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國文抄錄

목차

Ⅰ. 머리말 11

Ⅱ. 明淸시대 北京의 시각화 전통 24

1. 북경의 역사와 수도로서의 위상 24

1) 북경의 역사 24

2) 명·청대 북경성의 도시구조와 帝都의 위상 27

2. 중국과 서양의 북경 인식과 재현 30

1) 중국의 북경 인식과 재현 30

2) 서양의 북경 인식과 재현 45

Ⅲ. 19세기 후반 北京 風俗의 시각화 61

1. 鴉片戰爭 이후 북경의 위기와 쇠락 61

2. 서양 出版物新聞 揷畵 속 북경 이미지 65

3. 輸出風俗畵 속 북경 이미지 78

Ⅳ. 20세기 전반 중국인의 北京風俗畵 92

1. 民國시기 북경의 정치 문화적 상황 92

1) 신해혁명과 민국시기 북경 사회 92

2) 신문화운동과 학계··미술계의 변화 94

2. 중국인의 현실 인식과 예술적 실천 99

1) 진사증의 문화적 배경과 예술적 탐색 99

2) 《북경풍속도》의 제작과 표현적 특징 101

3) 진사증의 북경 인식과 예술적 실천 108

3. 동시대적 실천과 후대 영향 113

1) 《북경풍속도》의 인식과 소비 113

2) 동시대적 실천과 《북경풍속도》의 영향 115

Ⅴ. 20세기 전반 외국인의 北京 風俗 재현 122

1. 일본인의 전통 인식과 민간문화 기록 122

1) 일본의 중국 취미 유행과 북경 인식 122

2) 靑木正兒의 《北京風俗圖譜 》 제작과 표현 127

2. 서양인의 전통 예찬과 제국유산 애호 143

3. '文化故都 北平'과 '老北京' 이미지의 형성 164

Ⅵ. 맺음말 171

參考文獻 177

圖版 212

Abstract 259

中文摘要 265

도1. 금·원·명·청의 북경성 212

도2. 북경성의 4중 구조 212

도3. 〈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 『輿地圖』, 18세기 말, 31x21.5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12

