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정보원의 전문성과 시청자의 유행관여도에 따른 간접광고의 효과 : TV 드라마 속 패션상품 PPL을 중심으로 / 김재휘 ; 안정태 1

[요약] 1

1. 서론 1

2. 이론적 배경 3

1) 간접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3

2) 패션상품의 소비자 관여 7

3) 정보원에 따른 광고 효과 9

3. 연구문제 10

4. 연구방법 12

(1) 배우(제품제시자) 선정 12

(2) 피험자 12

(3) 실험설계 12

(4) 독립변수 12

(5) 종속변수 12

(6) 실험재료 12

(7) 실험절차 13

5. 결과 13

6. 논의 16

참고문헌 18

[요약] 2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터넷상에서 조직-공중관계성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욱 ;박소영 pp.7-30

보기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과 재방문의도 :의사사회현상의 적용 박웅기 pp.31-49

보기
사용자 중심법(user-centric)에 의한 사이트 노출(site exposure) 측정에 관한 연구 :지속(duration)의 개념을 추가한 사이트 사용량 지수의 제안 이석기 pp.51-73

보기
상표 친숙도에 따른 트레일러식 광고유형이 소비자의 기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 ;원선희 pp.75-93

보기
정보원의 전문성과 시청자의 유행관여도에 따른 간접광고의 효과 :TV 드라마 속 패션상품 PPL을 중심으로 김재휘 ;안정태 pp.95-115

보기
브랜드 네임과 브랜드 심벌의 일치성이 미치는 광고 효과 :브랜드 관여도의 고, 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정만수 ;윤희숙 ;안수빈 pp.117-147

보기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pp.149-177

보기
방송사 브랜드 이미지 :텔레비전 3사의 '한·일 월드컵 대회' 방송태도분석을 중심으로 조재영 pp.179-199

보기
광고인력 수급 현황에 대한 연구 서범석 pp.201-227

보기
디지털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광고개념의 변화와 쌍방힝 광고심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상훈 pp.229-255

보기
제품 관여도 및 제품 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정보 활용 연구 김성훈 pp.257-280

보기
방송광고 미디어렙의 도입에 관한 연구 김민기 pp.281-307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9. 11). 마케팅 뉴트렌드: PPL마케팅,이미지 상승 통한 매출 증대와 연계 마케팅의 시너지 효과 탁월. 『광고정보』,38-41 . 미소장
2 (2002). 광고 속의 광고에 대한 효과, TV-CF에서 제시되는 PPL광고의 효과. 한국광고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0(2), 39-61 미소장
3 “유행관여에 따른 여성기성복 상표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6(4), 1992. 미소장
4 女性旣成服 購買行動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 스타일 變數 硏究 소장
5 의복관여도에 따른 신세대 의복선택요인과 정보탐색활동 소장
6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정보탐색 소장
7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소장
8 TV 프로그램에서 제품배치의 효과에 관한 연구 소장
9 (1997).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서울: 법무사. 미소장
10 (1970). Integration theory and attitude change. Psychological Review, 78, 171-206. 미소장
11 (1984),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February), 203-209. 미소장
12 Viewers' recognition of brands placed within a film 네이버 미소장
13 (1995). Product Placement, Unpublished Working Paper. Department of Marketing, University of Strathclyde, MA: Marketing Science Institute. 미소장
14 Selective exposure to information and cognitive dissonance 네이버 미소장
15 Effects of Sex, Response Order, and Expertise in Conformity: A Dispositional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16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Evaluations and Memory of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네이버 미소장
17 Consumer reactions to product placement strategies in television sponsorship 네이버 미소장
18 Fashion Involvement: An Instrument Validation Procedure 네이버 미소장
19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네이버 미소장
20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Ethics and Acceptability of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Product Category and Individual Differences 네이버 미소장
21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네이버 미소장
22 (1990).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New Haven, СГ: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3 (1973). Attention and human performance. Palisadae, CA: Goodyear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24 (1994). Effects of brand placement in motion pictures, In C. S. Madden(Ed), Proceedings of the 1994 Conference of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90-96. 미소장
25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네이버 미소장
26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네이버 미소장
27 (1994). Shoul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be banned? Journal of Promotion Management, 2(3/4),159- 175. 미소장
28 (1986).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9, pp.123-205). San Diego, CA: Academic Press. 미소장
29 (1969). Components of attention. Psychological Review, 75, 522-536. 미소장
30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s in Television Shows: The Role of Modality and Plot Connection Congruence on Brand Memory and Attitude 네이버 미소장
31 (1994). Brand Recall for Product Placements in Motion Pictures: A Memory-Based Perspective. Paper presented to the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s(AEJMC). 미소장
32 (1987).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master’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미소장
33 (1976),“Fashion involvement and buying behavior: a methodological stud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46-52 미소장
34 (1994). A Review and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s in Films, The Proceedings of the 1994 Conferen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97-10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