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목적 15
3. 연구가설 15
4. 연구의 제한점 16
Ⅱ. 이론적 배경 17
1. 신장성 운동 후 근육 손상 17
2. 근육 손상의 간접적 지표 21
1) 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21
2)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22
3) 크레아틴 인산화효소(Creatine kinase; CK) 23
4) 젖산 탈수소효소(Lactic dehydrogenase; LDH) 24
3. 카페인(Caffeine) 26
4. 근육 손상에 대한 카페인의 작용 29
Ⅲ. 연구방법 32
1. 연구대상 32
2. 연구절차 33
3. 신장성 운동 프로토콜 34
4. 카페인 35
5. 측정항목 36
1) 신체계측 36
2) 지연성 근육통 37
3) 관절가동범위 38
4) 근 손상 지표 39
6. 측정도구 40
7. 자료분석 43
Ⅳ. 결과 44
1. 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44
2.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47
1) ROM(Right) 47
2) ROM(Left) 50
3. 크레아틴 인산화효소(Creation Kinase; CK) 53
4.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56
Ⅴ. 논의 59
1. 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59
2.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61
3. 크레아틴 인산화효소(Creatine kinase; CK) 63
4.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anase; LDH) 65
Ⅵ. 결론 및 제언 67
1. 결론 67
2. 제언 68
참고문헌 69
ABSTRACT 91
부록 93
부록 1. 연구대상자 사전설문지 93
부록 2. 연구대상자 측정항목 기록지 94
부록 3. 연구참여 동의서 95
〈Table 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2
〈Table 2〉 Eccentric exercise protocol 34
〈Table 3〉 Measuring tool 40
〈Table 4〉 Changes in DOMS by CAFF and CON 44
〈Table 5〉 Interaction effect on DOMS between group and period 45
〈Table 6〉 Changes in ROM(R) by CAFF and CON 47
〈Table 7〉 Interaction effect on ROM(R) between group and period 48
〈Table 8〉 Changes in ROM(L) by CAFF and CON 50
〈Table 9〉 Interaction effect on ROM(L) between group and peroid 51
〈Table 10〉 Changes in CK by CAFF and CON 53
〈Table 11〉 Interaction effect on CK between group and period 54
〈Table 12〉 Changes in LDH by CAFF and CON 56
〈Table 13〉 Interaction effect on LDH between group and period 57
〈Figure 1〉 Chemical structure of caffeine 26
〈Figure 2〉 Study process 33
〈Figure 3〉 Eccentric exercise 34
〈Figure 4〉 Caffeine 35
〈Figure 5〉 Measurement of Inbody 36
〈Figure 6〉 Measurement of DOMS 37
〈Figure 7〉 Measurement of ROM 38
〈Figure 8〉 Blood collection 39
〈Figure 9〉 Body composition measuring tool 41
〈Figure 10〉 CK and LDH measuring tool 41
〈Figure 11〉 Goniometer 42
〈Figure 12〉 VAS 42
〈Figure 13〉 CB-200 42
〈Figure 14〉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eriod(post, 24hr, 48hr, 72hr) within the group in DOMS 46
〈Figure 15〉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eriod in ROM(R) 49
〈Figure 16〉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eriod(post, 24hr, 48hr, 72hr) within the group in ROM(L) 52
〈Figure 17〉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eriod(post, 24hr, 48hr, 72hr) within the group in CK 55
〈Figure 18〉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eriod(post, 24hr, 48hr, 72hr) within the group in LDH 58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남성의 하지 신장성 운동 후 5mg/kg의 카페인 섭취에 따른 지연성 근육통(DOMS), 관절가동범위(ROM), 근 손상 지표(CK, LDH)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카페인 섭취가 근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최근 3개월간 규칙적인 저항 훈련 경험이 없고, 의학적으로 신체에 특별한 질환이 없으며, 카페인 섭취로 인한 부작용 경험이 없는 20대 남성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무작위배정(randomization)으로 카페인 섭취 그룹(Caffeine group; CAFF; n=4), 위약 섭취 그룹(Control group; CON; n=4)으로 분류하였다. 하지의 신장성 운동 프로토콜은 레그익스텐션 기구를 이용하여 1RM 75%의 부하로 12회씩 6세트, 세트 간 휴식시간은 2분으로 실시하였으며, 메트로놈의 속도에 맞추어 1회당 신장성 수축은 3초, 단축성 수축은 1초로 실시하였다. DOMS, ROM, CK, LDH는 운동전(pre), 운동직후(post), 운동 24시간 후(24hr), 운동 48시간 후(48hr), 운동 72시간 후(72hr) 측정하였으며, 5mg/kg의 카페인 또는 위약은 DOMS, ROM, CK, LDH의 측정시기(post, 24hr, 48hr, 72hr) 1시간 전에 섭취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시기 내 두 그룹(CAFF, CON)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으며, 두 그룹(CAFF, CON) 간, 시기(post, 24hr, 48hr, 72hr) 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 이원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룹 내 운동전(pre)과 시기(post, 24hr, 48hr, 72hr)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ROM(R)은 24hr, 48hr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1), ROM(L)은 24hr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DOMS, CK, LDH에서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신장성 운동 후 5mg/kg의 카페인 섭취는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여 ROM의 감소로부터 빠르게 회복시키고, 근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DOMS, CK, LDH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