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ath at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the human service area, such as nursing science,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Metho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e 38 selected Q-statements from each of 42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 Four types of death attitudes for research subjects in nursing,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areas were identified. Type I is fatalistic admission, Type II is pursuit of existential life, Type III is uncertainty of life after death, and Type IV is separation-connection between life and dea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of death educational program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four types of death attitud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약물 오·남용 예방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약물 오·남용 예방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행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신경림 ;김정선 ;김진영 ;이혜련 pp.763-773

가정간호 환자구성모델을 적용한 자원이용량 비교 분석 유선주 ;장현숙 pp.774-786

비만한 당뇨환자의 체중, 심혈관계 위험요소 및 자기효능감 이해정 ;박경연 pp.787-797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초기 모아상호노출과 모아애착, 모성자존감 및 산후우울간의 관계분석 안영미 ;김미란 pp.798-809

웹기반 건강사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학습효과 오복자 ;김일옥 ;신성례 ;정회경 pp.810-816

초등학생의 비만예방을 위한 운동증진 광고의 유형별 설득효과 안경주 ;최명애 ;김병희 pp.817-828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죽음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조계화 ;이현지 ;이윤주 pp.829-841

분만 직후 어머니의 신생아 접촉이 모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성미혜 ;김미경 pp.842-849

일개 신도시 지역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신수진 ;신경림 ;이혜련 ;주수경 pp.850-857

걷기운동이 비만여중생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김영혜 ;양영옥 pp.858-867

요보호 윤락여성을 위한 성병예방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안양희 ;진기남 pp.868-878

자궁내막증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소영 ;전은미 pp.879-887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분노와 건강상태 박영주 ;박은숙 ;김수정 ;양승숙 ;신현정 ;임혜상 ;문소현 pp.888-895

정신질환자의 자기주장훈련이 대인관계, 사회행동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금선 ;임희수 ;양보겸 ;정혜경 ;서용진 pp.896-903

금연 변화 단계에 따른 변화 과정, 의사결정 균형, 흡연 유혹의 차이 손행미 pp.904-913

한국 간호학문에서의 페미니즘 이명선 pp.914-923

비만형 당뇨환자의 웹기반 당뇨 교육 효과 김희승 pp.924-930

생의 의미 측정도구의 개발 ,2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지 pp.931-942

농촌형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박정숙 ;오윤정 pp.943-954

만성 요·하지통 환자의 생활세계 경험 양진향 pp.955-966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88) Effects toward death attitude for the elders and development death preparation program, 미소장
2 (2001) A study of perceptual change towards death of nursing students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hospice care, 미소장
3 (2003) Services:Its psychological aspects and psychospiritual context, 미소장
4 (1996) Death problem as an issue of modern education, 미소장
5 (1991) A relational study on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values of juveniles, 미소장
6 (1993) Death education coverage in selected health education books and periodicals, 미소장
7 (1986) Relevance & application to nursing research, 미소장
8 (1977) Death experience and death anxiety among nurses and nursing students, 미소장
9 (1964) Man and his symbols, New York 미소장
10 (1974) A viewpoint of death and education of Koreans, Ewha University Press 미소장
11 (2001) Understanding of Death for Koreans and Application for Hospice in Chriatianity, 미소장
12 (1990) Lecture Paper of Dept, Seoul University 미소장
13 (2002) A Q-study on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미소장
14 An Educational-Philosophical Meaning of Death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5 (1994) Revising death education, 미소장
16 (1983) A study on the death awareness among health care personnels Journal of RIMSK, 미소장
17 (2003) The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al component o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미소장
18 (2003)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ELNEC) experience, 미소장
19 (2003) Strategies for teaching loss, 미소장
20 (1980) The effects of a course on death and grief on nurse's attitudes towards dying patients and death, 미소장
21 (2003)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Korea, 미소장
22 (1996) Understanding of Death in Christianity and Korean Shamanism.Unpublished master's thesis, Chimryae University 미소장
23 (1996) Caring for the dying Identification and promotion of physician competency-educational resource and personal narratives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미소장
24 (2002) Face-to face with it medical student's narratives about their end-of-life education, 미소장
25 (1998) An existential study for death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