도4. 〈八旗方位總圖〉, 『八旗通志』, 1739 212

도5. 張若澄, 〈瓊島春陰〉, 《燕山八景圖》, 乾隆年間, 34x40.3㎝, 北京 故宮博物院 212

도6. 〈北京宮城圖〉, 15세기, 169.5x100㎝, 絹本設色, 中國國家博物館 212

도7. 〈北京城宮殿之圖〉, 明 萬曆年間, 日本 東北大學圖書館 212

도8. 〈北京城宮殿之圖〉, 明 萬曆年間, 日本 東北大學圖書館 212

도9. 〈皇城宮殿衙署圖〉, 1669, 臺北國立故宮博物院 213

도10. 徐揚, 〈京師生春詩意圖〉, 1767, 256x233.5㎝, 紙本設色, 北京故宮博物院 213

도11. 徐揚, 〈京師生春詩意圖〉 13首 '元會' 부분 213

도12. 丁觀鵬, 〈太簇始和圖〉, 乾隆年間, 179.3x108.4㎝, 臺北國立故 宮博物院 213

도13. 〈太簇始和圖〉 '희대', '줄타기' 부분 213

도14. 郞世寧 등, 〈平定回部獻俘圖〉, 《平定准噶爾回部得勝圖》 제14폭, 銅版畵, 58x95㎝, 臺北國立故宮 博物院 213

도15. 郞世寧 등, 〈紫光閣凱宴成功諸將士圖〉, 《平定准噶爾回部得勝圖》 제16폭, 1770, 銅版畵, 58x95㎝, 臺北國立故宮博物院 213

도16. 金廷標 등, 〈萬國來朝圖〉, 《臚歡薈景圖冊》, 1771, 絹本設色, 97.5x161.2㎝, 北京故宮博物院 214

도17. 〈乾隆八旬萬壽慶典圖卷〉 부분, 1797, 北京故宮博物院 214

도18. 王翬 등, 〈康熙南巡圖卷〉 제1권 부분, 1689년경, 絹本設色, 67.8x1555㎝, 北京故宮博物院 214

도19. 王翬 등, 〈康熙南巡圖卷〉 제12권 부분, 1689년경, 絹本設色, 67.8x2612.5㎝, 北京故宮博物院 214

도20. 〈皇都績勝圖卷〉 부분, 1609년경, 絹本設色, 32x2182.6㎝, 中國國家博物館 215

도21. 〈皇都績勝圖卷〉 '棋盤街' 부분 215

도22. 徐揚, 〈日月合壁五星聯珠圖〉 부분, 1761, 紙本設色, 48.9x1342.6㎝, 臺北國立故宮博物院 215

도23. 〈乾隆京城全圖〉 부분, 1745-50, 1400x1320㎝, 中國第一歷史檔案館 215

도24. 王紱, 〈居庸疊翠〉, 〈北京八景圖卷〉, 明, 紙本水墨, 42.1x2006.5㎝, 中國國家博物館 215

도25. 〈皇都績勝圖卷〉 '居庸關' 부분 216

도26. 王紱, 〈瓊島春雲〉, 〈北京八景圖卷〉, 明, 紙本水墨, 42.1x2006.5㎝, 中國國家博物館 216

도27. 張寶, 〈帝城春色〉, 『泛槎圖』, 1820 216

도28. 麟慶, 〈帝城展覲〉, 『鴻雪因緣圖記』 第2 集 上冊, 淸 (19세기) 216

도29. 麟慶, 〈淨業壽荷〉, 『鴻雪因緣圖記』 第3集 上冊, 淸(19세기) 216

도30. 麟慶, 〈金鰲歸里〉, 『鴻雪因緣圖記』 第3集 上冊, 淸(19세기) 216

도31. 요한 니외호프, 『중국 황제를 접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사절단』 표지화, 1665 217

도32. 요한 니외호프, 〈북경성〉, 『중국 황제를 접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사절단』, 1665 217

도33. 요한 니외호프, 〈북경 황궁 조감도〉, 『중국 황제를 접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사절단』, 1665 217

도34. 요한 니외호프, 〈북경 황궁의 안쪽 전망-오문〉, 『중국 황제를 접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사절단』, 1665 217

도35. 요한 니외호프, 〈중국 남경의 유리탑 풍경〉, 『중국 황제를 접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사절단』, 1665 217

도36.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붓을 든 중국인〉, 『중국도설』, 1667 217

도37. 장 밥티스트 뒤 알드, 〈중화제 국의 수도-북경지도〉, 『중화제국전지』 권1, 1735 218

도38. 장 밥티스트 뒤 알드, 〈황제의 왕좌〉, 『중화제국 전지』, 1735 218

도39. 장 밥티스트 뒤 알드, 〈혼례행렬〉, 『중화 제국전지』 권2, 1735 218

도40. 장 밥티스트 뒤 알드, 〈강희제〉, 『중화제국전지』 권1, 1735 218

도41. 蔣友仁·王致誠 등, 〈海宴堂西面十〉, 《圓明園銅版畵冊》, 1724, 銅版畵, 50.5x87.5㎝, 北京故宮博物院 218

도42. 보베 공방, 〈천문학자들〉, 《중국 황제 연작》, 1697-1705, 태피스트리, 318.8x424.2㎝, 게티미술관 218

도43. 프랑수아 부셰, 〈중국식 정원〉, 1742, 캔버스에 유채, 40.5x48㎝, 브장송 고고학 미술 박물관 219

도44. 토마스 히키, 〈드로잉〉, 1792-94, 수채, 27x37.7㎝, 영 국박물관 219

도45. 제임스 길레이, 〈북경 황궁에서의 외교관과 그 일행의 접견〉, 1792, 손으로 그린 에칭, 32x39.9㎝, 영국 국립초상화미술관 219

