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I.머리말=401,421,3

II.소설과 영화의 비교를 위한 이론적 근거=403,423,1

1.소설과 영화의 서사적 요소=403,423,3

2.서사전달 방식과 중개성=405,425,3

III.[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서사전달 방식 비교=407,427,2

1.소설[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서사전달 방식=408,428,6

2.영화[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서사전달 방식=413,433,7

IV.매체에 따른 서사전달 방식 차이의 원인=419,439,1

1.중개자의 문제:화자와 카메라=419,439,4

2.전달 수단의 문제:언어와 영상=422,442,3

V.맺음말=424,444,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용학의 <非人誕生> <易姓序說> 김미영 pp.3-22

보기
1950년대 희곡에 나타난 전후세대의 현실인식 : 가족 해체의 양상을 중심으로 김옥란 pp.23-53

보기
손창섭의 소설 : 나르시시즘과 죽음의 문제 김윤정 pp.55-74

보기
다시 읽는 한말숙의 <神話의 斷崖> 유인순 pp.75-93

보기
1950년대 유치진의 희곡 윤금선 pp.95-130

보기
신이 될 수 없는 인간의 고독 : 김현승론 윤여탁 pp.131-149

보기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他者性 이경호 pp.151-173

보기
<요한詩集>의 文體 : 作家의 言語心理와 文章意識 李仁燮 pp.175-212

보기
어머니 꿈꾸기의 詩學 : 황순원의 <인간접목>론 이재복 pp.213-227

보기
장용학의 <원형의 전설> 임은희 pp.229-248

보기
이무영의 1950년대 소설 조은파 pp.249-271

보기
서기원의 1950년대 소설 : 자의식과 전망의 특성을 중심으로 차혜영 pp.273-287

보기
오상원 소설에 나타난 죽음 의식 최수정 pp.289-302

보기
50년대 모더니즘 시의 가능성 한계전 pp.303-314

보기
6·25 전쟁 체험과 이니시에이션 소설 한상무 pp.315-329

보기
김수영 시의 기법론 권오만 pp.333-362

보기
隨筆과 文學敎育論 : 故 柳炳奭 敎授의 隨筆을 중심으로 金大幸 pp.363-382

보기
근대 초기 소설의 현실 묘사 양상과 그 미학적 근거 김동환 pp.383-399

보기
小說과 映畵의 서사전달 방식 비교 : <우리들의 일그러진 英雄>을 대상으로 김중철 pp.401-426

보기
노천명의 <生家> 분석 동시영 pp.427-444

보기
모더니즘의 반성과 재출발 : 1940년대의 김기림과 오장환 서준섭 pp.445-455

보기
<廣場>의 에로티시즘과 죽음 柳淳永 pp.457-478

보기
文化精神과 詩精神의 聯關에 대한 硏究 尹在根 pp.479-506

보기
시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小考 李崇源 pp.507-523

보기
한국 모더니즘 시사 기술의 문제점 이승훈 pp.525-545

보기
김말봉의 통속소설과 휴머니즘 이정숙 pp.547-569

보기
양귀자 문학 연구 鄭尙均 pp.571-596

보기
<정지용의 졸업논문> 번역 정정덕 pp.597-617

보기
대립과 갈등의 미학 : 최명익 소설을 중심으로 정현숙 pp.619-636

보기
소설의 소통구조에 대한 검증이 갖는 의미 : <한없이 낮은 숨결> 최혜실 pp.637-650

보기
<林巨正>의 서사구조와 인물의 지향세계 한창엽 pp.651-675

보기
새로운 인문주의 시대의 문학과 문학 연구 : 생각·언어·일을 통일하기 위하여 玄吉彦 pp.677-692

보기
韓國 農民小說 硏究 : 작가의 이념과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洪性岩 pp.693-727

보기
<履霜曲> 硏究 姜明慧 pp.731-752

보기
'장자백 춘향가'의 판소리적 성격 연구 金鎭英·金賢柱 pp.753-775

보기
교과서 수록 작품 선택의 기준과 <유산가> 金豊起 pp.777-795

보기
《靑邱歌謠》의 文學的 몇 樣相과 時調史的 意義 : 朴文郁·金友奎·金振泰를 중심으로 박노준 pp.797-852

보기
동학 가사 <劍訣> 연구 尹錫山 pp.853-869

보기
石北의 <反招魂> 硏究 李起炫 pp.871-906

보기
朝鮮 前期 遊仙辭賦 硏究 鄭 珉 pp.907-931

보기
발과 다리에 관한 身體 民俗 최래옥 pp.933-975

보기
반말의 특성 성기철 pp.979-996

보기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 손세모돌 pp.997-1018

보기
<추천사>의 언어학적 분석 유경종 pp.1019-1035

보기
스키마 이론과 읽기 지도 이삼형 pp.1037-1055

보기
주어적 속격 구문에 대하여 이필영 pp.1057-1079

보기
"좀/조금"에 대하여 임유종 pp.1081-1101

보기
'-는데'로 표현되는 배경과 모습 관계의 특성 장경희 pp.1103-112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