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Abbreviations 16
국문초록 17
Abstract 23
Ⅰ. Introduction 31
1. Necessity of this Study 31
2. Research Purposes and Questions 42
2.1. Research Purposes 42
2.2. Research Questions 44
3. Definitions of Key Terms 45
3.1. University Students 45
3.2. Psychological Capital 46
3.3. Social Support 47
3.4. Learning Engagement 47
3.5. Major Satisfaction 48
3.6. Employability 49
4. Thesis Structure 50
Ⅱ. Theoretical Background 54
1. University Students 54
1.1. The 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54
1.2.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56
1.3. Previous Studies on University Students 63
2. Psychological Capital 69
2.1. Theory and Concept of Psychological Capital 69
2.2. Dimensions of Psychological Capital 75
2.3.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82
2.4. Previous Studies on Psychological Capital 85
3. Social Support 94
3.1. Theory and Concept of Social Support 94
3.2.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100
3.3.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104
3.4. Previous Studies on Social Support 108
4. Learning Engagement 119
4.1. Theory and Concept of Learning Engagement 119
4.2. Dimensions of Learning Engagement 125
4.3. Learning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129
4.4. Previous Studies on Learning Engagement 134
5. Major Satisfaction 139
5.1. Theory and Concept of Major Satisfaction 139
5.2. Dimensions of Major Satisfaction 145
5.3.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149
5.4. Previous Studies on Major Satisfaction 153
6. Employability 156
6.1. Theory and Concept of Employability 156
6.2. Dimensions of Employability 161
6.3.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166
6.4. Previous Studies on Employability 171
7.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178
7.1.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Engagement 178
7.2.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loyability 180
7.3.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Major Satisfaction 183
7.4.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earning Engagement 187
7.5.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loyability 189
7.6.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jor Satisfaction 191
7.7.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gagement and Employability 194
7.8.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197
Ⅲ. Research Methods 201
1. Research Object and Data Collection 201
2. Research Procedure 203
3.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206
3.1. Research Model 206
3.2. Research Hypothesis 207
4. Questionnaire Design 208
4.1. Principle and procedure of questionnaire design 208
4.2. Scale for Psychological Capital 209
4.3. Scale for Social Support 211
4.4. Scale for Learning Engagement 212
4.5. Scale for Major Satisfaction 213
4.6. Scale for Employability 214
4.7. Questionnaire Description 216
5. Data Analysis Methods 218
6.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Pre-test 221
6.1.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222
6.2.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Scale 226
6.3.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Learning Engagement Scale 229
6.4.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ajor Satisfaction Scale 231
6.5.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mployability Scale 234
Ⅳ. Research Results 239
1.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239
1.1.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eneral information 239
1.2.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variable items 241
2. Reliability Analysis 245
2.1. Psychological Capital 245
2.2. Social Support 246
2.3. Learning Engagement 247
2.4. Major Satisfaction 248
2.5. Employability 249
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51
3.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252
3.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scale 254
3.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Learning Engagement scale 256
3.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ajor Satisfaction scale 258
3.5.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mployability scale 260
4.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63
4.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265
4.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scale 269
4.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Learning Engagement scale 273
4.4.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ajor Satisfaction scale 277
4.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mployability scale 281
4.6.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285
5. Path Analysis 289
5.1. Model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289
5.2. Results of model fit 290
5.3. Results of path analysis 291
6. Mediating Effects Analysis 292
6.1. Mediating effects of LN and MS between PC and EA 293
6.2. Mediating effects of LN and MS between SS and EA 296
7. Summary of the Hypotheses Test Results 299
Ⅴ. Conclusions and suggestions 301
1. Conclusions 301
2. Suggestions 307
2.1. Policy Suggestions 308
2.2. Practical Suggestions 310
2.3. Academic Suggestions 312
2.4. Future Studies 313
References 318
Appendices 363
Appendix Ⅰ 363
Appendix Ⅱ 375
[Figure 1-1] Thesis Structure 53