도46. 윌리엄 알렉산더, 〈古北口 萬里長城〉, 『英使謁見 乾隆紀實』, 1797, 55.9x38.7㎝ 219

도47. 윌리엄 알렉산더, 〈북경의 황궁 정원〉, 『영사알현 건륭기실』, 1797, 55.9x38.7㎝ 219

도48. 윌리엄 알렉산더, 〈北京 西直門外〉, 『영사알현 건륭기실』, 1797, 55.9x38.7㎝ 219

도49. 윌리엄 알렉산더, 〈戰虎〉, 『中國服飾』, 1805, 동판에 채색, 32x26㎝ 220

도50. 윌리엄 알렉산더, 〈똥을 줍는 아이〉, 『중국인의 복식과 예속』, 1814 220

도51. 윌리엄 알렉산더, 〈길거리의 대장장이〉, 『중국인의 복식과 예속』, 1814 220

도52. 윌리엄 알렉산더, 〈枷刑〉, 『중국인의 복식과 예속』, 1814 220

도53. 조지 메이슨, 〈上枷鎖〉, 『중국 혹형』, 1801 220

도54. 〈繡花〉, 19세기 중기, 水粉畵, 36.8x27㎝, 영국도서관 220

도55. 조지 메이슨, 〈繡花〉, 『중국 복식』, 1789(광주판) 220

도56. 〈파리의 외침〉, 1701-1788, 프랑스 국립도서관 221

도57. 죠셉 브레통, 〈찻잎을 따도록 훈련받는 원숭이〉, 『중국복식과 예 술』, 1811 221

도58. 죠셉 브레통, 〈아이에게 장난감을 보여주는 회족 부녀〉,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21

도59. 죠셉 브레통, 〈붓을 들고 글씨를 쓴 청조인〉,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21

도60. 죠셉 브레통, 〈원명원〉,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21

도61. 〈金眼回回婦人〉,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1

도62. 〈公爺〉,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1

도63. 〈공주의 마차〉,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2

도64. 〈育嬰堂 牛車〉,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2

도65. 〈채찍을 맞는 사람〉, 『북경의 거리』, 18 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 도서관 222

도66. 죠셉 브레통, 〈공주의 마차〉,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22

도67. 〈연을 파는 사람〉,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 도서관 222

도68. 죠셉 브레통, 〈연을 파는 사람〉,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22

도69. 〈高麗梆子〉,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3

도70. 〈高麗國人〉,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3

도71. 죠셉 브레통, 〈담배를 피는 조선 평민과 검은 도포를 입은 조 선 관원〉,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23

도72. 〈외관의 진공〉,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23

도73. 〈京城各國暫分界址全圖〉, 1900 224

도74. 〈京師全圖〉, 19세기, 영국 도서관 224

도75. 〈京師全圖〉 부분 224

도76. 토마스 알롬, 〈北海 瓊島〉, 『중국—고대 제국의 풍경·건축·사회적 관습』, 1843 224

도77. 토마스 알롬, 〈午門 '大閱'〉, 『중국—고대 제국의 풍경·건축·사회적 관습』, 1843 224

도78. 윌리엄 알렉산더, 〈圓明園 正大光明殿〉, 18세기 말 224

도79. 토마스 알롬, 〈圓明園 正大光明殿〉, 『중국—고대 제국의 풍경·건축·사회적 관습』, 1843 224

도80. 윌리엄 터너, 〈베니스: 도가나 항과 산 조르지오 마조레 성당〉, 1834, 캔버스에 유화, 91.5x122㎝, 미국 국립미술관 225

도81. 토마스 알롬, 〈煌煌燈籠〉, 『중국—고대 제국의 풍경·건축·사회적 관습』, 1843 225

도82. 토마스 알롬, 〈鴉片鬼們〉, 『중국—고대 제국의 풍경·건축·사회적 관습』, 1843 225

도83. 토마스 알롬, 〈攻占定海〉, 『중국—고대 제국의 풍경·건축·사회적 관습』, 1843 225

도84. 〈중국 장성의 경관〉,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42.12.10. 225

도85. 〈북경성 문 앞의 대운하〉,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42.12.10. 225

도86. 찰스 워그먼, 〈영중조약을 맺기 위해 북경으로 진군하는 엘긴경〉,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61.1.5. 226

