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강원도 홍천 유기농 재배단지 내에서 재배한 5종의 유기농 야채 즉, 케일, 신선초, 셀러리, 상추 및 파와 가락동 시장에서 구입한 일반재배 야채를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 함량, 무기물, 비타민 및 chlorophyll 함량을 각각 측정하여 유기농 야채 판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전체적으로 유기농 야채의 조단백, 조지방 함량이 일반야채 보다 높아 이는 야채의 외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대적으로 녹색색상

과 함께 반짝이는 윤기가 강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수분 함량의 차이에 따른 현상의 하나로 일반재배 야채에 비하여 유기농 야채는 약간 건조된 듯한 외관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연약한 것 같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나트륨, 칼륨, 칼슘, 인 및 철의 5종 무기물과 함께 일부 비타민 성분을 을 측정해 본 결과 개별 성분은 물론 무기물 및 비타민 총량에서도 유기농 야채에서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일반재배 야채 보다 높았으며, 무기물의 경우 케일은 유기농 재배품은 811.8 mg/ 100g으로 일반 재배품의 688.1 mg/100g에 비하여 약 17.98%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신선초, 셀러리에서는 각각 447.9, 486.5 mg/100g 및 399.7, 405.3 mg/100g로 측정되어 12.06, 8.62% 높게 측정되었고, 상추, 파는 각각 368.6, 320.9 mg/ 100g 및 320.9, 333.1 mg/100g로 14.86, 19.93%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녹색 채소에서 주요 색소성분인 chlorophyll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determined in vegetables purchased at Garak-dong market and organic vegetables cultivated at Hongchun, Kangwon-do. The vegetables were Kale, Angelica Keiskei Koidz, Celery, Lettuce and Allium fistulosum. In proximate component contents, analyzed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organic vegetab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vegetables. Organic vegetables had strong green color. Minerals such as sodium, potassium, calcium, phosphorus, iron as well as vitamins were determined.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s in organic vegetab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vegetables. Total mineral content of organic and general kales were 811.8 mg/100g, and 688.1 mg/100g, respectively. Total mineral content of organic Angelica Keiskei Koidz, Celery, Lettuce and Allium fistulosum were 447.9, 486.5, 368.6, and 320.9 mg/100g, respective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저장방법에 따른 절임 가지(시키부품종)의 성분 변화 남학식 ;김남우 ;엄영철 ;신승렬 pp.293-298

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정용진 ;노정은 ;박난영 pp.299-303

열풍처리에 따른 조생 온주감귤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이현희 ;홍석인 ;손석민 ;김동만 pp.304-312

수확시기 및 가공전 보관기간이 신선 편이가공 양송이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임정호 ;최정희 ;홍석인 ;정문철 ;김동만 pp.313-318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균효과 장세영 ;최현경 ;하나영 ;김옥미 ;정용진 pp.319-324

대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코팅쌀 제조 및 품질 특성 정기태 ;주인옥 ;류 정 ;최정식 pp.325-330

최소가공 처리에 의한 양상추의 갈변 및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 차환수 ;김순임 ;김병삼 ;김상희 ;박선주 ;조한선 ;최해연 pp.331-335

열처리 조건이 포도 주스내 anthocyanin 색소에 미치는 영향 이승엽 ;박종대 pp.336-341

탱자 과피와 과육의 성분특성 정헌식 ;이주백 ;성종환 ;최종욱 pp.342-346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이화학적 특성 김재용 ;문광덕 ;이상대 ;조숙현 ;강혜인 ;이성태 ;서권일 pp.347-351

구기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김현구 ;나경민 ;예수향 ;한호석 pp.352-357

생육 시기에 따른 피자두(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의 항산화 효과 유미희 ;이승욱 ;임효권 ;김현정 ;이인선 pp.358-363

일당귀 n-hexane분획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추명희 ;최현숙 ;서영남 ;이명렬 pp.364-372

죽력(Bambusae Caulis in Liquamen)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최현숙 ;하진옥 ;추명희 ;나명순 ;이명렬 pp.373-382

오디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물질의 항산화 효과 차원섭 ;신해룡 ;박준희 ;오상룡 ;이원영 ;천성숙 ;추재원 ;조영제 pp.383-387

생약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나경민 ;한호석 ;예수향 ;김현구 pp.388-393

구운 계란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학적 유통기한 설정 김동호 ;송현파 ;이유석 ;차보숙 ;김병근 ;변명우 pp.394-399

조리방법을 달리한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 김용두 ;김기만 ;허창기 ;김은선 ;조인경 ;김경제 pp.400-404

동치미에서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DLAB19의 배양조건에 따른 aflatoxin 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이창호 ;김정희 ;박희동 pp.405-410

항균포장지 제조용 식물성 자몽종자추출물제재의 항균특성 조성환 ;김철환 ;박우포 pp.411-416

식물성 항균소재 처리가 Botrytis cinerea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저해효과 조성환 ;김철환 ;박우포 pp.417-423

유기농 야채의 무기물 및 비타민 함량 김형열 ;이근보 ;임흥열 pp.424-429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8) Functional foods. 1st. ed. Technomic Publishing Co., Technomic Publishing Co. 미소장
2 (1997) Application and aspect of irradiation technology in food industry. , 미소장
3 (1996) Food irradiation:Current problems and future potential, 미소장
4 Distribution of Microflora in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and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by Gamma Irradiation 소장
5 (1991) Vegetables, 53 미소장
6 (1990) Oxidation of vitamin C after heating in edible plants. ヒタシソ 64, 미소장
7 Inhibitory Effect of Green - 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 - 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소장
8 (1991) β-carotene and cancer prevention. Am. J. Clin. Nutr. 53, 미소장
9 (1991) The role of carotenoids, 미소장
10 (1991) Vitamin C and cancer prevention. Am. J. Clin. Nutr., 미소장
11 Vitamin C and cancer. 네이버 미소장
12 Effect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Serum Lipoprotein and Lipid Compositions in Human Subjects 네이버 미소장
13 Supercritical CO 2 Extraction of ?-Carotene from Sweet Potatoes 네이버 미소장
14 (1986) selenium and risk of lung cancer. N. Eng. J. Med., 미소장
15 (1988) The evidence for the role of carotenes in preventative health. Cli. Nutr., 미소장
16 Extraction of β - carotene from Carrot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소장
17 (1984)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미소장
18 (1989)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4th ed., 미소장
19 Comparison of Enzyme Activity and Micronutrient Content in Powdered Raw Meal and Powdered Processed Meal 소장
20 RATE OF ANAEROBIC DEGRADATION OF ASCORBIC ACID IN AQUEOUS SOLU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