회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공공도서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지역 커뮤니티 기능을 중점으로 하는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복합하면서 열린 공간으로 소통을 유도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지역 문화를 활용한 지역 거점으로써의 특화도서관을 정의하고 특화도서관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특화 형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특화도서관을 계획하는 공간 전략으로 도입한다.
특화도서관을 계획하기 위해 주거지와 인접하고 지역 문화가 형성된 대상지를 선정하였고, 지역 커뮤니티와 특화 공간을 고려한 특화도서관을 계획하였다. 계획에 반영할 키워드로 접근성, 유연성, 복합성, 확장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적용할 디자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층부 개방과 공원 연계, 둘째, 공간적 소통을 유도하는 아트리움, 셋째, 벽의 구분없는 평면 프로그램, 넷째, 중심에서 퍼지는 특화 공간으로 제시하고 특화도서관의 최종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변화에 따라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특화도서관을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만의 대표적인 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대상지를 선정하고 지역 커뮤니티와 특화 공간을 함께 고려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여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특화도서관 계획에 필요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