도87. 펠리체 베아토, 〈북경 황성〉 사진, 1860.10.29. 226

도88. 찰스 워그먼, 〈북경 황성 내 花園과 佛寺의 景色〉,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61.5.4. 226

도89. 펠리체 베아토, 〈원명원 文昌閣〉 사진, 1860.10.18. 226

도90. 찰스 워그먼, 〈북경 교외에 있는 중국 황제 여름 궁전〉,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61.4.27. 226

도91. 〈중국의 함풍황제〉,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60.10.13. 227

도92. 〈북경 琉璃廠〉,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73.9.13. 227

도93. 〈氷上의 遊戲〉,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61.2.23. 227

도94. 〈북경의 八旗弓箭手〉,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73.4.5. 227

도95. 〈북경의 거리에서 새를 들고 다니는 남자〉,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73.9.13. 227

도96. 윌리엄 심슨, 〈중국 황제의 혼례 행렬〉,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73.1.11. 228

도97. 윌리엄 심슨, 〈북경인이 황제의 혼례 행렬을 훔쳐 보는 방식〉,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73.1.11. 228

도98. 윌리엄 심슨, 〈북경 天壇의 祭天의식〉, 『일러스트 레이티드 런던 뉴스』, 1873.2.22. 228

도99. 〈쇠고리를 이용한 처형-중국화가의 작품에 근거하여〉,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57.4.4. 228

도100. 〈議絞全屍〉, 19세기, 通草紙本水彩, 19.5x30㎝, 영국도서관 228

도101. 헨리 메이슨, 〈십자가에 매달린 중국인 남성〉, 『중국혹형』, 1801 228

도102. 〈범죄자의 머리를 대중에게 게시〉,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57.4.4. 229

도103. 〈頭顱示衆〉, 《淸代外銷畵線稿》, 19세기 229

도104. 〈흡연, 음주하는 아편객〉, 19세기 말, 通草紙本 水彩, 23.2x35.1㎝, 영국도서관 229

도105. 〈아편귀의 최후〉,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1858.12.18. 229

