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대 사회는 가치관의 혼돈 시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의 원인을 급격한 사회변동을 포함한 제 요소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명료하지 못한 가치교육체계에도 이유가 있다고 본다. 현대 한국사회의 가치교육은 전통과 단절된 채 사회의 기본 가치의 내재화를 도외시하고 선택만을 강조하고 있다. 그 사회의 태동 원인이 된 전통과 단절되고 사회의 기본가치가 무시된 상황에서 사회구성원의 가치판단은 상황논리와 각자의 이해관계와 감정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이것을 자유로운 선택이라고 한다면 무책임한 소치라고 본다. 따라서 가치교육을 내용주의와 형식주의로 분류하고 가치내재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가치화의 과정으로 정리하였다. 가치화의 과정은 먼저 가치수용, 가치이해, 그리고 기본 가치의 습득과 자발적 행동을 의미하는 1차 가치 내재화, 가치의 정당화, 가치의 선택, 그리고 보편적 원리의 체득과 주체적 자아에 의해 행동하는 2차 가치 내재화단계로 6개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단계는 계열화되어 있으므로 단계에 맞는 가치교육의 방법을 계열화하였다. 즉 가치주입으로 가치수용을, 가치형성으로 가치이해를, 이를 바탕으로 1차 가치내재화를 이루고, 가치분석으로 가치정당화를, 가치명료화로 가치선택을 함으로써 2차 가치 내재화에 도달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가치분석이나 가치명료화는 반드시 기본가치가 내재화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본 가치의 습득 없이 막연한 선택은 혼란 초래한다고 본다. 이러한 가치화과정과 가치교육을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와 피아제의 논리단계와 관련시킬 수 있다<표 1참조>. 결론적으로 가치교육은 가치화의 과정속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그 목적인 1차, 2차 가치내재화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Modern Society is in the disorder of values. The cause of it is analyzed into several factors, such as rapid social change etc. But I think value education also is responsible for it. Because value education has not been done systematically, it has not contributed to solving the chaos of values. In fact, Original cause of disorder of values has resulted from discontinuity of traditional values, neglect of social basic value. I think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process of valuing. The goal of value education is value internalization and the process to it consists of value receiving, value interpretation, primary value internalization(getting social basic value and autonomic action), value justifying, value selection, secondary value internalization(realizing universal principle and acting by subjective ego). According to this process, value education can have sequence such as indoctrination for value receiving, value building for value interpretation, value analysis for value justifying, value clarification for value selection. The process of valuing and systematic value education have relevant to 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 and Piaget's stages of logic. When value education can be run in the process of valuing, it has significance and can arrive at the goal of it. It must be remembered that internalize social basic value is important prior to value selec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과 창의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김보경 pp.1-18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김영석 pp.19-36

다문화교육의 관점이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함의 박남수 pp.37-54

법리적 접근에 기초한 사회과 쟁점 토론의 평가 준거 이대성 pp.55-78

제7차 사회과 수업에 요구되는 교사자질 형성의 제약 요인 이종일 pp.79-103

지구사회적 관점(global perspectives)에서의 제 7차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W. M. Kniep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이향아 pp.105-132

비판적 사고에 관한 두 가지 접근 :사회과교육의 목적 정립을 위한 시론 정길용 pp.133-157

학교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한계 정현승 pp.159-180
학교 '법과 사회' 과목 내용 구성 방안 조우영 pp.181-204

역사과 교육과정 60년의 변천과 진로 최상훈 pp.205-236

가치화의 과정과 가치교육의 문제 추정훈 pp.237-261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협동학습 전략 한관종 pp.263-291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범위와 계열에 관한 연구 :미국 NCSS를 중심으로 한춘희 pp.293-312

초등교사의 사회과 경제 수업 이미지에 대한 사례연구 홍미화 pp.313-335

5·31교육개혁 이후 대학서열화 연구들에 관한 내용 분석 황갑진 pp.337-356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 풍토에 대한 연구 :Newmann의 교실사려도(classroom thoughtfulness)를 중심으로 김민정 ;김종훈 pp.357-373

협력적 사회과 수업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실행 연구 :교생의 반성적 수업실천을 사례로 남호엽 ;곽신권 pp.375-404

사회과 사회적 역할중심 경제윤리 교육과 교수·학습의 실제 최병모 ;박형준 ;전희옥 pp.405-436

학교경제교육내용 표준안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지식영역을 중심으로 최병모 ;김정호 ;조병철 ;임화자 pp.437-462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도덕교육연구회, (1987) 도덕과 교육, 형설출판사 미소장
2 문용린, (1988) 도덕과 교육, 갑을출판사 미소장
3 서유헌, (2001) 천재아이를 원한다면 따뜻한 부모가 되라 , 문학과 의식 미소장
4 장찬익, (1968) 칸트의 교육사상, 미소장
5 정태위 역, (1986) 삐아제의 인지 발달론, 미소장
6 추정훈, (1988) Durkheim의 교육론적 시각에서 본 사회과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미소장
7 추정훈, (1993) 공동체형성 논리에서 본 사회통합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미소장
8 추정훈, (1998) 가치교육의 단계적 접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미소장
9 한면희 외, (1994) 社會科敎育論, 갑을출판사 미소장
10 Banks, (1977)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미소장
11 Barr, (1978)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미소장
12 Barry, (1985) Contemporary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13 George Simpson New York, (1933)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Macmillan 미소장
14 Everett K, (1973) a study i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Macmillan 미소장
15 Jack R, (1986) How to Teach About Values 송용의 역 가치탐구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과학사 미소장
16 Kirschenbaum, (1973) Readings in Values Clarification, Winston Press 미소장
17 Kirschenbaum, (1976) It Comes with the Territory, 미소장
18 (1966) Moral Education in Schools, 미소장
19 김민남, (19842001) The Psychology of Moral Development 도덕발달의 심리학, 교육과학사 미소장
20 Bloom, (196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미소장
21 Simon, (1972) A Handbook of Practical Strategies for Teachers and Students, 미소장
22 Walker, (1980) Cognitive and Perspective-Taking Prerequisites for Moral Developmen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