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 적: 슬관절 전치환술로 인한 수술 후 출혈을 줄이기 위하여 수술 중 Norepinephrine이 희석된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경우 출혈량의 감소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11월까지 한 술자에 의하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30명, 3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Norepinephrine이 1:200,000으로 희석된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실험군 15예와 생리식 염수만으로 세척한 대조군 15예를 교대로 분류하였다. 수술 후 배액량 및 수혈량을 두 집단간에 독립 t-검정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수술 후 6시간까지 초기 출혈량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실험군 410.3 cc, 대조군 517.3 cc, pvalue=0.03), 수술 후 6시간 이후부터 48시간까지의 지연 출혈량(실험군 163.8 cc, 대조군 244.7 cc, p-value=0.05)과 수
혈량(실험군 0.80 unit, 대조군 1.47 unit, p-value=0.07)은 실험군에서 평균적으로 적었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시에 희석된 Norepinephrine 생리식염수로 세척하는 것은 수술 후 초기 출혈량을 줄일 수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studied the effect of norepinephrine irrigation during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on blood loss re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study of 30 patients who received TKRA from the same surgeon between March 2003 and November 2003, was done. Patients were alternately allocated into two groups. The study group included 15 cases in which 1:200,000 diluted norepinephrine was used for irrigation intra-operatively, whereas the control group included 15 cases received normal saline irrigation.
Postoperative drain and transfusion amou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Early bleeding amounts for 6 hours after surgery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tudy group 410.3 cc, control group 517.3 cc, p-value=0.03). However, delayed bleeding amounts
during postoperative 6-48 hours (study group 163.8 cc, control group 244.7 cc, p-value=0.05) and transfusion amounts (study group 0.80 unit, control group 1.47 unit, p-value=0.07) were smaller in the study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Using norepinephrine diluted in normal saline as an irrigation solution during TKRA can be considered for reducing early post operative bleeding.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젊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에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 김신윤 ;김용구 ;여준영 ;김도헌 ;인주철 | pp.233-238 |
|
|
대퇴골두 골괴사에서 비구 연골의 변성 | 이수호 ;권기대 ;이상원 ;조수현 ;안형선 | pp.239-246 |
|
|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norepinephrine세척 효과 | 조우신 ;김정민 ;안형선 ;이범식 | pp.247-251 |
|
|
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 실패 분석 | 김희선 ;민학진 ;윤의성 ;서재성 ;김윤종 ;임병호 | pp.252-257 |
|
|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내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 박민종 ;하성한 | pp.258-264 |
|
|
원위요골 골절과 동반된 주상 월상 해리 | 김병성 ;안재훈 ;최원식 ;김하용 ;박재국 | pp.265-270 |
|
|
중위지골 기저부 배측연 골절의 수술적 치료 | 강호정 ;문홍교 ;성승용 ;한수봉 | pp.271-277 |
|
|
장 장근을 포함한 유리 동맥화 정맥 피판을 이용한 수부 배측 연부 조직 및 신전건 결손의 동시 재건 | 김주성 ;우상현 ;윤준오 ;김진삼 ;정문상 ;백구현 ;김용래 | pp.278-284 |
|
|
환축추간 경관절 고정 시 후방 나사못 삽입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 | 정성수 ;이종서 ;정광훈 ;이종열 ;오일빈 | pp.285-289 |
|
|
Legg-Calve-Perthes병에 있어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대퇴골두와 비구와의 형태학적 연구 | 김휘택 ;손교민 ;이동호 ;유총일 | pp.290-297 |
|
|
경직성 편마비에서 염전 변형에 따른 보행 양상 :예비 보고 | 정진엽 ;박문석 ;최인호 ;조태준 ;유원준 | pp.298-305 |
|
|
백서의 경비골 신경을 이용한 신경 단측 봉합술에서 축색재생에 관한 연구 | 이광석 ;서정대 ;백종륜 ;이상원 | pp.306-314 |
|
|
제대혈에서 추출한 CD34^-^ 세포의 다분화능 | 김수향 ;양익환 ;김현옥 ;이진우 | pp.315-322 |
|
|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의 분석 | 김신윤 ;정호성 ;박일형 ;박병철 ;박의균 ;김기수 ;하용찬 | pp.323-328 |
|
|
활막육종의 장기적 생존율 및 치료방침 | 송원석 ;전대근 ;박종훈 ;조완형 ;이수용 ;오정문 ;김진욱 | pp.329-334 |
|
|
액와부의 동면선종 :자기공명영상적 특징 | 이동주 ;박인서 ;김명구 ;조규정 ;문경호 ;임광열 | pp.335-338 |
|
|
양측으로 대퇴골두 골절을 동반한 외상성 양측 고관절 전후방 탈구 :1예 보고 | 문경호 ;이동주 ;박영하 | pp.339-342 |
|
|
대퇴 직근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 :증례 보고 | 서영진 ;장준동 ;장성근 ;이경규 | pp.343-346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