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2
국문초록 5
목차 7
Ⅰ. 서론 15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5
2. 연구 범위와 연구 대상 16
가.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개념 16
나. 구조주의 기호학 27
3. 선행 연구 29
가. 중국의 선행 연구 29
나. 외국의 선행 연구 32
Ⅱ. 이론적 고찰 36
1. 현대 기호학 이론 36
가. 소쉬르의 기호 시스템 개념 36
나. 루이 옐름슬레우의 기호 기능 39
다.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 43
2. 영화 기호학 이론 48
가. 야콥슨의 기호 수사 기법 48
나. 메츠의 영화 제1 기호학 52
다. 에코의 기호 코드의 분류 56
3. 영화 기호 시스템 구축 원리 62
가. 가상과 현실을 결합한 기호 시스템 62
나. 영화의 기호 시스템의 기호 코드 구성 69
다. 영화 기호 시스템의 표면 구조와 심층 구조 79
Ⅲ.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기호 시스템 구축 82
1. 역사 소재 82
가. 〈양자탄비〉(讓子彈飛) 83
나. 〈히든 맨〉(邪不壓正) 97
2. 인성 소재 113
가. 〈투우〉(鬥牛) 115
나. 〈과부 마녀〉(北方一片蒼茫) 128
3. 반모더니즘 소재 145
가. 〈HELLO! 나무 선생〉(hello! 樹先生) 146
나. 〈장강도〉(長江圖) 156
4.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에 대한 반성 167
가. 엘리트 문화의 유표성 167
나. 범기호화 현상 169
Ⅴ. 결론 172
참고문헌 177
ABSTRACT 184
[표 1]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주제 26
[표 2] 랑그 기능 모델 40
[표 3] 루이 옐름슬레우의 기호 모델 42
[표 4] 다른 언어의 컬러 구분 42
[표 5] 외연과 내포의 관계 43
[표 6] 은유와 환유의 비교 51
[그림 1] 1988~2018년 국내 박스오피스 통계 17
[그림 2] 중국과 미국의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세계 박스오피스 비교 18
[그림 3] 랑그와 파롤의 구별 37
[그림 4] 조합와 통합(통시와 공시) 38
[그림 5] 나무의 기표와 기의 39
[그림 6] 시스템과 과정의 관계 41
[그림 7] 행위소 모델 45
[그림 8] 행위소 간의 관계 45
[그림 9] 기호학적 사각형 47
[그림 10] 은유와 환유의 관계 50
[그림 11] 전달자의 정보의 전달 과정 54
[그림 12] 운동 기호의 기호 코드 분절 모델 59
[그림 13] 에코의 10대 기호 코드 60
[그림 14] 기호 코드 병렬로 발생하는 은유 65
[그림 15] 기호 코드의 조합으로 발생하는 환유 65
[그림 16] 영화의 서사 시스템 68
[그림 17] 개념적 혼성 모형 71
[그림 18] 〈양자탄비〉의 행위소 모델 84
[그림 19] 〈양자탄비〉의 기호학적 사각형 85
[그림 20] 〈양자탄비〉의 모순된 관계 86
[그림 21] 〈히든 맨〉의 행위소 모델(제1단계) 97
[그림 22] 〈히든 맨〉의 행위소 모델(제2단계) 98
[그림 23] 〈히든 맨〉의 기호학적 사각형 99
[그림 24] 〈히든 맨〉의 모순된 관계 100
[그림 25] 〈히든 맨〉의 인물 적상징 관계 103
[그림 26] 〈투우〉의 행위소 모델 115
[그림 27] 〈투우〉의 기호학적 사각형 116
[그림 28] 〈투우〉의 모순된 관계 117
[그림 29] 〈투우〉의 개념적 혼성 121
[그림 30] 〈과부마녀〉의 덩어리 구조 129
[그림 31] 〈과부마녀〉의 행위소 모델 130
[그림 32] 〈과부마녀〉의 기호학적 사각형 130
[그림 33] 〈과부마녀〉의 모순된 관계 131
[그림 34] 〈과부마녀〉의 개념적 혼성 135
[그림 35] 〈HELLO! 나무 선생〉의 행위소 모델 147
[그림 36] 〈HELLO! 나무 선생〉의 기호학적 사각형 148
[그림 37] 〈HELLO! 나무 선생〉의 모순된 관계 148
[그림 38] 〈HELLO! 나무 선생〉의 개념적 혼성 151
[그림 39] 〈장강도〉의 행위소 모델 157
[그림 40] 〈장강도〉의 기호학적 사각형 158
