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개항기 경제사를 보는 한 시각 / 이헌창 1
편집자의 말 1
1. 머리말 2
2. 개항 전후의 경제구조 3
3. 개항기 경제적 변화 12
4. 맺음말 24
주 26
참고문헌 27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역사인식과 과거사 문제 | 전우용 | pp.20-32 |
|
보기 |
한국 언론의 동북공정 보도 비판 | 김희교 | pp.35-61 |
|
보기 |
한·중 상호 이해의 어제와 오늘 | 권혁수 | pp.62-84 |
|
보기 |
중국 "제4세대" 지도부의 현실인식 분석 | 조영남 | pp.85-107 |
|
보기 |
한·중 경제관계의 인식과 한국의 선택 | 지만수 | pp.108-127 |
|
보기 |
한·중 문화교류와 한·중 '공동의 집' | 이욱연 | pp.128-141 |
|
보기 |
공작원 안두희와 그의 시대 | 정병준 | pp.142-171 |
|
보기 |
꺾여진 개혁의 날개 :뉴딜과 그의 적들 | 박진빈 | pp.172-190 |
|
보기 |
왕인의 『천자문』·『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 이근우 | pp.191-217 |
|
보기 |
징병제의 역사 :국가폭력과 민주주의의 충돌 | 최재희 | pp.218-237 |
|
보기 |
한국 과거청산의 성과와 전망 :과거청산 관련 국가기구의 활동을 중심으로 | 정호기 | pp.238-261 |
|
보기 |
개항기 경제사를 보는 한 시각 | 이헌창 | pp.262-290 |
|
보기 |
한국 :우리에게 러일전쟁은 무엇인가 | 한철호 | pp.292-308 |
|
보기 |
러시아 :러일전쟁 패배를 보는 두 시각 | 김영수 | pp.309-324 |
|
보기 |
일본 :'기억의 장'으로서 러일전쟁 | 나리타 류이치 | pp.325-337 |
|
보기 |
역사 속의 이순신 인식 | 노영구 | pp.338-358 |
|
보기 |
조선후기의 대로 | 김종혁 | pp.359-383 |
|
보기 |
조선 가부장제에 대한 이론화 시도 : 「조선조 사회와 가족 : 신분상승과 가부장제 문화」, 이효재 <書評> | 정지영 [평] | pp.384-389 |
|
보기 |
한국 사회주의운동의 자리 찾기 : 「이정 박헌영 전집」, 역사비평사 <書評> | 이기훈 [평] | pp.390-39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韓國 近代 綿業史 硏究", 一潮閣, 1989 | 미소장 |
2 | 朝鮮王朝時代 人口推定에 關한 一試論 | 소장 |
3 | 2004,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역사비평사. | 미소장 |
4 | "고종시대의 국가재정 연구 :근대적 예산제도 수립과 변천", 태학사, 2004 | 미소장 |
5 | 甲午改革이후 近代的 財政制度의 形成過程에 관한 연구 | 소장 |
6 |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 |
미소장 |
7 | 「차관 제공」,『한국사』44, 국사편찬위원회, 2000. | 미소장 |
8 | 「대한제국시기의 잠업진흥정책과 민영잠업」,『대한제국연구』V,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986. | 미소장 |
9 | 韓國近代海運業史硏究, "國學資料院", 1998 | 미소장 |
10 | "韓國金融史 :1876-1959", 개신, 2002 | 미소장 |
11 | 「다산의 농업경영론」,『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하, 창작과비평사. 1990. | 미소장 |
12 | 1991 『한국근대화폐사』, 한국연구원 | 미소장 |
13 | 「한말 차관문제의 전개과정」,『일제경제침략과 국채보상운동』, 아세아문화사, 1996. | 미소장 |
14 | 「개항기 토착공업과 이식공업」,『공업화의 제유형』(Ⅱ), 경문사, 1996. | 미소장 |
15 | 開港期 外國商人의 侵入과 韓國商人의 對應 | 소장 |
16 | 「재화가격의 추이, 1701~1909」,『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 미소장 |
17 | 해방이전 통신사업의 전개과정과 고용구조 | 소장 |
18 | 「서울의 숙련 및 미숙련노동자의 임금, 1600~1909」,『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 미소장 |
19 | 「조선후기와 일제시대의 인구변동」,『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 미소장 |
20 | 조선후기 인구압력과 상품작물 및 농촌직물업의 발달 | 소장 |
