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국문초록 4

목차 8

Ⅰ.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0

2. 연구사 검토 15

3. 연구 자료 및 방법 19

Ⅱ.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 이론 26

1.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 26

1) 비판이론과 비판적 문식성 26

2) 국어교육에서 비판적 문식성 30

3) 소설 교육에서 비판적 문식성 35

2.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의 특성 40

1) 사회 현상에 대한 중층적 이해 40

2) 텍스트에 근거한 비판의 정당성 확보 42

3) 더 나은 삶을 향한 문제 제기 44

3.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원리 47

1) 텍스트 서술의 사회적 맥락 재구성 48

2) 사회어를 고려한 서사의 의미 해석 61

3) 소설 읽기 경험을 활용한 사회 비판 79

Ⅲ. 학습자의 소설 읽기에 나타난 비판적 문식성의 양상 90

1. 비판의 대상과 관련한 사회적 맥락 인식 91

1) 텍스트 서술에서 사회적 의미 발견 91

2) 어휘의 사회적 징후 의미화 98

2. 소설의 언어에 근거한 서사의 의미 탐구 103

1)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인물 평가 104

2) 현실의 재구성으로서 소설 의미화 107

3. 소설을 통한 현실의 문제 비판 114

1) 사회어를 고려한 경험 세계 비판 114

2) 자기 성찰을 통한 문제 제기 123

4. 학습자의 수행에서 드러난 한계와 교육적 시사점 129

Ⅳ. 소설 읽기를 통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설계 144

1. 교육 목표 145

1) 텍스트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의 확장 145

2) 텍스트에 근거한 비판 능력 신장 147

3) 사회 문제에 대한 윤리적 태도 함양 149

2. 교육 내용 152

1) 소설 읽기를 통한 사회의 복잡성 이해 152

2) 소설의 언어에 근거한 사회 비판 158

3) 소설 읽기를 통한 사회 문제 성찰과 자기 반성 165

Ⅴ. 결론 173

참고문헌 176

부록 184

Abstract 186

초록보기

 이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의 원리를 밝혀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은 소설 읽기를 통하여 소설에 재현된 사회를 비판하고, 소설의 언어와 풍부한 맥락을 활용하여 소설 밖 사회를 비판하며, 나아가 자신의 생각을 비판해보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는 소설 읽기를 통하여 소설의 언어에 이데올로기가 매개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표면적으로 서술된 내용 이면의 사회적 맥락을 재구성해봄으로써 소설 텍스트에 재현된 사회, 다양한 텍스트의 총합으로 존재하는 사회를 비판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사회학의 논의 중 사회어에 주목하여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을 고찰하였다. 텍스트사회학은 언어가 사회의 정의, 분화, 통제의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갖는 포스트모던 비판이론과 통하는 이론으로서, 언어에서 사회적인 것을 읽어내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방법이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유효한 도구가 되는 것은 소설을 현실로 환원시켜 이해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 소설 텍스트의 언어 층위에서 재현된 사회를 사유하게 함으로써 소설을 중심으로 사회를 비판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는 사회어를 중심으로 소설을 읽음으로써 텍스트가 포착한 사회를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교육 원리는 '텍스트 서술의 사회적 맥락 재구성', '사회어를 고려한 서사의 의미 해석', '소설 읽기 경험을 활용한 사회 비판'이다.

이러한 방식의 소설 읽기는 학습자가 소설과 현실의 외적 상호텍스트성을 염두에 두고 이데올로기의 구도, 사회적 맥락 등을 재구성하여 사회를 비판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이와 같은 소설 읽기는 기존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이 국어교육에서 비판적 읽기의 하위 영역으로 다뤄지면서 그 독자성을 살리지 못한 점, 비판적 문식성의 핵심인 이데올로기 비판을 전면적으로 다루지 않은 점, 이데올로기를 다루더라도 문학을 현실로 환원하여 이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온 교육 내용과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실제 학습자의 소설 읽기에 나타난 비판적 문식성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감상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김승옥의 〈역사〉와 김애란의 〈가리는 손〉, 이선주의 〈창밖의 아이들〉이다. 세 편의 작품 모두 소설 텍스트 전면에 관련된 사회적 맥락이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각각 현재의 학습자가 지닌 이데올로기와 거리가 있는 과거의 작품,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중층적으로 드러난 작품, 오늘날의 학습자가 지닌 이데올로기와 친숙한 이데올로기가 드러난 작품으로 학습자가 소설을 읽고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를 비판하는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 편의 소설에 대한 학습자의 감상문은 감정이 인지와 상호작용하며 인간이 감정을 통해 사건의 중요성을 판단한다는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관점에 주목하여 학습자들의 비판적 문식성 양상을 확인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습자의 소설 읽기에 나타난 비판적 문식성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비판의 대상과 관련한 사회적 맥락을 인식하고, 텍스트의 서술과 어휘에서 사회적인 의미를 발견하였다. 둘째, 소설에 근거를 두고 사회 문제를 이해하며,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인물의 행위를 평가하고 사건을 비판하였다. 셋째, 사회어를 고려하여 경험 세계를 비판하고, 자기를 성찰하며 소설의 내용에 기반하여 현실의 문제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소설 텍스트에 현실을 직접적으로 대응시키거나, 소설의 언어와 풍부한 맥락을 비판의 근거로 활용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를 보였다. 또한 소설에 드러난 내포저자나 특정한 인물의 관점을 수긍한 나머지 양가적인 관점에서 대상을 심도 있게 비판하는 데 이르지 못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의 내용은 학습자의 수행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교육 목표는 학습자 수행에서 드러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도록 텍스트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의 확장, 텍스트에 근거한 비판 능력 신장, 사회 문제에 대한 윤리적 태도 함양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소설 읽기를 통한 사회의 복잡성 이해', '소설의 언어에 근거한 사회 비판', '소설 읽기를 통한 사회 문제 성찰과 자기 반성'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소설 텍스트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소설이 재현한 현실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비판을 시도하게 된다. 이는 현 사회에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는 동력이 되는데, 이 때의 문제 제기는 소설의 장르적 속성으로 인해 타인의 문제를 공적 담론으로서 고찰하게 하고, 더 나은 삶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또한 통념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숙고해 보며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독려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하여 이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이 소설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