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ABSTRACT and KEY WORDS 6

목차 7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 목적 13

3. 연구 문제 14

4. 용어 정의 15

1) 코치 15

2) 스포츠인권 16

3) 친화적 18

5. 연구의 제한점 19

Ⅱ. 이론적 배경 20

1. 이론적 코칭 20

2. 코칭의 실제 22

Ⅲ.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연구 설계 27

3. 자료 수집 28

4. 자료 분석 30

5. 연구의 진실성 31

6. 연구 윤리 32

Ⅳ. 연구 결과 33

1. 면담자들의 이야기 33

1) 선택하는 것이 인권이다 33

2) '친화적' 이어서는 안되는 인권 36

3) 엘리트 스포츠 문화의 전환을 꿈꾸는 스포츠인권 변호사 39

4) 선수에게 특혜는 오히려 차별 42

5)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 개혁으로 46

6) 비인권적이 아니라면 그것이 바로 인권친화적 50

7) 망설임을 허하라 53

2. 인권친화적 코칭의 탐색 56

1) 스포츠인권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56

2) 스포츠는 교육적으로 어떠한 효능을 가지는가 58

3) 엘리트 스포츠의 구조와 문화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60

4) 코치와 선수는 어떤 관계여야 하는가 62

5) 그래서 인권친화적 코칭은 무엇인가 65

Ⅴ. 논의 69

1. 스포츠계의 구조와 문화 69

1) 구조적 문제 69

2) 문화적 문제 71

2. 인권친화적 코칭의 선결 과제와 미래 73

1) 스포츠의 반인권적 행태 제거 74

2) 인권친화적 코칭의 미래 75

Ⅵ. 결론 및 제언 77

1. 결론 77

2. 제언 78

참고문헌 79

국문초록 및 주제어 84

표목차 10

표 1. 심층 면담자 명단 25

표 2. 반구조화된 심층면담 사전 질문지 29

표 3. 스포츠인권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57

표 4. 스포츠의 교육적 효능 59

표 5. 엘리트 스포츠의 문제점 62

표 6. 권력 균형별 코치와 선수의 바람직한 관계 65

표 7. 인권친화적 코칭이란 68

초록보기

 스포츠 선수들은 대부분 재밌고 좋아서 운동을 시작하지만 학교운동부에 속해 전문적인 훈련을 받으면서 많은 압박과 어려움에 놓이게 된다. 이는 반인권적 운동환경에 의한 것이며 더 깊게는 스포츠계의 왜곡된 구조와 문화에 기인한다. 이러한 구조와 문화 속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의 역할은 지대하다. 따라서 선수들이 보편적 인권을 침해받지 않으면서 사회적으로 필요한 교양을 함양할 수 있는 인권친화적 코칭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구제하며 스포츠인권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하는 7명의 심층 면담자를 선정하여 스포츠의 구조와 문화를 묻고 스포츠가 선수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들었다. 인권친화적 코칭을 어떻게 정의하고 그 중심 가치에 대해 탐색하였다.

인권친화적 코칭이란 코칭의 모든 단계에서 인권을 보장하고 증진시키는 코칭이다. 과거의 잘못된 문화와 관행에서 벗어나 코치와 선수가 서로 동등한 권력을 가지고 민주적 합의와 동의에 의해 훈련하는 것이다. 코치에게 편중된 선택권을 선수에게 돌려주어 스스로 움직이게 하고, 학습권을 보장하여 사회인으로서 필요한 소양을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