[Figure 2-1]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Chinese universities (2000-2021) 59
[Figure 2-2]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in China (2000-2021) 59
[Figure 3-1] Research Model 207
[Figure 4-1] Standardized Estimates of the PC Scale 267
[Figure 4-2] Standardized Estimates of the SS Scale 270
[Figure 4-3] Standardized Estimates of the LN Scale 274
[Figure 4-4] Standardized Estimates of the MS Scale 278
[Figure 4-5] Standardized Estimates of the EA Scale 282
[Figure 4-6] Standardized Estimat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90
[Figure 4-7] Mediating effect Model of LN and MS between PC and EA 294
[Figure 4-8] Mediating effect Model of LN and MS between SS and EA 297
중국의 경제 구조 조정과 국제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대학생들의 취업난 문제가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청년 실업률이 21%까지 치솟아, 취업 스트레스가 대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대학생들은 학업, 취업, 정신건강 등에서 점차 대응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고 대학생의 종합적인 역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은 대학교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대학생은 중국 교육법에서 전체적인 학력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으로 정의된다. 동시에, 대학생은 사회에서 특별한 집단으로서 고등교육을 받거나 이미 받았으며, 선진 기술과 사상을 갖추고 있으며, 혁신과 사회 진보를 추구하는 중요한 집단이다.
Fugate 등(2004)는 고용 가능성을 개인이 일과 직업에 적응하는 능력으로 설명하며, 이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이뤄진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고용 가능성은 고교 및 대학생의 종합적 능력의 기반이며, 외부 요소인 대학과 가정 등 사회적 환경과 내적인 심리적인 측면인 낙관성, 자기효능감 등이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대학생의 종합적인 능력 향상은 학습 참여와 학습한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서(2017)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높은 참여도를 보일수록 자신의 종합적인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이는 결국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이정임(2016)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전공 만족도 등이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 참여, 전공 만족도 및 고용 가능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변수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더구나, 구조 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학습 참여와 전공 만족도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용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 참여, 전공 만족도, 그리고 고용 가능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심리적 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 참여, 전공 만족도 등을 포함한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 관련 문헌과 이론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작용 메커니즘을 심층분석한다. 둘째, 실증 분석을 통해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 참여 및 전공 만족도가 이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조사하여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셋째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을 탐구하고, 이와 함께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다양한 대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대상의 특성과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학습 참여, 전공 만족도, 그리고 고용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사회적 지지가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 전공 만족도, 그리고 고용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학습 참여와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넷째,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학습 참여와 전공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다섯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 참여와 전공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여섯째, 취업이 심각한 상황에서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현재의 취업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총 650 부의 설문지를 배포했으며, 유효한 설문지는 581건으로 회수율은 89%이다. SPSS 26.0 과 AMOS 24.0 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신뢰도 분석, 탐색적 인자 분석, 확인적 인자 분석, 그리고 판별 타당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구조 방정식, 경로 분석, 그리고 매개 효과 검증 분석을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심리적 자본은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현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 또한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 참여는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전공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전공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공 만족도는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 참여와 전공 만족도가 심리적 자본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실천적, 학술적 제안을 하였다.
정책적으로는, 먼저 정부는 취업교육정책을 보완하고 실행 가능성과 지도력을 강조해야 히한다. 교육전문가를 대학교에 파견하여 국가 취업교육방침을 설명해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기업 측면에서는 인재 부족 문제와 그 원인을 대학에 반영하고 인재 양성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학교와 기업간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실천적으로는 대학이 교육이념을 업데이트하고 운영의 특색을 부각시켜야 하며, 학생의 개성과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학생들은 문제 해결능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종합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취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술적으로는, 횡단면 데이터만으로는 서로 다른 시간적 변수들 간의 밀접한 관계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제 간 전문가와 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대학생의 고용 가능성 향상과 국가, 사회, 경제의 질적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에서는 SPSS26.0 과 AMOS24.0 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했지만, 향후 다양한 데이터 분석 도구와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내용을 보다 더 확장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