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대표작품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Ⅱ. 취약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15
1. 인간 취약성 15
2. 미셀 푸코의 규율 사회 18
1) 미시적 권력 20
2) 감시의 내재화 22
3. 질 들뢰즈의 통제 사회 24
4. 규율사회 및 통제사회와 관련된 취약성 27
Ⅲ. 선행작가 연구 31
1. 프리드리히 아인호프(Friedrich Einhoff)-취약의 성격 31
2. 마를렌 뒤마(Marlene Dumas)-추악 제조 35
3. 아이 웨이웨이 (Ai Weiwei)-강권 비판 38
Ⅳ. 〈취약의 상(像)〉 작품 연구 42
1. 〈취약의 상(像)〉 내용 연구 42
2. 〈취약의 상(像)〉형식 연구 45
1) 취약성과 텍스처 45
2) 취약성과 흑백 48
3. 석판화 텍스처로 표현하는 인간 취약성 52
1) 해먹 기법과 통제불능성 53
2) 토너가루 기법과 근성 55
Ⅴ. 결론 59
참고문헌 72
ABSTRACT 75
[도판 1] Friedrich Einhoff, 〈Figurengruppe〉, Acrylic, charcoal and sand on canvas, 49x60cm, 2008 33
[도판 2] Friedrich Einhoff, 〈Untitled〉, 1997 33
[도판 3] Friedrich Einhoff, 〈Untitled〉, Acrylic, charcoal and sand on canvas,... 34
[도판 4] Marlene Dumas, 〈Black Drawings〉, ink on paper, 230x295cm, 1991-1992 36
[도판 5] Marlene Dumas, 〈Dead Marilyn〉, Oil on canvas, 40x50cm, 2008 37
[도판 6] Ai weiwei, 〈Straight〉, 2008-2011(Brooklyn Museum installation view, 2014) 39
[도판 7] Ai Weiwei, 〈Remembering〉, 2009, backpacks on thefacade of the Haus der Kunst* (Munich) 39
[도판 8] 케테 콜비츠, 〈죽음〉, 석판화 연작, 1934-1937 49
[도판 9] 〈aīaíaǐaì〉 드로잉 과정 53
[도판 10] 토너가루, 알콜, 세제 56
[도판 11] 토치로 이미지를 고정하함 56
[작품 1] Zhu Yuwei, 〈The Diary of Lunatics〉, 60×280cm, Lithography, 2023 62
[작품 2] Zhu Yuwei, 〈Hold me close to your dead heart〉, Lithography, 90×70cm, 2023 63
[작품 3] Zhu Yuwei, 〈When silence Drowns the Screams〉, Lithography, 70×90cm, 2023 64
[작품 4] Zhu Yuwei, 〈aīaíaǐaì〉, Lithography, 70×90cm, 2023 65
[작품 5] Zhu Yuwei, 〈I Don't Have a Gun〉, Lithography, 70×90cm, 2023 66
[작품 6] Zhu Yuwei, 〈Children of the Grave〉, Lithography, 90×70cm, 2023 67
[작품 7] Zhu Yuwei, 〈Comfortably Numb〉, Lithography, 90×70cm, 2023 68
[작품 8] Zhu Yuwei, 〈Lie to Myself to Lie to Others〉, Lithography, 70×90cm, 2023 69
[작품 9] Zhu Yuwei, 〈Got Me on My Knees〉, Lithography, 90×70cm, 2023 70
[작품 10] Zhu Yuwei, 〈Clap Your Hands〉, Lithography, 70×90cm, 2023 71
인간은 육체적 측면 뿐 아니라 정서적, 감정적 측면에서도 취약한 존재다. 취약성은 그 동안 생명윤리나 페미니즘 윤리와 같은 특수한 영역 안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트랜스휴머니즘 담론과 함께 인간의 취약성은 초학제적 연구 분야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자는 이 같은 시대적 흐름 속에서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이미지 표현에 관심을 두고, 판화매체를 통해 이를 구현해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취약성은 권력 장치나 사회체제와 같은 상황적 취약성에 가깝다. 본인은 석판화 조형기법 연구를 통해 다양한 흑백 이미지의 '취약성'표현을 탐구해왔다. 특히 2023년 석사학위청구전에서 집단주의 배경에서 불건전한 여론 환경의 사례로 〈The Diary of Lunatics〉를 제시한 이후에는 특정 사회적 맥락 속에서 취약성이라는 주제에 더 깊이 몰입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권력장치에서 억압받는 사람들의 이야기, 규율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사람들의 무력함을 '취약성'과 접목시켜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푸코의 규율 사회와 들뢰즈의 통제 사회이론은 취약성을 발생하게 하는 사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개인의 행동과 사고는 권력 구조의 감시 아래 제약을 받으며, 변화하는 정보 환경 속에서 조작되고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취약성을 드러낸다.
본인의 작품 〈취약의 상(像)〉은 빈곤, 사회적 배제, 전쟁, 난민 위기 등 사회적 문제와 불평등을 반영하며, 사회 구조에서 취약한 사람들의 삶을 주제로 한다. 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직면할 수 있는 동시대의 위기상황과 존재론적 취약함을 인지하도록 유도한다.
논문에서는 선행작가로 프리드리히 아인호프(Friedrich Einhoff), 마를렌 뒤마(Marlene Dumas), 아이 웨이웨이(Ai Weiwei)를 선정해 그들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각 작가들은 '취약의 성격', '추악 제조', '강권 비판'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이들의 작품은 연구자에게 영감을 주었을 뿐 아니라, 개인적 경험 및 견해와 결합되어 취약성이라는 주제에 집중하게 했다. 본인의 작품 〈취약의 상(像)〉은 이러한 시대반영의 표현으로, 논문에서는 석판화의 특수한 표현이 취약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드러나게 하는지 서술하였다. 해먹 기법과 토너가루 기법은 취약성을 표현하는 데 주요 기법으로 석판화에서의 방법으로 보여주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사회, 특히 규율 사회와 통제 사회에서 인간의 취약성이 어떻게 이미지로 발현되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푸코의 규율 사회와 들뢰즈의 통제 사회라는 렌즈를 통해 우리는 이러한 환경에서 개인이 물리적으로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큰 억압과 무력감을 느낀다는 것을 인식한다. 취약성은 보편적이고 다양한 특성으로서 신체적 특성뿐만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으로도 구현된다. 본 논문은 판화라는 예술적 언어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성찰하는 동시에 취약성 이면의 힘과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