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Ⅰ. 서론 1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8
Ⅱ. 친자 상호 작용(親子相互作用) 가구디자인과 니팅(Knitting)기법에 대한 고찰 21
1. 친자 상호 작용(親子相互作用) 가구디자인 21
1) 친자 상호 작용(親子相互作用) 가구디자인의 정의 21
2) 친자 상호 작용(親子相互作用) 가구디자인의 종류 22
3) 친자 상호작용(親子相互作用) 가구디자인의 기능 27
4) 친자 상호작용(親子相互作用) 가구디자인의 특성 34
2. 니팅(Knitting)기법과 아동 심리에 대한 연구 40
1) 니팅(Knitting)재료와 아동 심리 40
2) 니팅(Knitting)기법의 응용 44
3. 놀이와 아동 심리에 대한 연구 46
1) 놀이와 아동 심리 46
2) 놀이 개념을 응용한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의 유형 49
Ⅲ. 선행 작가 연구 53
1. 토시코 호리우치(Toshiko Horiuchi, 1940-) 53
2. 할 러셀 테일러(Hal Russell Taylor, 1975-) 56
3. 김재욱 (Kim Jaewook, 1983-) 57
Ⅳ. 연구 작품의 분석과 제작과정 61
1. 연구 작품의 배경 및 주요 개념 61
1) 작품의 배경 61
2) 작품의 주요 개념 63
2. 연구 작품의 통합적 분석 64
1) 연구 작품의 재료 분석 64
2) 연구 작품의 기법 분석 68
3) 연구 작품의 색상 분석 71
4) 연구 작품의 조형 분석 73
3. 연구 작품의 개별적 분석 76
1) 가구I-테이블 76
2) 가구II-긴 스툴 78
3) 가구III-스툴I 80
4) 가구IV-스툴II 81
5) 가구V-조명 82
6) 가구VI-티테이블 84
7) 가구VII-수납장 85
4. 연구 작품 제작과정 및 도면 87
1) 가구I-테이블 87
2) 가구II-긴 스툴 91
3) 가구III-스툴I 95
4) 가구IV-스툴II 99
5) 가구V-조명 103
6) 가구VI-티테이블 107
7) 가구VII-수납장 111
Ⅴ. 결론 117
참고문헌 122
ABSTRACT 127
〈표 1〉 연구 체계도 20
〈표 2〉 4-6세 아동의 인체치수표(서기와 앉기) 27
〈표 3〉 아동의 앉은 자세 측정 치수 대동작 발전표 29
〈표 4〉 성인의 인체치수표(서기) 30
〈표 5〉 성인의 인체치수표(앉기) 30
〈표 6〉 인체 팔의 움직임 범위 31
〈표 7〉 인체 취물 동태 32
〈표 8〉 세 가지 변수 48
〈표 9〉 재질이 다른 가구의 특징 65
〈표 10〉 아동 관련 가구 디자인에 많이 쓰이는 원목 소재[표없음] 66
〈표 11〉 친자 상호 작용 가구 조형 디자인 과정 75
〈표 12〉 가구I-테이블의 작품진행과정 87
〈표 13〉 가구II-긴 스툴의 작품 진행과정[표없음] 91
〈표 14〉 가구III-스툴I의 작품진행과정[표없음] 95
〈표 15〉 가구IV-스툴II의 작품진행과정 99
〈표 16〉 가구V-조명의 작품진행과정[표없음] 103
〈표 17〉 가구VI-티테이블의 작품진행과정[표없음] 107
〈표 18〉 가구VII-수납장의 작품진행과정[표없음] 111
(그림 1) 상호 작용 관계 설명도[그림없음] 22
(그림 2) Popot작은 목마 가구 23
(그림 3) Steps친자 상호 작용 스툴 23
(그림 4) Growth Table 성장 테이블 24
(그림 5) '주사위' 스툴 24
(그림 6) Animaze모듈식 가구 25
(그림 7) PS30 모듈식 소파 25
(그림 8) 블록 사각 테이블 26
(그림 9) 스마트 친자 테이블 및 스마트 침대 26
(그림 10) 아동 사유 체계도 34
(그림 11) 앉을 수 대고 눕힐 수 있는 의자 35
(그림 12) 친자 공용 스툴 37
(그림 13) 스토리 침대 39
(그림 14) 할로의 갠지스강 원숭이 실험 '젖 있는 철사 원숭이 & 젖 없는 플리스 원숭이' 41
(그림 15) 겁에 질린 원숭이는 꼭 껴안고 '플리스 엄마' 42
(그림 16) 털실과 목재, 금속이 각각 결합된 디자인 43
(그림 17) 니팅(Knitting)기법 45
(그림 18) 흔들리는 '플리스 엄마'는 아기 원숭이와 함께 놀 수 있다 47
(그림 19) 노는 원숭이 47
(그림 20) 퍼즐 의자 51
(그림 21) 'Hole hole' 상호 작용 테이블과 의자 52
(그림 22) 일본 하코네 노천박물관(기노넷)의 내부 모습 54
(그림 23) 'Rainbow Net' 54
(그림 24) 일본 하코네 노천박물관(기노넷) 부분 55
(그림 25) 스토리 타임 전용 흔들의자/StoryTime Rockin 57
(그림 26) 'Abooba'의자 58
(그림 27) 'Abooba'의자의 부분 58
(그림 28) 'Abooba'의자의 상호 작용 59
(그림 29) '미궁' 스툴 62
(그림 30) 판형 구조의 가구 기법 69
(그림 31) 기본적인 침법 70
(그림 32)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긴 테이블 부품 및 조명 부품 71
(그림 33) 털실의 색상 선택 72
(그림 34) 유형별 놀이 아동에 대한 촉진 작용 73
(그림 35) 가구I-테이블의 부분 77
(그림 36) 가구I-테이블의 상호 작용 77
(그림 37) 가구II-긴 스툴의 부분 79
(그림 38) 가구II-긴 스툴의 상호 작용 79
(그림 39) 가구III-스툴I의 부분 80
(그림 40) 가구III-스툴I의 상호 작용 81
(그림 41) 가구IV-스툴II의 부분 81
(그림 42) 가구IV-스툴II의 상호 작용 82
