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역사민속학과 민간신앙 연구 / 이필영 1

[목차] 1

1. 머리말 2

2. 발표 논문 개요 2

1) 문무병, 1991, 「제주도 민요에 나타난 무가」, 『역사민속학』 창간호 2

2) 신종원, 1992, 「철원 심원사 석대암의 누석대에 대하여: 한국 이형석탑의 한 유형」, 『역사민속학』 2. 3

3) 주채혁, 1992, 「몽골 다리강가 지역의 훈촐로와 제주도의 돌하르방에 대하여」, 『역사민속학』 2. 3

4) 「학술토론회-장승의 현대적 의미」, 1992, 『역사민속학』 2. 3

5) 림학성, 1993, 「조선시대 무설제도와 그 실태」, 『역사민속학』 3. 4

6) 이수자, 1994, 「무신도 삼불제석의 신적 성격과 형성 배경」, 『역사민속학』 4. 4

7) 김균태, 1994, 「화순 능주의 씻김굿 연구」, 『역사민속학』 4. 5

8) 김홍철, 1996, 「한국 민중신앙이 동학농민혁명에 미친 영향」, 『역사민속학』 5. 5

9) 이필영, 1996, 「몽골 �g스굴 지역의 샤머니즘」, 『역사민속학』 5. 5

10) 이필영, 1997, 「(특집: 부여의 생활과 풍습) 부여지역의 민속신앙」, 『역사민속학』 6. 6

11) 오문선, 1997, 「(특집: 부여의 생활과 풍습) 부여지역의 앉은굿」, 『역사민속학』 6. 6

12) 김기덕, 1998, 「(특집: 순창 성황제) 고려시대 성황신에 대한 봉작과 순창의 성황대신사적 현판의 분석」, 『역사민속학』 7. 6

13) 정승모, 1998, 「(특집: 순창 성황제) 조선 중기 전라도 순창군 성황제의의 성격」, 『역사민속학』 7. 7

14) 이해준, 1998, 「(특집: 순창 성황제) 순창 성황제의 변천과 주도세력」, 『역사민속학』 7. 7

15) 송화섭, 1998, 「(특집: 순창 성황제) 순창의 성황신과 성곽설화」, 『역사민속학』 7. 7

16) 이규대, 1998, 「강릉 국사성황제와 향촌사회의 변화-향리층의 미타계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7. 8

17) 박경하, 1998, 「조선후기 유교제의와 토착신앙제의와의 관계-제주도 포제단과 본향당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7. 8

18) 임재해, 1998, 「굿의 시간적 주기성과 현실 인식」, 『역사민속학』 7. 8

19) 박혜령, 1999, 「소야 당신화와 동제의 상관성과 그 의미」, 『역사민속학』 8. 9

20) 이기태, 1999, 「성황사와 지역사회 이념의 통합-조선 중·후기 순창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8. 9

21) 황루시, 1999, 「강릉단오제의 전통성과 지속성」, 『역사민속학』 9. 9

22) 김명자, 1999, 「경기지역의 터주신앙」, 『역사민속학』 9. 10

23) 이욱, 1999, 「17세기 여제의 대상에 관한 연구」, 『역사민속학』 9. 10

24) 김효경, 1999, 「공주 소라실 장승제와 문화정책」, 『역사민속학』 9. 10

25) 최광식, 2000, 「동제의 기원 문제에 대한 일 고찰」, 『역사민속학』 10. 10

26) 민정희, 2000, 「조선 전기 무당의 호칭과 종류」, 『역사민속학』 10. 11

27) 최종성, 2000, 「왕과 무의 기우의례」, 『역사민속학』 10. 11

28) 이경엽, 2000, 「도서지역 당제의 전승환경과 생태학적 적응-완도군 금당도 당제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0. 11

29) 김진순, 2000, 「산메기 현지연구-강원도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0. 12

30) 이필영, 2000, 「(특집: 남창 손진태 탄신 백주년) 민간신앙 연구의 성격과 의의」, 『역사민속학』 11. 12

31) 이필영, 2001, 「민속의 지속과 변동-출산의례 중의 안태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3. 12

32) 신광철, 2001, 「이미지로 재현된 무속과 그리스도교의 마주침-영화 을화와 불의 딸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2. 13

33) 최원석, 2001, 「영남지방의 비보조산에 관한 연구」, 『역사민속학』 12. 13

34) 황경순, 2001, 「읍치 성황제 주재집단의 지속과 변화」, 『역사민속학』 13. 13

35) 이필영, 2002, 「(특집: 민속학 조사 및 서술방법론) 민간신앙 서술방법 시론」, 『역사민속학』 14. 13

36) 임태홍, 2003, 「민간신앙의 측면에서 본 일본 천리교 교조의 신관」, 『역사민속학』 16. 14

37) 이규대, 2003, 「조선 전기 읍치 성황제와 주도세력」, 『역사민속학』 16. 14

38) 김재호, 2004, 「기우제의 제의 맥락과 기우권역」, 『역사민속학』 17. 14

39) 송화섭, 2004, 「장승의 기원과 출현 배경」, 『역사민속학』 17. 14

3. 발표 논문의 주제와 방법 15

1) 마을신앙 15

2) 가정신앙 15

3) 무속 16

4) 역사상의 성황제 및 여러 제의 16

5) 주변 민족의 민간신앙 17

6) 그 밖의 주제 17

4. 연구과제 19

[요약] 21

초록보기



Korean Historical Folklore Research Association has published total 19 collection of papers since the frist one of April 1991. Finally 100th monthly presentation which has been regularly opened is also celebrated.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how the traces of study of Korean Historical Folklore Research has come until now and also to show what the good study is after reviewing papers which are related to the folk-beliefs or religion in this study area.

This article introduces the outlines of each paper year by year and reviews the subject and methodology of them. Then, it also evaluates the result of study and gives the way where to go for bett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神話·祭儀·民衆英雄의 제관계 :民衆英雄 宋徵과 張保皐 辨證 주강현 pp.7-36

보기
한국 祈晴祭 연구 최종성 pp.37-56

보기
高麗時代 寺院佛事와 助力者 全暎俊 pp.57-83

보기
高麗 中·後期 遷都論議와 風水·圖讖說 김기덕 pp.85-116

보기
朝鮮後期 濟州地域 戶籍中草의 實態와 그 性格 金東栓 pp.117-164

보기
일제시대 고등어어업과 일본인 이주어촌 김수희 pp.165-190

보기
朝鮮의 冬至 팥죽과 그 社會性 崔德卿 pp.191-225

보기
남한산성 「매바위설화」의 내력과 외연 이승수 pp.227-252

보기
향촌사회사연구와 역사민속학 이해준 pp.253-271

보기
구전문학 연구와 역사민속학 전신재 pp.273-292

보기
역사민속학과 민간신앙 연구 이필영 pp.293-313

보기
물질 및 생산풍습연구와 역사민속학 주강현 pp.315-343

보기
학제연구와 역사민속학 정승모 pp.345-357

보기
계룡산의 문화사적 의미 윤용혁 pp.359-377

보기
계룡산 설화에 나타난 민중 정서 정희정 pp.379-404

보기
조선 후기 戶籍자료에서 확인되는 巫覡과 廣大·才人들 ,1 林學成 pp.405-41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