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요약]=315,319,1

I. 서론=316,320,1

1. 문제제기=316,320,2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317,321,4

II.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 성과 계급 정체성간의 갈등과 조화=320,324,1

1. 전통적인 성정체성과 여성 노동자=320,324,7

2.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형성과 성정체성 변화=326,330,9

III. 여성주도 노동운동의 특성=334,338,2

1. 노동운동을 주도하는 여성노동자=335,339,4

2. 성분리주의를 넘어선 여성노동운동=339,343,5

IV. 70년대 여성노동운동의 의미와 평가=343,347,3

V. 결론=346,350,2

참고문헌=347,351,4

〈성공회대학교 노동사 Archives 소장 자료〉=350,354,1

초록보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였다. 첫째, 70년대 민주노조운동을 전개한 여성노동자들은, 어떻게 노동자 의식형성에 걸림돌이 되었던 전통적인 여성관에서 벗어나 노동자로서의 계급정체성을 획득하게 되었던 것일까? 둘째, 이들은 어떻게 70년대 노동운동의 주도자가 되었던 것인가? 셋째, 이들의 계급 정체성과 성정

체성은 어떤 관계에 있었기에 서구의 여성노동운동의 초기단계에 흔히 나타났던 남성 배타적이고 성분리주의적인 여성노동운동을 전개하지 않았던가?였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여성노동자들의 성과 계급 정체성의 형성과 그 상호관계, 그것이 여성노동운동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함으로써, 70년대 한국 여성노동운동의 특성과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의 경우, 70년대 민주노조운동을 주도한 여성노동자들은 노동자로서의 계급정체성을 획득한 후, 성정체성의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은 80-90년대 노동운동을 주도해간 남성노동자들이 계급 정체성을 획득하였음에도 보수적인 여성관을 유지한 것과는 매우

대비되는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서구와는 달리 노동운동을 주도할 남성노동조직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가장 심한 억압과 착취 하에 있었던 여성노동자들이 노동운동을 주도해 간 것으로 분석된다. 세 번째로 성분리주의가 등장하지 않았던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노동시장 구조상 성간의 경쟁과 대립이 불필요했다는 점, 그리고 여성노동자들의 성정체성이 계급정체성에 기반하여 형성되었기 때문에 남성노동자를 적대적인 존재로 보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동계급 정치세력화와 민주노동당의 과제 조돈문 pp.1-33

보기
산별노조지역조직의 민주집중제의 현황과 과제 :4개 부산지역조직의 경우 윤영삼 pp.35-65

보기
전자감시와 노동자 반응 :A은행 콜센터의 사례연구 이병훈 ;김종성 pp.67-88

보기
고용조정과 노동조합의 역할 :과연 노동조합은 고용조정에 영향을 미쳤는가? 윤진호 pp.89-122

보기
금속노조 사업장 비정규 노동력 활용의 노조효과 분석 주무현 pp.123-154

보기
고령화와 초과노동이 노동조합에 미친 효과 :금속노조의 사례 김재훈 pp.155-182

보기
기업별 협약의 산업별 협약으로의 이행방안 강신준 pp.183-214

보기
동아시아 고용체제의 특성과 변화 :한국, 일본, 대만의 고용안정성, 임금구조, 노동시장 분절성의 비교 정이환 ;전병유 pp.215-252

보기
일본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고용형태의 다양화 이종구 pp.253-278

