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2
목차 5
국문초록 11
Ⅰ. 서론 12
Ⅱ. 본론 14
1. 영국음악 14
1) 영국음악의 부흥 14
2) 영국에서의 성악의 발전 15
2.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의 생애와 음악 특징 18
1) 브리튼의 생애 18
2) 브리튼 성악곡의 시와 음악 22
3. 아르튀르 랭보(Arthur Rimbaud) 25
1) 랭보의 생애 25
2) 상징주의와 초현실주의, 랭보의 세계관과 그가 사회에 끼친 영향 28
3) 시집 〈일뤼미나시옹(Les Illuminations)〉 31
4. 〈일뤼미나시옹(Les Illuminations)〉의 분석 32
1) 작품의 배경 32
2) 곡의 전체 구성 34
3) 각 곡의 분석 39
Ⅲ. 결론 157
Ⅳ. 참고문헌 160
ABSTRACT 164
〈악보 1〉 제9곡 〈Parade〉 (마디 98-110) 34
〈악보 2〉 제1곡 〈Fanfare〉(마디 24-34) 35
〈악보 3〉 제7곡 〈Interlude〉(마디 20-27) 35
〈악보 4〉 제1곡 〈Fanfare〉 (마디 1-13) 41
〈악보 5〉 제1곡 〈Fanfare〉 (마디 19-23) 42
〈악보 6〉 제1곡 〈Fanfare〉 (마디 24-31) 43
〈악보 7〉 제1곡 〈Fanfare〉 (마디 30-34) 45
〈악보 8〉 제1곡 〈Fanfare〉 (마디 39-44) 46
〈악보 9〉 제2곡 〈Villes〉 (마디 3-6) 50
〈악보 10〉 제2곡 〈Villes〉 (마디 28-29) 50
〈악보 11〉 제2곡 〈Villes〉 (마디 55-58) 50
〈악보 12〉 제2곡 〈Villes〉 (마디 1-5) 52
〈악보 13〉 제2곡 〈Villes〉 (마디 25 29) 53
〈악보 14〉 제2곡 〈Villes〉 (마디 30-34) 54
〈악보 15〉 제2곡 〈Villes〉 (마디 38-45) 55
〈악보 16〉 제2곡 〈Villes〉 (마디 49-53) 56
〈악보 17〉 제2곡 〈Villes〉 (마디 60-61) 58
〈악보 18〉 제2곡 〈Villes〉 (마디 63-67) 59
〈악보 19〉 제2곡 〈Villes〉 C 부분 (마디 71-83) 60
〈악보 20〉 제3곡 a 〈Phrase〉 (마디 1-8) 64
〈악보 21〉 제3곡 a 〈Phrase〉 (마디 1-4) 66
〈악보 22〉 제3곡 a 〈Phrase〉 (마디 5-8) 68
〈악보 23〉 제1곡 〈Fanfare〉 (마디 6-7) 72
〈악보 24〉 제3곡 b 〈Antique〉 (마디 3-9) 73
〈악보 25〉 제3곡 b 〈Antique〉 (마디 1-5) 73
〈악보 26〉 제3곡 b 〈Antique〉 (마디 11-15) 75
〈악보 27〉 제3곡 b 〈Antique〉 (마디 22-26) 76
〈악보 28〉 제3곡 b 〈Antique〉 (마디 26-30) 77
〈악보 29〉 제3곡 b 〈Antique〉 (마디 26-40) 78
〈악보 30〉 제3곡 b 〈Antique〉 (마디 39-53) 80
〈악보 31〉 제4곡 〈Royauté〉 (마디 1-8) 84
〈악보 32〉 제4곡 〈Royauté〉 (마디 16-29) 85
〈악보 33〉 제4곡 〈Royauté〉 (마디 30-35) 87
〈악보 34〉 제4곡 〈Royauté〉 (마디 36-41) 88
〈악보 35〉 제4곡 〈Royauté〉 (마디 42-47) 89
〈악보 36〉 제4곡 〈Royauté〉 (마디 45-54) 90
〈악보 37〉 제4곡 〈Royauté〉 (마디 58-67) 92
〈악보 38〉 제4곡 〈Royauté〉 (마디 73-80) 94
〈악보 39〉 제5곡 〈Marine〉 (마디 1-4) 98
〈악보 40〉 제5곡 〈Marine〉 (마디 3-7) 99
〈악보 41〉 제5곡 〈Marine〉 (마디 8) 100
〈악보 42〉 제5곡 〈Marine〉 (마디 8-9) 101
〈악보 43〉 제5곡 〈Marine〉 (마디 20-21) 101
〈악보 44〉 제5곡 〈Marine〉 (마디 33-35) 101
〈악보 45〉 제5곡 〈Marine〉 (마디 14-19) 102
〈악보 46〉 제5곡 〈Marine〉 (마디 20) 102
〈악보 47〉 제5곡 〈Marine〉 (마디 23-29) 103
〈악보 48〉 제5곡 〈Marine〉 (마디 32-35) 105
〈악보 49〉 제5곡 〈Marine〉 (마디 36-39) 106
〈악보 50〉 제6곡 〈Interlude〉 (마디 1-4) 109
