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의 문제 23
Ⅱ. 이론적 배경 24
1. 노인을 위한 심리운동(Motogeragogik) 24
2. 의자 기반 프로그램 33
3. 노인의 능력과 삶의 의미 그리고 심리운동과의 관계 37
가. 신체능력과 심리운동과의 관계 37
나. 인지능력과 심리운동과의 관계 40
다. 사회정서능력과 심리운동과의 관계 44
라. 의사소통능력과 심리운동과의 관계 47
마. 노인의 능력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 49
Ⅲ.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52
1.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절차 52
가.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분석 54
나.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시안 구성 66
다. 1차 전문가 협의 및 내용타당도 검증 67
라. 예비연구 68
마. 2차 전문가 협의회 및 프로그램 수정·보완 70
바.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최종 시안 구성 71
2.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구성 72
가.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72
나.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73
다.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구조 및 운영 75
라.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평가 76
Ⅳ.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 적용 효과 77
1. 연구 방법 77
가. 연구 대상 77
나. 연구 설계 78
다. 연구 도구 78
라. 연구절차 82
마. 자료 분석 84
2. 연구 결과 및 해석 85
가.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능력에 미치는 효과 85
나.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88
다.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 93
라.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98
마.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101
3.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104
가. 회기별 경험내용 및 참여자 반응 104
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130
다. 인터뷰와 소감문을 통한 프로그램의 지원 효과 분석 132
Ⅴ. 결론 및 논의 145
1. 결론 145
가. 프로그램 개발 145
나.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146
2. 논의 148
3.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53
참고문헌 156
국문초록 180
부록 183
〈부록-1〉 연구참여동의서 184
〈부록-2〉 신체능력 측정도구_간단신체수행능력검사(SPPB) 185
〈부록-3〉 인지기능 측정도구_MMSE-K 187
〈부록-4〉 사회적능력 측정도구_사회적 행동능력 검사 191
〈부록-5〉 정서능력 측정도구_정서측정도구(AER) 194
〈부록-6〉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 195
〈부록-7〉 삶의 의미 측정도구_삶의 의미 척도(MLQ) 197
〈부록-8〉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회기별 활동 계획안 198
[그림 Ⅱ-1] Der Schubladenkasten der Motogeragogik. 30
[그림 Ⅲ-1] 프로그램의 영역별 구성요소 선정을 위한 문헌분석의 시사점 및 적용점 58
[그림 Ⅲ-2] 능력과 삶의 의미 지원에 관한 구조 및 운영 방법의 시사점 및 적용점 64
[그림 Ⅲ-3]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영역별 구성요소 7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신체능력, 인지능력, 사회정서능력과 삶의 의미를 지원하는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와 프로그램이 노인의 능력과 삶의 의미 지원에 효과가 있는지를 문제로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노인을 위한 심리운동(Motogeragogik)과 노인의 신체능력, 인지능력, 사회정서능력, 의사소통능력, 삶의 의미에 대한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목표에 대한 구성요소, 프로그램 내용 등에 대한 시사점 및 적용점을 도출하여 전문가 협의를 거쳐 시안을 구성하였다. 1차 전문가 협의와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연구, 2차 전문가 협의 및 프로그램 수정·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 시안을 개발하였다.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노인 22명(실헙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에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기를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신체능력, 인지능력, 사회정서능력, 의사소통능력, 삶의 의미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토대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질적인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의 회기별 경험내용 및 참여자 반응, 만족도 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신체능력 및 신체능력의 하위요인 중 균형, 일어서기에서 양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상지근력, 하지근력, 신체조절 그리고 신체 및 감각 활성화의 지원과 경험을 통해 신체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인지능력 및 인지능력의 하위요인 중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 집중 및 계산, 판단력 및 언어력에서 양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기억력, 작업기억, 회상, 지시에 의한 모방, 이중 작업, 주의집중 그리고 작전구사 및 문제해결능력의 지원과 경험을 통해 인지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사회정서능력 및 사회정서능력의 하위요인 중 언어적인면, 비언어적인면, 대화의 내용적인면에서 양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지지와 격려, 공감, 경쟁하기, 협동하기 그리고 환경·타인·자기 인식의 지원과 경험을 통해 사회정서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 중 회화, 인지력과 인식, 커뮤니케이션에서 양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표현하기, 경험공유, 경청, 수용, 의사전달, 의도파악, 요구하기 그리고 거절하기의 지원과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노인을 위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삶의 의미 및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 중 의미의 존재와 의미의 추구에서 양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신체능력, 인지능력, 사회정서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신의 가치 인식, 의미 추구 그리고 즐거운 삶의 지원과 경험을 통해 삶의 의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자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노인의 능력과 삶의 의미 지원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삶의 의미 증진과 전인적 발달과 관련된 능력에 대한 유지 및 확장을 위해 효과적인 지원 방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