도106. 헤르만 크라켄푸스, 〈황화〉, 『하퍼스 위클리』, 1898.1.22. 229

도107. 〈酷刑株〉, 『트라베르 르몽드』, 1903.11.18. 229

도108. 〈絞刑〉, 『르 프티 주르날』, 1907.3.17. 230

도109. 〈이화원 대화재〉, 『르 프티 파리지앵』, 1901.3.5. 230

도110. 〈중국의 기근〉, 『르 프티 주르날』, 1907.3.3. 230

도111. 〈북경 점령〉, 『르 모니퇴르 뒤 퓌드돔』, 1900.9.9. 230

도112. 〈황릉 근처에 주둔한 프랑스 군대〉, 『르 프티 파리지앵』, 1900.12.23. 230

도113. 오가와 카즈사마 촬영, 〈자금성 전경〉, 『淸國北京皇城寫眞帖』, 1906(1901 촬영) 230

도114. 피에르 로티, 〈자금성 황제의 집무 궁전〉, 『북경에서의 마지막 날들』, 1901 230

도115. 〈打蛋雀〉,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 도서관 231

도116. 〈開箱子之圖〉, 19세기 후반, 상트페테르부르 크대학 고리키도서관 동양계분관 231

도117. 〈打蛋雀圖〉, 《北京民間風俗百圖》, 19세기 후반, 中國國家圖書館 231

도118. 〈耍猴圖〉, 《北京民間風俗百圖》, 19세기 후반, 中國國家圖書館 231

도119. 〈瞧香圖〉, 1890년대 추정, 25.8x34.5㎝, 영국 웰컴 컬렉션 231

도120. 〈北京店鋪招幌〉, 19세기 후반, 25.7x32.7㎝, 영국도서관 231

도121. 周鯤, 〈補鞋圖〉, 《村市生涯圖冊》, 乾隆年間, 絹本設色, 8.5x7.4㎝, 北京故宮博物院 232

도122. 董棨, 〈賣油圖〉, 《太平歡樂圖冊》, 1831, 紙本設色, 14.8x9.3㎝, 北京故宮博物院 232

도123. 〈剃頭〉, 19세기 중기, 紙本水粉, 36.8x27㎝, 영국도서관 232

도124. 〈剃頭〉,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 관 232

도125. 周鯤, 〈書春聯圖〉, 《村市生涯圖冊》, 乾隆年間, 絹本設色, 8.5x7.4㎝, 北京故宮博物院 232

도126. 〈賣春聯之圖〉, 19세기 후반, 상트페테르부 르크대학 고리키도서관 동양계분관 232

도127. 〈耍百丈旂〉,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 국도서관 233

도128. 〈耍百丈旗〉,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 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33

도129. 죠셉 브레통, 〈백장기로 공연하는 예인〉,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33

도130. 〈狀元遊街〉,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 도서관 233

도131. 〈秀才遊街〉, 『북경의 거리』,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수채·과슈, 프랑스 국립도서관 233

도132. 죠셉 브레통, 〈말을 타고 遊街하는 젊은 新科 進士〉, 『중국복식과 예술』, 1811 233

도133. 〈藤牌手〉,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 국도서관 234

도134. 〈牌刀手〉, 19세기 후반, 紙本水粉, 36.8x27㎝, 영국도서관 234

도135. 존 톰슨, 〈중국 여성 머리스타일〉, 『중국과 중국인들』, 1873-1874 234

도136. 〈만주족 미혼여성의 머리스타일〉, 1900년 경, 紙本水彩, 영국 빅토리아 앤 앨버트 미술관 234

도137. 〈鳥提籠人之圖〉, 19세기 후반, 상트페테르 부르크대학 고리키도서관 동양계분관 234

도138. '周培春畵' 엽서, 〈九品文官〉, 1904-12 234

도139. 〈拖氷床〉,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5

도140. 徐揚, 〈日月合壁五星聯珠圖〉 '拖床氷嬉' 부분, 1761, 48.9x1342.6㎝, 臺北國立故宮博物院 235

도141. 〈賣氈鞋墊〉,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5

도142. 〈枷號人〉,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5

도143. 〈捨粥之圖〉, 19세기 후반,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 고리키도서관 동양계분관 235

도144. 〈捨棺材〉,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5

도145. 〈取字紙〉,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6

도146. 錢慧安, 〈奇荒鐵淚圖〉, 『濠刻災圖』, 1879, 中國 國家圖書館 236

도147. 〈施粥賑飢〉, 『勸善圖說』, 乾隆年間 236

도148. 〈賣氷核〉,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6

도149. 周臣, 〈流民圖〉 부분, 1516, 紙本設色, 31.9x244.5cm,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236

도150. 〈捨氷水〉, 19세기 후반, 紙本水彩, 40x60㎝, 영국도서관 236

도151. 陳師曾, 〈'明月松風' 墨盒〉, 20세기 초, 11x11.3㎝, 徐無聞 舊藏 237

도152. 齊白石, 〈繪箋〉, 20세기 전반 237

도153. 〈賣白薯〉, 《老北京三百六十行圖》, 20세기 초, 北京首都博物館 237

도154. 陳師曾, 〈貨郞〉 부분,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7

도155. 陳師曾, 〈磨刀人〉,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7

도156. 陳師曾, 〈掏糞工〉,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7

도157. 陳師曾, 〈人力車〉,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8

도158. 陳師曾, 〈賣烤白薯〉,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8

도159. 陳師曾, 〈陸地慈航〉,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8

도160. 陳師曾, 〈說書人〉,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8

도161. 陳師曾, 〈旱龍船〉,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8

도162. 陳師曾, 〈拉駱駝〉,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8

도163. 陳師曾, 〈玩鳥〉,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9

도164. 陳師曾, 〈旗裝少婦〉,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9

도165. 陳師曾, 〈喇嘛〉,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9

도166. 陳師曾, 〈墻有耳〉,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9

도167. 陳師曾, 〈吹鼓手〉,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39

도168. 陳師曾, 〈踰墻〉, 《花卉山水人物畵冊》, 1909, 中國美術館 239

도169. 羅聘, 《鬼趣圖》 제6폭, 18세기, 紙本 設色, 25.6x34.5cm 240

도170. 가츠시카 호쿠사이, 《北齋漫畵》, 18세기 말, 프랑 스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240