[그림 41] 〈장강도〉의 모순된 관계 159
[그림 42] 〈장강도〉의 개념적 혼성 161
[사진 1] 신화 영화〈봉신방(封神榜)〉(烏爾善, 2023) 23
[사진 2] 판타지 영화〈요묘전(貓妖傳)〉(陳凱歌,2017) 23
[사진 3]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과부 마녀(北方一片蒼茫)〉 24
[사진 4] 〈양자탄비〉의 원형 88
[사진 5] 왼쪽 황사랑, 오른쪽 장마쯔 89
[사진 6] 현의 관아 92
[사진 7] 서양 별장 92
[사진 8] 길거리 공간 93
[사진 9] 말이 끄는 기차 95
[사진 10] 아성 96
[사진 11] 진실 공간의 복원(위 사진은 스크린샷, 아래 사진은 실사) 106
[사진 12] 이천연은 지붕 위를 벌거벗고 달리다 107
[사진 13] 신장 표본에 맞서 선서하는 이천연 109
[사진 14] 주잠룡과 주원장(朱元璋) 초상화 110
[사진 15] 차가운 색조 111
[사진 16] 따뜻한 색조 111
[사진 17] 검붉은 색조 112
[사진 18] 마목치촌 124
[사진 19] 회색 색조에서 돋보이는 빨간색 127
[사진 20] 차가운 색조에서 높은 명도 128
[사진 21] 산으로 둘러싸인 시골 136
[사진 22] 얼호와 죽은 어린 여자아이 137
[사진 23] 스톱 화면에서 지나가는 얼호 138
[사진 24] 샤먼 문화의 신내림 139
[사진 25] 거울의 처음 등장 140
[사진 26] 거울의 두 번째 등장 141
[사진 27] 거울의 세 번째 등장 141
[사진 28] 쉬웨이 뒤의 흰색 깃털 142
[사진 29] 검은 새의 깃털 143
[사진 30] 처음 컬러 색조 144
[사진 31] 두 번째 컬러 색조 144
[사진 32] 세 번째 컬러 색조 144
[사진 33] 죽은 형은 잘 지내고 있다 153
[사진 34] 샤오메가 임신하였다 153
[사진 35] 진실 공간에서 회색 색조 155
[사진 36] 환상 공간에서 선명한 색채 155
[사진 37] 결말의 피와 같은 빨간색 156
[사진 38] 장강의 부드러운 미 162
[사진 39] 강물에 있는 광덕호 165
[사진 40] 중강탑(江中塔)의 내부 165
[사진 41] 장강의 발원지인 탕구라(唐古拉) 산맥 166
[사진 42] 안륙의 묘비 166
중국 영화 분야에서 환상적 리얼리즘의 창작 기법이 발전하면서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는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는 비록 중국과 해외에서 빈번하게 상을 받았고 예술적 성과가 인정받았지만 관객의 호응이 아직 낮아서 박스오피스 성적과 정비례 하지 않고 있다. 현재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 연구는 대부분 감독의 작가 스타일과 작품 사례에 한정되어 있고, 이는 개념의 혼란과 분석의 부족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학자들은 단지 예술성만을 주목함으로서, 영화 시장에서 '주변화', '박스오피스가 불안정하고 저조한 현상' 등의 문제를 일으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주의 기호학을 토대로 영화 기호 시스템 구축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균형적인 발전을 촉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역사 소재, 인성 소재와 반모더니즘 소재에 대한 기호 시스템 구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엘리트 문화 유표성과 범기호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비록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는 중국 민족의 문화와 지역 특색을 바탕으로 하지만 비판과 반성이라는 차원에서 감독이 구축한 기호 시스템에 기호 코드의 주변화와 비주류화, 심층 구조 형식의 비논리화와 추상화, 내포가 심각하고 엄숙한 사례들의 문제들이 있다. 그리고 이는 관객의 인지와 기대를 뛰어넘는다. 따라서 엘리트 문화의 유표성과 범기호화의 특징을 통해 중국 환상적 리얼리즘 영화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