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바른 옛지명 '싸전병문''샌전병문' : '샘전병문'은 말의 形態意味素 성립되지 않고,역사에서 버림받은 표기 아닐까 / 민기 1

[머리글] 1

국어사전·소설엔 나오는데 지명사전에선 왜 빠져? 2

땅이름에는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역사가 묻어 있다! 4

종로1가의 옛병문, 스며있는 의미 새겨 후련 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남북 언어의 통일 방안 최호철 pp.10-23

보기
우리에게 미국말이란 무엇인가? 김영환 pp.24-31

보기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절대로 안된다 최기호 pp.32-39

보기
법률 한글화작업 어떻게 이루어지나 이상희 pp.40-51

보기
김유정의 우리말 사랑 전신재 pp.52-65

보기
우리는 ‘시’라는 ‘숲’을 어떻게 이해할까 : 김남조의 ‘설일’ 전한성 pp.66-83

보기
한말(우리국어)사전 바로잡기 14 정재도 pp.84-112

보기
바른 옛지명 ‘싸전병문’‘샌전병문’ : ‘샘전병문’은 말의 形態意味素 성립되지 않고,역사에서 버림받은 표기 아닐까 민 기 pp.113-118

보기
벌판 끝으로 은유되는 생의 극지의식 : 洪允淑 시인의 시집<마지막 공부> 박진환 pp.119-125

보기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1,800자 調整의 基本方向 金相洪 pp.136-145

보기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학교급별 구분’에 대하여 진재교 pp.146-163

보기
교육용 한자의 학교급별 구분 : 한문교육의 학교급별 타당성 문제와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학교급별 문제 박붕배 pp.164-178

보기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글자 수는 많을수록 좋은가? 이형재 pp.179-185

보기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의 지정에 대하여 고성욱 pp.186-19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