도171. 陳師曾, 〈乞食三〉, 『太平洋畵報』, 1912 240

도172. 陳師曾, 〈乞婆〉,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40

도173. 陳師曾, 〈赶大車〉,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40

도174. 「社会は分業」 勞役, 『滑稽新聞』, 1907.11.5. 240

도175. 豊子愷, 〈발로 밟고 주면 걸인도 원하지 않는다(蹴爾而與之, 乞人不屑也)〉, 《緣緣堂畵箋》 240

도176. 豊子愷, 〈거리의 참상(街頭 慘狀)〉, 《緣緣堂畵箋》 240

도177. 程康, 《北京風俗圖》, '北京風俗' 題字, 1915 241

도178. 董棨, 《太平歡樂圖冊》, 1836, 14.8x9.3㎝, 紙本設色, 嘉興博物館 241

도179. 陳師曾, 〈菊花擔〉,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41

도180. 쿠와가타 케이사이, 〈近世職人盡繪詞〉, 19세기, 東京國立博物館 241

도181. 기쿠치 키치로, 〈거리의 연〉, 《江戶風俗繪本》, 19세기 말-20세기 초 241

도182. 陳師曾, 〈吳橋藝人〉, 1919 242

도183. 陳師曾, 〈山水人物扇面〉, 1920, 23.5x71㎝, 榮寶齋 242

도184. 〈妙峰山進香圖〉, 淸, 紙本設色, 205.5x114.6㎝, 中國國家博物館 242

도185. 〈妙峰山進香圖〉 부분 242

도186. 陳師曾, 〈息翁玩 具圖〉, 1918 242

도187. 陳師曾, 〈牛車〉, 「陳師曾先生北京風俗畵其八」, 『北洋畵報』 第59期, 1927.1.29. 243

도188. 陳師曾, 〈洋車與風〉, 「陳師曾先生北京風俗畵二」, 『北洋畵報』 第42期, 1926.12.1. 243

도189. 陳師曾, 〈元月進香〉, 「陳師曾先生北京風俗畵其十」, 『北洋畵報』 第62期, 1927.2.16. 243

도190. 王一亭, 〈流民圖〉, 《流民圖冊》 第3葉, 1919, 128x41㎝ 243

도191. 王一亭, 〈補履圖〉, 미상, 紙本設色, 35x41㎝, 中國藝術硏究院美術硏究所 243

도192. 王一亭, 〈街頭相爭圖〉, 미상, 紙本設色, 35x41㎝, 中國藝術硏究院美術硏究所 243

도193. 王一亭, 〈원숭이와 개를 데리고 다니는 광대〉, 《因果分明》, 1914, 紙本設色, 32.4x41.9 ㎝, 미국 버클리 미술관 244

도194. 林風眠, 〈民間〉, 1926, 캔버스에 油畵 244

도195. 蔣兆和, 〈耍猴圖〉, 1942, 紙本水墨, 186x104㎝, 蕭瓊 244

도196. 李可染, 〈街頭賣唱〉, 1949, 紙本水墨, 68.2x45.5㎝ 244

도197. 〈唱大鼓書圖〉, 《北京民間風俗百圖》, 19세기 후반, 中國國家圖書館 244

도198. 李樺, 〈磨刀人〉, 《天橋人物圖》, 1948, 44x27㎝, 北京中央美術學院美術館 244

도199. 李樺, 〈拿筐子〉, 《天橋人物圖》, 1948, 44x27㎝, 北京中央美術學院美術館 244

도200. 李樺, 〈賣子〉, 《天橋人物圖》, 1948, 44x27㎝, 北京中央美術學院美術館 244

도201. 王羽儀, 《舊京風俗百圖》, 1983 245

도202. 陳師曾, 〈潑水夫〉, 《北京風俗圖》, 1914-15, 28.6x36.4㎝, 中國美術館 245

도203. 侯長春, 《舊京識往》, 1996 245

도204. 盛錫珊, 〈糖葫蘆〉, 《老北京市井風情畵》, 1996 245

도205. 馬海芳, 〈空竹〉, 《古都風情》, 1990년대 245

도206. 王大觀, 〈舊京環顧圖卷〉 부분, 1995 245

도207. 아오키 마사루, 〈賣豆腐及其他〉,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6

