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 자료의 개요=1,3,3
2. 필자 및 작성 연대=3,5,5
3. 이 자료의 명칭 「현풍 곽씨 언간」에 대해=7,9,4
4. 등장 인물과 인간 관계=10,12,1
4.1. 곽주 집안의 계보도=10,12,2
4.2. 곽주의 가족=11,13,3
4.3. 친척=13,15,2
4.4. 친지와 이웃=14,16,4
4.5. 노비=17,19,4
5. 시대적 배경=20,22,3
6. 지리적 배경=22,24,1
6.1. 생활 무대가 된 주요 지명=22,24,4
6.2. 「곽씨언간」에 등장하는 지명들=25,27,2
7. 맺음말:「현풍곽씨언간」의 학술적 가치=27,29,2
참고문헌=28,30,2
■ Abstract=30,32,1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현풍 곽씨 언간」의 종합적 고찰 | 백두현 | pp.1-30 |
|
보기 |
국어 정도 부사의 하위 분류 | 홍사만 | pp.31-74 |
|
보기 |
龜旨歌 해석에 대한 一考察 | 金洋東 | pp.75-96 |
|
보기 |
김남천 연구에 나타난 '근대성 담론'의 이데올로기 | 서영인 | pp.97-124 |
|
보기 |
김래성의 『애인』·『실낙원의 별』연구 | 장민지 | pp.125-151 |
|
보기 |
新資料 '「심청젼」권지단'에 對하여 | 김광순 | pp.153-209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선세언적(先世諺蹟)」에 대(對)하여,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1972, 55·56·57, 129~142 | 미소장 |
2 | (1986),『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3 | 金一根(1991) “ 忘憂堂 從姪 郭澍의 再室 晉州河氏墓 出土文獻의 概觀”(『晉州河氏墓出土文獻과 服飾調査報告書 : 건들바우박물관』에 수록) | 미소장 |
4 | (1979), "언간을 통해 본 근세전기어의 단면”,『어문연구』 4집, 경북대 어학연구소 | 미소장 |
5 | 晋州河氏 墓 出土 한글 筆寫 資料의 表記와 音韻現象 | 소장 |
6 | (1996), "언어와 문자”,『조선시대 생활사』, 한국고문서학회,역사비평사. | 미소장 |
7 | 17세기 초의 한글 편지에 나타난 생활상 : 科擧, 冊, 敎育 :경북 玄風의 晋州 河氏墓에서 出土된 『郭氏 諺簡』을 대상으로 | 소장 |
8 | (1997), “玄風 郭氏 諸簡 判讀文’’『어문론총』31,경북어문연구회. | 미소장 |
9 | <현풍 곽씨 언간>에 나타난 17세기의 習俗과 儀禮 | 소장 |
10 | 嶺南 文獻語에 반영된 방언 어휘 연구 ![]() |
미소장 |
11 | 貞夫人 安東 張氏와 『음식디미방』 | 소장 |
12 | 17세기의 <현풍 곽씨 언간>에 나타난 민간 신앙 | 소장 |
13 |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 ![]() |
미소장 |
14 | <현풍 곽씨 언간>의 音韻史的 연구 | 소장 |
15 | 일반 논문 : 『음식디미방』[규곤시의방]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연구 ![]() |
미소장 |
16 | <현풍 곽씨 인간>의 경어법 선어말어미 연구 | 소장 |
17 | 固城李氏 李應台墓 出土 편지 | 소장 |
18 | 「淸州北一面順天金氏墓出土簡札」의 判讀文 | 소장 |
19 | (1998),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 미소장 |
20 | (1994) 『근대국어연구(Ⅰ)』태학사 | 미소장 |
21 | 건들바우박물관, "晋州河氏墓出土文獻과 服飾調査報告書 : 慶北 達城郡 求智面 道洞里", 건들바우박물관, 1991 | 미소장 |
22 | 문화재 관리국(1903),『重要民俗資料 指定調查報告書』(晉州河氏墓出土遺物). | 미소장 |
23 | (2002),『16•17世紀 諺簡의 相對敬語法』,태학사.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