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홉 아이러니의 성격과 진화
|
오원교
|
pp.9-35
|
|
|
|
А. П. Чехов :путешествие на Восток
|
Д. Капустин
|
pp.37-57
|
|
|
|
Страсти по <<Татьяне Репиной>>
|
Геннадий Шалюгин
|
pp.59-76
|
|
|
|
미하일 불가꼬프의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따』에 나타난 '거울' 모티브 연구
|
김도엽
|
pp.77-101
|
|
|
|
텍스트 이론에서 문화 시학으로 :로트만의 '행위 시학' 방법론을 중심으로
|
김수환
|
pp.103-135
|
|
|
|
이반 세르게예비치 쉬멜료프의 작품에 나타난 수도원의 테마 :『오래된 발라암』을 중심으로
|
김영숙
|
pp.137-160
|
|
|
|
실존과 욕망을 통해 본 가즈다노프 창작의 죽음의 테마
|
서상범
|
pp.161-181
|
|
|
|
아나똘리 김의 『해초 따는 사람들』 :물의 기호학
|
심민자
|
pp.183-211
|
|
|
|
푸슈킨의 「석상손님」 다시 읽기 :레포렐로-푸슈킨의 내적 드라마
|
이현우
|
pp.213-246
|
|
|
|
B. 슈끌로프스끼의 '새로운' 소설쓰기 :『동물원, 혹은 사랑이 아닌 것에 대한 편지』
|
이형숙
|
pp.247-277
|
|
|
|
포스트소비에트 산문에 나타난 작가의 초상 :뻬뜨로비치와 따따르스끼
|
조유선
|
pp.279-303
|
|
|
|
파우스트적 세계지각과 반(反)휴머니즘 :알렉산드르 블록의 낭만주의론이 지닌 문화사적 의미에 관하여
|
최종술
|
pp.305-331
|
|
|
|
Русские и Корейские сказки в контексте изучения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ов и культур
|
Быкова О. П
|
pp.333-350
|
|
|
|
고대러시아어의 소위 '선미래시제형' 연구
|
김용화
|
pp.351-376
|
|
|
|
한국의 고교 러시아어교과서 실태와 개선방안 :제6, 7차 교육과정의 러시아어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문석우
|
pp.377-399
|
|
|
|
러시아어 'хоть+명령형' 구문에 대하여
|
박혜옥
|
pp.401-424
|
|
|
|
원인의 의미를 지니는 구문 연구 :단문에서 복문으로의 전환-복문에서 단문으로의 전환
|
이수진
|
pp.425-444
|
|
|
|
Формирование систем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о языковой картине мира при обучении Русскому языку Корейских учащихся
|
Н. В. Баско
|
pp.445-468
|
|
|
|
러시아 연방지구 문화특성연구 :볼가, 우랄, 시베리아, 극동연방지구를 중심으로
|
공영호
|
pp.469-498
|
|
|
|
계몽의 이데올로기 :1830년대 사상논쟁에서 인민주의 이전까지
|
박재만
|
pp.499-5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