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 박수미 1
[요약] 1
I. 문제제기 1
II. 선행연구검토와 연구가설 3
1. 선행연구검토 3
2. 연구가설 7
III. 자료와 연구모형 8
1. 자료 8
2. 분석변수와 연구모형 9
IV. 분석 결과 12
1. 자료의 횡단적 설명 12
2. 자료의 종단적 설명 16
V. 맺음말 31
참고문헌 34
〈Abstract〉 37
이 연구는 잦은 경력단절로 특징지워지는 여성취업 가운데,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두 번째 취업 이행 유형에 세대효과가 발견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취업력 자료(job history data)를 대상으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들의 '학력', ‘첫 취업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요소는 여성들의 재취업 이행과 재퇴장 이행 둘 다에 대해서 정(+)적 효과를 지니지 않았다. 반면, 여성들의 생애과정상의 변화들, 예를 들어 ‘결혼’, ‘첫 출산’, ‘6세 미만의 자녀양육기’ 등과 같은 생애사건은 여성들의 재취업률을 유의미하게 낮췄다. 동시에 ‘둘째, 셋째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들은 그 동안 미뤄왔던 재취업을 적극적으로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퇴장에 대한 분석결과에선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퇴장 행위가 ‘연령’의 증가와 생애과정단계의 변화에 따른 시간의존적인 퇴장 행위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저조한 여성들의 취업 상태를 통해서, 여성들이 생애과정의 일정한 단계 혹은 일정한 연령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럽게 일생의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이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한국사회 여성들의 취업유형이 잦은 ‘경력변동’으로 특징지워지기보다는 취업경력상의 ‘저열함’으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야기하는 노동력 수요의 측면과 정책적ㆍ규범적 측면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tern of the Korean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s which determine women's reentry into and re-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성인지적 예산 도입을 위한 시론적 연구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 예산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 김경희 | pp.5-41 |
|
보기 |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 박수미 | pp.43-80 |
|
보기 |
대기업 노동조합에서 비정규 여성노동자의 배제양상 | 강현아 | pp.81-111 |
|
보기 |
여성의 취업과 용모차별 :기업의 용모차별적 모집 추세와 특성의 변화 | 임인숙 | pp.113-144 |
|
보기 |
교직여성화에 따른 초등학교경영활동의 변화와 과제 | 김경화 | pp.145-180 |
|
보기 |
군가산점제 논쟁과 젠더 정치 :가능성 접근법의 관점에서 | 조주현 | pp.181-208 |
|
보기 |
성폭력범죄의 친고죄적용에 대한 검토 | 유숙영 | pp.209-23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2. 《한국의 인구》통계청. | 미소장 |
2 | 『여성취업 인력의 동태적인 변화분석』,한국여성개발원,1999. | 미소장 |
3 | 여성노동시장이론 : 여성의 가사노동과 시장노동의 변증법 | 소장 |
4 |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 소장 |
5 | 여성 노동력의 노동시장 전이과정의 동태적 분석 ![]() |
미소장 |
6 |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소장 |
7 | (2001). 고학력 여성 경제활동의 국제 비교.『여성과 직업』, 부산대 여성연구소. | 미소장 |
8 | 한국여성개발원(1999),『1998여성통계연보』,’98 연구보고서 230-2쪽. | 미소장 |
9 |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 소장 |
10 | 1995. Survival analysis using SAS: A practical guide. Cary, North Carolina: SAS Press. | 미소장 |
11 |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Ha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2 | Why Participation Rates of Black and White Wives Differ ![]() |
미소장 |
13 | Unmarried Motherhood: Recent Trends, Composition, and Black--White Differ ences ![]() |
미소장 |
14 | Revolving Doors Reexamined: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over the Life Course ![]() |
미소장 |
15 | (1996),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ty Surrounding FirstChildbirth of Married Women" (Dissertation), Univ. of Wisconsin | 미소장 |
16 | Work History, Labor Force Attachment, and Earnings Differences between the Races and Sexes ![]() |
미소장 |
17 | Dynamics of Women's Employment Patterns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 |
미소장 |
18 | (2001), The Influence ofQualifications on Women's Work Histories, Employment Status andEarnings at Age 33,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 17. no.2:Oxford University Press, pp. 145-168 | 미소장 |
19 | The Failure of Human Capital Theory to Expla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 |
미소장 |
20 | After the Starting Line: Blacks and Women in an Uphill Race ![]() |
미소장 |
21 | Preference or Necessity? Changing Work Roles of Black and White Women, 1973-1990 ![]() |
미소장 |
22 | (1993), "Characterizing Leave for Maternity: Modeling the NLSYData", RAND Labor and Population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pp.93-34. | 미소장 |
23 | (1985).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Women's Labor Force Activity, in life Course Dynamics: Trajectories and Transitions, 1968-1980 (ed.). By Elder, G. Itach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LABOR-FORCE REENTRY AMONG U.S. HOMEMAKERS IN MIDLIFE: ![]() |
미소장 |
25 | Labor Supply Behavior of Prospective and New Mothers ![]() |
미소장 |
26 | 1991. Event History Analysi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