21 | 1988,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 미소장 |
22 | 「총설: 조선후기 경제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과 과제」, 이영훈 편,『수량 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 미소장 |
23 | 農村 米穀市場과 全國的 市場統合, 1713-1937 | 소장 |
24 | 1894~1910년 재정제도와 운영의 변화 | 소장 |
25 | 「18~19세기 산림 화폐화와 농업생산성」,『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서울대 출판부, 2004. | 미소장 |
26 | 開港期 市場構造와 그 變化에 관한 연구 | 소장 |
27 | 資本主義의 成立과 市場經濟 | 소장 |
28 | 「개항기 충청남도의 유통구조」,『근대조선공업화연구』, 일조각, 1993b. | 미소장 |
29 | Articles : The Network of Periodic Markets of Chungcheng Province in the Late Chosen Period ![]() |
미소장 |
30 | 「개항과 제국주의침략에 대한 연구성과와 과제」,『한국사론』25, 국사편찬위원회, 1995. | 미소장 |
31 | 『민적통계표의 해설과 이용방법』,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1997 | 미소장 |
32 | A Comparative Study of Commerce Between Late Choson Dynasty and Tokugawa Japan | 소장 |
33 | 「1678~1865년간 화폐량과 화폐가치의 추이」,『경제사학』27호, 1999b. | 미소장 |
34 | 2000.「한국 고도성장의 역사적 배경」.『동아시아 경제협력의 현상과 가능성』. 고려대 아시아문제연구소 | 미소장 |
35 | 「농촌재화시장의 구조와 변동 : 1841~1934」,『맛질의 농민들—한국근세촌락생활사』, 일조각, 2001a. | 미소장 |
36 | 「개항기 근대화 정책」『한국경제성장사』, 서울대학교 출판부,2001. | 미소장 |
37 | 『한국경제통사』(제2판), 법문사, 2003. | 미소장 |
38 | 「경제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지방과 중앙」,정두희(편 )『한국사에 있어서 지방과 중앙』,서강대학교 출판부,2003. | 미소장 |
39 | 한국 전근대 무역의 類型과 그 변동에 관한 연구 | 소장 |
40 | The Perception of Enlightenment Thought about Modern World and Their Responses in Korea | 소장 |
41 | 「박득령 일기의 해제」,『예천 맛질 박씨가 일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c. | 미소장 |
42 | 韓國近世地域經濟史-全羅道靈光郡一帶의 事例- , 景仁文化社,2003. | 미소장 |
43 | 19세기말~20세기초 韓人 會社 硏究 | 소장 |
44 | 1999,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1892∼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45 | 우리 나라의 논가격 및 생산성, 1700-2000 | 소장 |
46 | 1997,『한국근대경제사연구』, 신서원. | 미소장 |
47 | 1962, "李氏朝鮮開港直後における朝日貿易の展開」,『歷史學研究』제265집, 歷史學研究會. | 미소장 |
48 | 「李朝時代の海運業」,『朝鮮社會の構造と日本帝國主義』, 1977. | 미소장 |
49 | 朝鮮商業政策史硏究(東京大學出版會, 1994). | 미소장 |
50 | 「鐵道開通 전후의 洛東江 船運」, 『韓國近代經濟史研究의 成果』. 螢雪, 1989. | 미소장 |
51 | 1988, 舊日本植民地經濟統計: 推計と分析, 東洋經濟新報社. | 미소장 |
52 | 「朝鮮「土地調查事業」研究序說」,『アゾア經濟』19-9, 1978. | 미소장 |
53 | 「日本帝國主義による朝鮮綿業の再編成」,『日本帝國主義と東アゾア』, アジア經濟研究所, 1979. | 미소장 |
54 | (1984), "Introduction," Ramon H. Myers and Mark R. Peattie, eds.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1895-1945,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5 | Economic growth in prewar China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