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국문초록 5

목차 7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제2절 연구 방법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ISO 경영시스템 16

1) 경영시스템이란? 16

2) ISO 경영시스템이란? 16

3) ISO 경영시스템 표준의 기본구조 17

4) 경영시스템의 구조 19

제2절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20

1) 기록경영시스템이란? 20

2) 기록경영시스템의 제정 21

3) 기록경영시스템의 모델 23

4) 기록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 26

5) 기록경영시스템의 필요성과 이점 31

제3절 조직의 성과평가 32

제4절 선행연구 33

1) 기록경영시스템 이론에 관한 연구 33

2)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획득 사례 연구 35

제3장 연구 방법 38

제1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8

제2절 자료수집 대상 및 방법 40

1) 자료수집 대상 40

2) 자료수집 방법 41

제3절 자료 분석 42

제4장 분석 결과 43

제1절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 기관 현황 43

제2절 표준 인증 획득 배경 46

제3절 표준의 요구사항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55

제4절 표준 도입 후 활동 및 성과 64

제5장 논의 80

제1절 심층 면담 결과 종합 정리 80

제2절 기관 유형별 비교분석 83

제3절 기록경영시스템 도입 성과 84

제4절 표준의 도입 확대를 위한 제안 90

제5절 연구의 한계 94

제6장 결론 95

참고문헌 97

부록 101

ABSTRACT 103

〈표 1〉 경영시스템 기본 구조 18

〈표 2〉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1~3) 26

〈표 3〉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4) 조직의 환경 26

〈표 4〉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5) 리더십 27

〈표 5〉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6) 기획 28

〈표 6〉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7) 지원 28

〈표 7〉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8) 운영 29

〈표 8〉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9) 성과평가 30

〈표 9〉 ISO 30301:2019 표준 요구사항(10) 개선 30

〈표 10〉 연구 방법 38

〈표 11〉 KS X ISO 30300 시리즈 39

〈표 12〉 응답자 일반사항 40

〈표 13〉 심층면담 질문지 구성과 내용 41

〈표 14〉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연도별 인증 현황 43

〈표 15〉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기관별 인증 현황 44

〈표 16〉 표준 인증 심사기관별 인증 현황 44

〈표 17〉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인증기관 현황 45

〈표 18〉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 획득 배경에 대한 질문 46

〈표 19〉 문항 1-1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47

〈표 20〉 문항 1-2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49

〈표 21〉 문항 1-3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51

〈표 22〉 문항 1-4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52

〈표 23〉 문항 1-5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53

〈표 24〉 표준 인증 획득 배경 결과 요약 54

〈표 25〉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의 요구사항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 55

〈표 26〉 문항 2-1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57

〈표 27〉 문항 2-2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58

〈표 28〉 문항 2-3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59

〈표 29〉 문항 2-4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60

〈표 30〉 문항 2-5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60

〈표 31〉 문항 2-6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61

〈표 32〉 문항 2-7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62

〈표 33〉 표준 요구사항이 기관에 미치는 영향 63

〈표 34〉 기록경영시스템 도입 후 성과에 대한 질문 65

〈표 35〉 문항 3-1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66

〈표 36〉 문항 3-2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67

〈표 37〉 문항 3-3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69

〈표 38〉 문항 3-4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70

〈표 39〉 문항 3-5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71

〈표 40〉 문항 3-6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73

〈표 41〉 문항 3-7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74

〈표 42〉 질문 3-9에 대한 심층면담 답변 77

〈표 43〉 심층 면담 결과 정리 80

〈표 44〉 기관 유형별 비교·분석 83

〈표 45〉 연간 교육훈련계획표 85

〈표 46〉 성과지표 관리항목 예시 87

〈표 47〉 성과지표관리대장 예시 87

〈표 48〉 기관 E의 법규 및 요구사항 등록부 89

〈표 49〉 기관별 타 경영시스템 표준 획득 현황 93

〈그림 1〉 연구 수행 절차 15

〈그림 2〉 PDCA 사이클 19

〈그림 3〉 ISO 경영시스템 모델 20

〈그림 4〉 ISO 30301:2019 기록경영시스템의 구조 25

〈그림 5〉 기관 B의 성과평가 업무 절차 86

〈그림 6〉 기관 A와 B의 매출액 88

초록보기

 모든 조직에서는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조직의 업무 수행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하고 위험을 관리해주며 글로벌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의 자산이다. 기록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며 모든 조직에서의 기록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11년 제정된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은 기록 관리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이고 조직이 수행하는 업무 투명성과 신뢰성을 회복시키며 이행 결과에 대한 인증이 가능한 표준으로써 모든 조직에 적용할 수 있다. 2013년 KS X ISO 30301:2013 국가표준으로 제정되었으나 타 경영시스템보다 도입한 조직이 많지 않으며 선행연구는 표준 도입을 위한 이론적 접근 연구와 도입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위주로 진행됐다. 실제 표준 도입 시 조직이 어떠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강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을 인증 받은 기관에 대한 현황 조사를 하고 각 기관의 기록경영시스템 담당자와 심층 면담을 통해 표준이 실제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표준을 인증받은 16개 기관 중 6개의 기관에서 7명의 담당자와 대면 심층 면담 및 서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 질문지는 표준 인증 획득 배경, 표준의 요구사항이 기관에 미치는 영향, 표준 도입 후 활동 및 성과로 구성하였으며 표준 도입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기록경영시스템 및 기록 관리에 대한 교육으로 인한 조직원의 기록 관리 인식 제고 및 관심이 증대되었다. 둘째, 수립한 절차에 따른 목표 시행 및 문서화를 통한 성과평가 업무 프로세스 체계화를 위한 기회가 된다. 셋째, 마케팅의 효과로 매출액 및 계약 건수가 증가한다. 넷째, 표준 도입으로 인해 기관 경영성과 점수를 확보할 수 있다. 다섯째, 규제 준수 및 법적 보호와 경영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섯째, 기관의 마케팅 및 홍보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심층 면담 분석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의 확대 도입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기록 관리체계 및 기록관리 전문요원이 없는 기관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기관의 성격에 따라 적합한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기관의 핵심 부서에서 기록경영시스템 업무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기록경영시스템 심사위원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을 획득한 기관을 대상으로 표준 인증 획득 단계부터 운영까지의 과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성과를 도출하고 표준의 확대 방안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기록 관리 의무가 있는 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라며 중요한 정보 자산으로서의 기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기록 관리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