(그림 43) 가구V-조명의 부분 83
(그림 44) 가구V-조명의 상호 작용 83
(그림 45) 가구VI-티테이블의 부분 84
(그림 46) 가구VI-티테이블의 상호 작용 85
(그림 47) 가구VII-수납장의 부분 86
(그림 48) 가구VII-수납장의 상호 작용 86
(그림 49) 가구I-테이블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3d 수지 인쇄, 1900mm×880mm×740mm 88
(그림 50) 가구I-테이블 디테일부분 89
(그림 51) 가구I-테이블의 도면 90
(그림 52) 가구II-긴 스툴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3d 수지 인쇄, 1600mm×400mm×450mm 92
(그림 53) 가구II-긴 스툴 디테일부분 93
(그림 54) 가구II-긴 스툴의 도면 94
(그림 55) 가구III-스툴I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3d 수지 인쇄, 420㎜×420㎜×420㎜ 96
(그림 56) 가구III-스툴I 디테일부분 97
(그림 57) 가구III-스툴I의 도면 98
(그림 58) 가구IV-스툴II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3d 수지 인쇄, 350㎜×350㎜×350㎜ 100
(그림 59) 가구IV-스툴II 디테일부분 101
(그림 60) 가구IV-스툴II의 도면 102
(그림 61) 가구V-조명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3d 수지 인쇄, 1600mm×600mm×1150mm 104
(그림 62) 가구V-조명 디테일부분 105
(그림 63) 가구V-조명의 도면 106
(그림 64) 가구VI-티테이블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450mm×450mm×405mm 108
(그림 65) 가구VI-티테이블 디테일부분 109
(그림 66) 가구VI-티테이블의 도면 110
(그림 67) 가구VII-수납장 2023, 백 단풍 나무, 털실, 1570mm×550mm×250mm 112
(그림 68) 가구VII-수납장 디테일부분 113
(그림 69) 가구VII-수납장의 도면 114
(그림 70)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1) 115
(그림 71)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2) 115
(그림 72)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3) 116
(그림 73) 박사학위 청구전 전시 전경(4) 116
친자(親子)는 부모와 자녀를 말한다. 친자 관계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혈연관계가 있는 두 세대를 가리키는 유전학적 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학적 정의로 사회관계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말하며 주로 법률, 제도, 지위 등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논문에서 연구할 대상의 범위이기도 하다.
친자 상호작용 가구디자인은 '상호작용'을 형식으로 부모와 아동이 공동으로 가구를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 좋은 사용 경험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하여 친자 관계 향상을 위한 감정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미국 유명한 심리학자 아브라함 매슬로우(Abraham Maslow)는 생리적, 안전적 요구를 충족시킬 때 인간은 더 높은 수준의 욕구인 감정적 욕구를 추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가구를 구입할 때 기능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도 점차 구매의 필수 조건으로 고려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을 창작 주제로 선택한 이유는 첫째,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고, 친자 관계 관련 연구가 제품 디자인, 시각 전달 디자인, 상품 포장 디자인 등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의 소수의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은 아동위주로 고려하고 부모의 감각 소홀히 하며 형태가 단순하고 체계적이지 않다. 셋째, 친자의 공용와 상호 작용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것은 연구의 어려움이다. 따라서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을 창작 주제로 선택한 목적은 첫째, 가족 내 친자 관계의 상호 작용 부족을 해결하는 것이다. 둘째, 전통적인 사고에서 가구 사용자의 고정관념을 바꾼다. 셋째, 부모와 아동이 공동으로 가구를 사용하는 쌍방의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넷째, 친자관계를 향상시킨다.