〈악보 51〉 제6곡 〈Interlude〉 (마디 20-23) 110
〈악보 52〉 제6곡 〈Interlude〉 (마디 24-31) 111
〈악보 53〉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1-6) 116
〈악보 54〉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7-9) 118
〈악보 55〉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13-15) 120
〈악보 56〉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16-20) 122
〈악보 57〉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21-23) 123
〈악보 58〉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27-29) 124
〈악보 59〉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35-38) 125
〈악보 60〉 제7곡 〈Being Beauteous〉 (마디 36-42) 126
〈악보 61〉 제8곡 〈Parade〉 (마디 1-10) 130
〈악보 62〉 제8곡 〈Parade〉 (마디 11-14) 132
〈악보 63〉 제8곡 〈Parade〉 (마디 15-20) 133
〈악보 64〉 제8곡 〈Parade〉 (마디 21-26) 135
〈악보 65〉 제8곡 〈Parade〉 (마디 32-36) 136
〈악보 66〉 제8곡 〈Parade〉 (마디 37-41) 137
〈악보 67〉 제8곡 〈Parade〉 (마디 42-46) 138
〈악보 68〉 제8곡 〈Parade〉 (마디 51-55) 139
〈악보 69〉 제8곡 〈Parade〉 (마디 57-66) 140
〈악보 70〉 제8곡 〈Parade〉 (마디 67-71) 142
〈악보 71〉 제8곡 〈Parade〉 (마디 72-80) 143
〈악보 72〉 제8곡 〈Parade〉 (마디 81-86) 144
〈악보 73〉 제8곡 〈Parade〉 (마디 91-97) 146
〈악보 74〉 제8곡 〈Parade〉 (마디 98-110) 147
〈악보 75〉 제8곡 〈Parade〉 (마디 111-116) 148
〈악보 76〉 제9곡 〈Départ〉 (마디 1-10) 152
〈악보 77〉 제9곡 〈Départ〉 (마디 10-16) 154
〈악보 78〉 제9곡 〈Départ〉 (마디 17-24) 156
영국에서 성악의 발전은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존 다울랜드, 헨리 퍼셀과 헨델의 빛나는 활약으로 큰 성과를 이루었으나, 이후 별 진전 없이 다른 유럽 국가, 특히 독일의 예술가곡을 많이 모방하였다.
고전과 낭만 시기를 지나면서 명맥만 유지하며, 약 200여 년 동안 계속된 영국 성악의 공백기 이후 등장한 벤자민 브리튼은 그만의 독특한 절충적 스타일을 만들어냈는데, 이는 고유의 전통적인 작곡기법을 계승함과 동시에, 20세기의 새로운 음악기법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프랑스 시인인 랭보의 시와 브리튼의 곡을 결합한 작품인 연가곡 〈Les Illuminations(일뤼미나시옹), Op. 18〉의 연구이다.
이 작품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인 랭보의 시로, 브리튼의 모국어가 아닌 프랑스어 시를 가사로 작곡한 연가곡이다. 랭보의 시가 가진 모호함과 독특한 표현법을 가사의 내용과 곡의 상관관계를 파악해서 구성하였고, 각 곡간의 조성과 리듬, 화성과 형식들이 연관성을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현악 반주를 이용해서 더욱 풍부한 색채와 극적인 분위기로 만들었다.
본 논문은 랭보와 브리튼의 인생과 음악, 그리고 시와의 관계, 브리튼의 연가곡이 영국 음악사에 미치는 영향, 곡의 조성과 형식을 분석하고, 시와 관련된 음악 표현 기법, 성악적인 표현, 해석에 관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 연구를 통해 연주가에게 브리튼의 예술가곡 연주법에 관하여 이해를 돕도록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