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자연과 생명', 어린이책의 영원한 주제 : 내가 배운 그림책 기획의 몇 가지 원칙 / 심조원 1
내가 배운 어린이책의 기초 1
세밀화를 하게 된 까닭 2
자연을 보는 바람직한 관점 3
내가 기획한 책들 4
[1] '올챙이 그림책'(모두 60권, 1991년) 4
[2] '달팽이 과학동화'(모두 50권, 1994년) 6
[3] '세밀화로 그린 보리 아기 그림책'(모두 15권, 1998년 완간, 보리) 7
[4] '도토리 계절 그림책'(모두 4권, 1999년 완간, 윤구병 글, 이태수 그림, 보리) 9
[5]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식물도감』(1997년),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동물도감』(1998년) 10
[6] 『누구야 누구』(1998년) 10
[7] 『갯벌에 뭐가 사나 볼래요』(2001년, 도토리 지음, 이원우 그림, 보리), 『고구마는 맛있어』(2001년, 도토리 기획 엮음, 양상용 그림, 보리) 11
[8] 『세밀화로 그린 나무도감』(2001년, 도토리 기획, 임경빈 외 글, 이제호 그림, 보리) 13
올챙이 편집자에게 전하는 귓속말 1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자연과 생명', 어린이책의 영원한 주제 :내가 배운 그림책 기획의 몇 가지 원칙 | 심조원 | pp.24-37 |
|
보기 |
어린이 논픽션 책 기획의 원칙들 | 이성실 | pp.38-52 |
|
보기 |
창작동화, 어떻게 만들 것인가 | 신수진 | pp.54-64 |
|
보기 |
어린이책에서 디자인의 중요성 | 윤소연 | pp.66-81 |
|
보기 |
"> "어린이책의 미래는 에디터십에 달려 있다" :현장 편집자들이 바라본 어린이책의 현재와 미래 <座談> | 고대영 外著 | pp.82-105 |
|
보기 |
한국출판은 왜 아동출판에 집착하는가? | 한기호 | pp.106-114 |
|
보기 |
"> "변화의 시대일수록 원칙과 기준이 필요하다" :어린이책 유통환경의 변화와 영업자의 역할 <座談> | 김동찬 外著 | pp.116-135 |
|
보기 |
베스트셀러로 본 어린이책의 발자취 :1990년대~2000년대 어린이책 베스트셀러의 경향 | 한미화 | pp.150-159 |
|
보기 |
어린이 독서문화운동의 메카 '어린이도서연구회' | 이권우 | pp.160-167 |
|
보기 |
벼랑 끝에 몰린 어린이 전문서점 | 정병규 ;한미화 | pp.168-175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