본 연구 논문의 연구 초점은 부모와 아동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의 정서적 욕구에서 출발하여 부모와 자녀의 상호 작용과 가구디자인의 상호 작용을 증진시키는 더 많은 아이디어를 찾는 것이다. 우선 원숭이 실험과 아동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부드러운 섬유질 소재를 선호하며 성인과 아동 모두 '부드러운 물건 애착'이라는 심리적 특성을 갖고 있다. 털실 소재의 부드러움으로 인해 골격 지지대로 다른 재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목재 가구에 니팅 기법을 적용하면 조형 디자인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런 다음 원숭이 실험과 아동 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놀이는 아동의 천성이며 놀이는 아동의 건강한 생리적, 심리적 성장을 보장할 수 있다. 가구디자인에 놀이 요소를 가미하면 가구는 장난감처럼 재미있어지고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교감에도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니팅 기법을 적용하여 놀이 요소를 통합하고 물리적 기능을 중시하는 가구를 감정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시각적 장치로 전환하여 부모와 아동의 공용을 충족시키고 부모, 아동과 가구 사이의 상호 작용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를 좁힌다.
본 연구 논문의 구조는 총 서론-본론-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I장 서론에서는 당면한 문제에 대하여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을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를 밝히고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II장은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 니팅 기법 및 놀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연구자는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을 정의, 종류, 기능, 특성 등 4가지 측면에서 연구 및 분석하고, 니팅 기법과 목재 가구의 융합의 장점과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에서 놀이 개념의 긍정적인 감정 지향적 역할을 요약하여 연구 논문에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
III장은 선행 작가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다. 연구자는 각각 선행 작가 토시코 호리우치(Toshiko Horiuchi, 1940-), 할 러셀 테일러(Hal Russell Taylor, 1975-), 김재욱(Kim Jaewook, 1983-)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진행했다.
IV장은 연구 작품의 제작 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본 장에서는 2023년 3월 연구자 박사학위 청구전에 발표된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첫째, 작품의 연구 배경과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했다. 둘째, 연구작품의 재료, 기법, 색채, 조형 등 네 가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셋째, 연구작인 '가구' 시리즈의 개발·제작 과정을 분석했다. 전체 가구 시리즈의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에 니팅(Knitting)기법과 놀이요소를 통합했다. 안전하고 편안한 소재, 합리적 기법, 밝고 부드러운 색채와 생동감 있고 재미있는 조형을 통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면서도 놀이 감성이 풍부한 가구 작품 디자인을 검증한다.
V장은 결론이다. 결론은 먼저 연구 작품의 사례분석을 통해 전반적으로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의 상호 작용 체험감과 재미를 체계적으로 표현하였다.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은 인식 수준에서 볼 때 아동의 인식 선호도에 부합하면 아동의 상호 작용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경험의 관점에서 볼 때 아동의 행동 능력과 행동 선호도를 고려하면 상호 작용 경험의 원활한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 상황적 관점에서 볼 때 다양한 공간 환경을 제공하여 아동이 풍부한 공간 변화로 인한 다양적 경험과 상상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부모, 아동 및 가구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고 상호 작용 행동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은 기능 디자인에서 기능 조절 및 사용 범위를 파악하고 부모와 아동이 공유되고 다양한 경험을 만족시키는 사용 기능 및 재미, 상호 작용, 친밀함, 놀이의 휴식 기능을 강조하여 안내 기능과 아동의 성장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조형 디자인 측면에서 단순하고 자연스러우며 안전한 조형물을 고려하고 아동의 내면의 취향과 미학에 맞는 부드럽고 따뜻한 색상을 사용해야 한다. 재료 사용에 있어 천연 및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선택하고 재료의 안전성 및 가변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동시에 다양한 재료로 인한 시각적 및 촉각적 경험은 친자 상호 작용 동반 및 지도 교육을 촉진한다. 기법 면에서는 현대 기술을 활용해 유연하게 변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향후 관련 연구자들이 친자 관계 디자인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며, 친자 상호 작용 가구디자인의 후속 개발을 위한 시도적 탐색과 혁신에 일부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