도208. 나카가와 다다테루 輯, 石崎融思畵, 〈燈籠〉, 『淸俗紀聞』 卷1 '年中行事', 1799 246

도209. 아오키 마사루, 〈各種燈彩〉, 《北京風俗圖譜》 '器用第五',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6

도210. 아오키 마사루, 〈隆福寺廟會〉,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6

도211. 아오키 마사루, 〈耍猴子戱〉, 《北京風俗圖譜》 '伎藝第八',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6

도212. 丁觀鵬, 〈太平春市圖卷〉 부분, 淸, 30.3x233.5㎝, 臺北國立故宮博物院 246

도213. 아오키 마사루, 〈放風箏氷戱〉, 《北京風俗圖譜》 '游樂第七',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7

도214. 焦秉貞, 《嬰戱圖冊》, 淸 247

도215. 아오키 마사루, 〈十刹賞蓮〉, 《北京風俗圖譜》 '歲時第一',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7

도216. 아오키 마사루, 〈舖面全景〉,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7

도217. 아오키 마사루, 〈元宵燈市〉,《北京風俗圖譜》 '歲時第一',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7

도218. 아오키 마사루, 〈廠甸年節〉, 《北京風俗圖譜》 '歲時第一',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7

도219. 오카다 교쿠잔 編繪, 〈燈市〉, 『唐土名勝圖繪』 卷3 '京師', 1805 248

도220. 顧鶴慶, 〈什刹海圖〉, 《續西涯十二咏詩意圖》, 淸(19세기) 248

도221. 아오키 마사루, 〈幌子其二〉,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8

도222. 〈南都繁會圖卷〉 부분, 明, 絹本設色, 44x355㎝, 中國國家博物館 248

도223. 아오키 마사루, 〈幌子其一〉,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8

도224. 아오키 마사루, 〈幌子其三〉,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8

도225. 아오키 마사루, 〈說書〉, 《北京風俗圖譜》 '伎藝第八',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9

도226. 아오키 마사루, 〈夜市攤小賣〉,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9

도227. 아오키 마사루, 〈打更及其他〉,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49

도228. 토마스 홋슨 리델, 〈鼓樓에서 본 北京〉, 『帝國麗影』, 1909 249

도229. 토마스 홋슨 리델, 〈國子監 牌樓〉, 『帝國麗影』, 1909 249

도230. 토마스 홋슨 리델, 〈頤和園萬壽山〉, 『帝國麗影』, 1909 250

도231. 토마스 홋슨 리델, 〈萬里長城〉, 『帝國麗影』, 1909 250

도232. 〈중국인 근대화되다: 상해에서 중국인들이 공개적으로 자신의 변발을 자르다〉, 『르 프티 주르 날』, 1911.2.5. 250

도233. 리스, 〈북경 거리에서 가금류를 파는 상인〉, 「중국에 대한 인상」, 『일뤼스트라시옹』, 1912.5.25. 250

도234. 리스, 〈화장을 한 어여쁜 만주족 부인이 세련된 마차에 걸터앉아 있다〉, 「중국에 대한 인상」, 『일뤼스트라시옹』, 1912.5.25. 250