보기
파트타임 노동자의 기간화(基幹化) 유형과 기업전략 :일본 슈퍼마켓 산업 사례 분석 김순영 pp.279-313

보기
70년대 여성노동자의 정체성 형성과 노동운동 강남식 pp.315-350

보기
70년대 자동차기업의 작업장 저항에 대한 연구 정승국 pp.351-377

보기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남식, (1997) 영국 여성노동조합운동과 성의 정치 ?동덕여성연구?, 미소장
2 대 한국여성연구소, 미소장
3 강남식, (20011870-1914) 영국의 고한노동과 여성노조운동 ?서양사론?, 미소장
4 강인순, (2001)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2?,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5 김귀옥, (2004) 1960,1970년대 의류봉제업 노동자 형성과정: 반도상사(부평공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미소장
6 구해근, (2002)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 창작과 비평사 미소장
7 김경숙 외, (1986) ?그러나 이제는 어제의 우리가 아니다?, 돌베개 미소장
8 김지수, (1988) 한국여성노동운동의 현황과 과제, 창작사 미소장
9 나보순 외, (1983) ?우리들 가진 것 비록 적어도-근로자들의 글모음 I?, 돌베개 미소장
10 방혜신, (1993) 70년대 여성노동운동에서 여성특수과제의 실현조건에 관한 연구, 미소장
11 서관모?심성보 외, (1989) ?현단계 한국 사무직 노동운동?, 태암 미소장
12 서정혜, (1992) 의류산업 노동시장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조직운동에 관한 연구, 미소장
13 석정남, (1984) ?공장의 불빛?, 미소장
14 신인령, (1985) 한국의 여성노동의 문제, 돌베개 미소장
15 신원철, (2004) 경쟁 양식과 노동자 정체성 1960-1970년대 기계산업 노동자를 중심으, 미소장
16 여성평우회, (1985) 한국여성운동에 대한 재평가2-70년대 여성노동운동을 중심으로, 미소장
17 여성유권자연맹, (1980)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보고서-구미 구로공단을 중심으로?, 미소장
18 윤택림, (2002) 사회사 연구에서 구술사의 가능성, 미소장
19 한국사, 통한 노동자 일상생활의 재구성 ?한국 사회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미소장
20 이숙진, (1990) 노동자계급 여성의 여성해방의식 획득에 관한 연구, 미소장
21 이옥지, (2001)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1?,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2 이종구 외, (2004) ?1960-1970년대 한국의 산업화와 노동자 정체성?,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3 장남수, (1984) ?빼앗긴 일터?, 창작과 비평사 미소장
24 장명국?이경숙, (1988) 민족민주운동으로서 여성운동의 과제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미소장
25 70년대 여성노동자의 정체성 형성과 노동운동, 미소장
26 장미경, (1999)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문화과학사 미소장
27 장미경, (2004) 근대화와 산업화 시기의 여성노동자-여성노동자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미소장
28 정미숙, (1992) 70년대 여성노동운동의 활성화에 관한 경험 세계적 연구-섬유업을 중심으로, 미소장
29 정현백, (1991) ?노동운동과 문화?, 한길사 미소장
30 조순경, (1990) 산업의 재편성과 여성노동운동-한국과 대만의 비교연구, 미소장
31 조희연, (2004)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아르케 미소장
32 (1985) 한국여성개발원, 미소장
33 한윤수 엮, (1980)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10대 근로자들의 일기와 생활담?, 청년사 미소장
34 한국노동조합총연맹, (1983) 조직 여성 노동자의 실태조사보고 자료집, 미소장
35 제2호, (1989) 여성간부 워크샵 종합토의 결과 및 사례발표, 미소장
36 (1992) 노동시장내의 성차별 해소를 위한 노동조합 운동과제-노동현장의 여성, 미소장
37 Aronowitz, (1995) Reflection on identity The Identity in Question, 미소장
38 Butler, (1992) feminism and the question of postmodernism, 미소장
39 Harding, (1986) The instability of the analytical categories of feminist theory, 미소장
40 Hall, (1996) Introduction: who need identity, 미소장
41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s 미소장
42 Mouffe, C, (1995) Democratic politics and the question of identity, 미소장
43 Nam,, (1996) Labor Control of the State and Women's Resistance in the Export Sector of South Korea, 미소장
44 Ogle, (1990) Dissent within the Economic Miracle, 미소장
45 강남식, (2003) "안순애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tjdrhdghl 미소장
46 강남식, (2003) "이정화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 성공회 미소장
47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48 강남식, (2002) 조화순 구술^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성공회 미소장
49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50 강남식, (2003) 김지선 구술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성공회 미소장
51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52 오장미경, (2002) 한명희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성공, 미소장
53 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54 오장미경, (2002) 유옥순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성공, 미소장
55 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56 전순옥, (2002) 배옥병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성공회 미소장
57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58 전순옥, (2002) 박태연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성공회 미소장
59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60 전순옥, (2002) 김지선 구술 녹취문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성공회 미소장
61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
62 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