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35.7 mg/g, 20.2 mg/g이었으나 두 용매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여 카테킨의 함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두 용매 분획물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C1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여 카테킨의 단량체-이량체 분획(FI)과 올리고량체 분획(FII) 및 다량체 분획(FIII) 등의 세가지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E-FI(26.0 mg/g) > E-FII(18.6 mg/g) > E-FIII(13.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을 1,000 ppm 농도로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였다. 또한 부탄올 분획물에서도 B-FI(35.3 mg/g) > B-FII(30.8 mg/g) > B-FIII(22.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효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의 항산화력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각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총 카테킨의 함량 뿐만 아니라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제조되는 포도종실 추출물의 품질 관리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문 헌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among the serial solvent fractions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contained the catechin at the levels of 35.7 mg/g and 20.2 mg/g, respectively. However, the POV increasing patterns of two linoleic acid samples containing each solvent fraction were so similar that the difference in antioxidant activity by the catechin content of each solvent fraction could not be found. Each solvent fraction was fractionated on C18 cartridges into three subfractions which were mono , dimers fraction (FI), oligomers fraction (FII) and polymers fraction (FIII) to examine the effect by the difference in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roanthocyanidin. The catechin contents of ethyl acetate subfractions (E F) were in the order of E FI (26.0 mg/g) > E FII (18.6 mg/g) > E FIII (13.7 mg/g) but the three subfractions showed nearly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by the POV measurement at 1,000 ppm concentration. Also the catechin contents of butanol subfractions (B F) were in the order of B FI (35.3 mg/g) > B FII (30.8 mg/g) > B FIII (22.7 mg/g) but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all subfractions. In this study,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of each solvent subfraction in spite of different catechin contents inform that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roanthocyanidin as well as the total catechin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in quality control of grape seed extract produced for natural antioxida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GC Olfactometry를 이용한 새우의 휘발성성분 특성평가 이미정 外著 pp.953-957

P&T법에 의한 닭고기의 방사선 유래 휘발성 조사물질 구명 김 훈 外著 pp.958-964

급식기구 표면의 위생상태 및 대장균 소독효과 김이선 ;전영수 ;한지숙 pp.965-970
저장온도와 포장방법에 따른 깍두기의 발효특성 김영애 外著 pp.971-976

다시마와 키토산을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권영미 ;김동한 pp.977-985

항암성과 향미가 개선된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의 제조 김영숙 外著 pp.986-993

열처리 대두로 재배한 콩나물 특성 윤혜현 ;신민자 ;김동만 pp.994-998

염지액의 식염농도와 염지기간이 돼지고기의 염용성단백질의 추출성, 소편화, 보수력, 식염함량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문윤희 外著 pp.999-1004

Maltodextrin이 첨가된 저열량 레이어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송은승 外著 pp.1005-1010

소아비만 치료의 임상영양 교육 효과 김영숙 ;이순영 ;김영옥 pp.1011-1017

한국성인의 체중조절 관련 행위와 식이 섭취 양상 김영옥 pp.1018-1025

부산지역 청소년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 한지숙 ;김정희 pp.1026-1034

단기간의 나트륨 섭취수준이 정상 성인 여성의 혈청 지질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 이영근 外著 pp.1035-1042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공급에 따른 소변 중 이소플라본 배설량 변화에 관한 연구 승정자 pp.1043-1047

식이섬유함량이 다른 쌀이 정상인의 혈당과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 이 찬 ;신재수 pp.1048-1051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식이 베타글루칸이 체지방 형성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강순아 外著 pp.1052-1057

녹차가 유산소 운동 후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 작용 및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미지 ;이순재 pp.1058-1064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유수경 ;이순재 pp.1065-1070

YK-209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소장의 이당류분해 효소 활성과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유수경 外著 pp.1071-1077

키토산 두부가 고지질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노홍균 ;백경연 ;김석중 pp.1078-1083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이승교 ;강희윤 ;박영주 pp.1084-1091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 정하열 ;윤수정 pp.1092-1096

복령(Poria cocos)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김대곤 外著 pp.1097-1101

오미자 추출물이 카드뮴을 급여한 흰쥐의 대사와 신장내 카드뮴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성희 ;신미경 ;정영희 pp.1102-1106

배에서 추출한 Phenolic Compound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김정상 ;나창수 pp.1107-1111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박지윤 外著 pp.1112-1118

Clostridium perfringens KCTC 5014의 성장 억제를 위한 항산화 천연산물의 효과 김종덕 pp.1119-1125

인간 전립선 암세포인 TSU-Pr1에서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과 Bcl-2 단백질의 발현억제 오윤신 外著 pp.1126-1133

종양괴사인자에 의하여 유도된 혈관내피세포의 Cell Adhesion Molecules 발현을 억제시키는 플라보노이드 선별 최정숙 外著 pp.1134-1141

부산향토음식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 및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김상애 pp.1142-1149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에서 영양성분의 함량 분석 김은정 ;이경임 ;박건영 pp.1150-1154

부산지역 초등학생들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김소희 ;류은순 pp.1155-1162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은 이온의 항균효과 김현진 ;이승철 pp.1163-1166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생체기능조절 천연소재 및 기능성 식품 / 천연 항산화제의 연구동향과 방향 네이버 미소장
2 Natural Antioxidants in Grapes and Wines 네이버 미소장
3 Principal Phenolic Phytochemicals in Selected California Win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in Inhibiting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s 네이버 미소장
4 Inhibition ofIn VitroHuman LDL Oxidation by Phenolic Antioxidants from Grapes and Wines 네이버 미소장
5 Inhibi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 Relation to Composition of Phenolic Antioxidants in Grapes (Vitis vinifera) 네이버 미소장
6 Oligomeric and polymeric procyanidins from grape seeds 네이버 미소장
7 Separation of Grape and Wine Proanthocyanidins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Polymerization 네이버 미소장
8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Solvent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 소장
9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소장
10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소장
11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미소장
12 Characterization of Procyanidins of Vitis vinifera Variety Tinta del Pais Grape Seeds 네이버 미소장
13 Oxygen free radical scavenger capacity in aqueous models of different procyanidins from grape seeds 네이버 미소장
14 Polymeric grape seed tannins prevent plasma cholesterol changes in high-cholesterol-fed rats 네이버 미소장
15 Dietary grape seed tannins affect lipoproteins, lipoprotein lipases and tissue lipids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s. 네이버 미소장
16 Non-enzymatic degradation of acid-soluble calf skin collagen by superoxide ion: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