도235. 리스, 〈이화원 호수 위에 있는 황제의 다리: 다리 위의 정교한 목재 건물에는 칠을 했고 유... 251

도236. 리스, 〈무대 위의 중국인 무희〉, 「중국에 대한 인상」, 『일뤼스트라시옹』, 1912.5.25. 251

도237. 루이스 사바티에, 〈북경의 거대한 상업거리: 前門大路〉, 「북경에서 보낸 한 달」, 『일뤼스트라시옹』, 1913.1.25. 251

도238. 루이스 사바티에, 〈서구식 패션: 그들은 모자부터 시작했다. 뒤이어 완전한 정장이 뒤따를... 251

도239. 루이스 사바티에, 〈북경의 신구 대비: 시대에 뒤떨어진 가마와 자전거〉, 『일뤼스트라시옹』, 1913.3.15. 251

도240. 오스발드 시렌, 〈자금성 서북쪽의 大角樓〉, 『북경의 성곽과 성문』, 1924 252

도241. 허버트 화이트, 〈정양문 전루〉, 『燕京勝迹』, 1927 252

도242. 허버트 화이트, 〈천단의 圍牆〉, 『燕京勝迹』, 1927 252

도243. 허버트 화이트, 〈西便門〉, 『燕京勝迹』, 1927 252

도244. 허버트 화이트, 〈북경의 駱駝〉, 『燕京勝迹』, 1927 252

도245. 허버트 화이트, 〈孔子紀念坊〉, 『燕京勝迹』, 1927 253

도246. 엘리자베스 키스, 〈북경의 야경〉, 채색목판화, 1922 253

도247. 엘리자베스 키스, 〈북경 광안문 밖〉, 채색목판화, 1925 253

도248. 엘리자베스 키스, 〈북경 哈德門 밖〉, 채색목판화, 1919 253

도249. 엘리자베스 키스, 〈북경의 자금성 성벽〉, 채색목판화, 1935 253

도250. 엘리자베스 키스, 〈북경의 자금성 대문〉, 채색목판화, 1935 253

도251. 헤다 모리슨, 〈북경 사합원〉, 1930년대 254

도252. 헤다 모리슨, 〈새를 기르는 노인〉, 1930년대 254

도253. 헤다 모리슨, 〈북경의 상점 간판〉, 1930년대, 미국 하버드-옌칭 도서관 254

도254. 쥘르 몽제, 〈북경의 한 부유한 집안의 대문: 중국 경사의 가정생활의 전형적인 惊鸿一瞥〉, 『일러... 254

도255. 루이스 크레인, 〈鞋面布幌子·鞋舖幌子·襪子舖幌子〉, 『초황으로 본 중국 고금의 생활』, 1926 254

도256. 〈北京店鋪招幌〉, 19세기 후반, 25.7x32.7㎝, 영국 도서관 254

도257. 사무엘 콘스탄트, 〈搖堂鼓兒的〉, 『京都叫賣圖』, 1936 255

도258. 아오키 마사루, 〈賣花生及其他〉, 《北京風俗圖譜》 '市井第六', 1925-26, 일본 東北大學圖書館 255

도259. 傅叔達, 〈兎兒爺〉, 『북경의 세시 풍속과 축제』(더크 보더), 1936 255

도260. 傅叔達, 〈什刹海〉, 『북경의 세시 풍속과 축제』(더크 보더), 1936 255

도261. 麟慶, 〈詩龕敍姻)〉, 『鴻雪因緣圖記』 第3集 上冊, 淸(19세기) 255

도262. 루이스 사바티에, 〈六國飯店의 '골동품' 상인〉, 『일뤼스 트라시옹』, 1913.3.1. 255

도263. 프랭크 던, 〈老北京風俗地圖〉, 1936, 首都圖書館 256

도264. 프랭크 던, 〈노북경풍속지도〉 부분 256

도265. 프랭크 던, 〈노북경풍속지도〉 부분 256

도266. 죠셉 모라, 〈중앙아메리카지도〉, 1933, 79.3x59㎝ 257

도267. 애터버리, 〈북평여가지도〉, 1933, 59x44㎝, 데이비드 럼지 역사지도 컬렉션 257

도268. 존 커크, 〈북평풍속지도〉, 1938 257

도269. 프리드리히 쉬프, 《上海市井風情漫畵》, 1930년대, 35.8x28㎝ 257

도270. 馬芷庠, 『北平旅行指南』, 1935 258

도271. 美麗照像館, 〈北京 北海〉, 《北平名所明信片》(엽서), 1930년대 258

도272. 侯長春, 《舊京識往》, 1996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