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수 방법 / 菅野裕臣 1

차례 1

1. 한국어 교수법과 교재 1

2. 교재가 갖추어야 할 필수 조건이나 내용 7

3. 우리가 만든 교재와 그 구성 12

3.1.1. 《朝鮮語の入門》 12

3.1.2. 《朝鮮語を學ぼう》 13

3.2.1. 《朝鮮語 初級 敎材 I》 14

3.2.2. 《朝鮮語 初級 敎材 II》 14

3.2.3. 《朝鮮語 視聽覺 敎材》 15

3.3.1. 《初級 朝鮮語 讀本》 15

3.3.2. 《朝鮮語 初級 讀本》 15

3.3.3. 《朝鮮語 中級 讀本》 16

3.4.1. 《朝鮮語 文法 便覽》 16

3.4.2. 《朝鮮 漢字音 便覽》 16

3.4.3. 《中期 朝鮮語 資料選》 16

3.5. 《コスモス朝和辭典》 16

4. 이 교재들의 구체적인 운용 17

4.1. 도꾜 외대의 경우 18

4.2. 간다 외대의 경우 18

4.3. [제목없음] 19

5. 앞으로의 과제 2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동독)에서의 한국말 교육과 교재에 대하여 Herrmann,Wilfried pp.7-14

보기
한국말에 있어서의 참말과 빈말;비교언어학적인 고찰 구기성 pp.15-28

보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론적 배경,효과적 교수법과 교재 개발 김영기 pp.29-81

보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에 있어서 고려할 몇 가지 문제 이정노 pp.83-99

보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에 대하여 구장회 pp.101-111

보기
한국어 교육의 음성학적 문제점 Atknin,Victor pp.113-120

보기
마틴-리의 〈한국어 입문〉(1969)에 새 생명을 더하면서 King,J.R.P pp.121-142

보기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수 방법 菅野裕臣 pp.143-163

보기
캐나다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백응진 pp.165-174

보기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과 교수 방법 Ogarek-Czoj,Halina pp.175-190

보기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백봉자 pp.191-207

보기
서울 대학교 어학 연구소에서의 한국어 교육 홍재성 pp.209-224

보기
체코슬로바키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Pucek,Vladimir pp.225-239

보기
핀란드와 카작스탄에서의 한국말 및 고려말 교육 고송무 pp.241-262

보기
중국 조선민족 산재지구에서의 아동들에 대한 조선어 교육 최윤갑 pp.263-274

보기
재쏘 고려인 교육의 력사적 과정 명월봉 pp.275-29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