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문화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 현대 문화학의 발생과 전망 / 원승룡 1

【요약문】 1

1. 서론: 문화학과 인문학 1

2. 현대 문화학의 형성 4

2.1. 현대 문화학의 선구적 작업들 4

2.2. 영어권의 문화학(Cultural Studies) 12

2.3. 독일어권의 문화학(Kulturwissenschaft) 19

3. 결론: 초과학적 프로그램으로서의 문화학 26

참고문헌 28

Abstract 29

초록보기

본 논문은 20세기 중엽쯤 논의되기 시작한 현대적 형태의 문화학의 발생과정과 앞으로의 전망을 그리고 있다. 문화학은 19세기 말부터 급변한 사회문화적 변동의 학문적 대응이었다. 고전적 형태의 인문학으로는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현실을 담아낼 수도 대처할 수도 없다는 인식 아래 각 개별 인문사회과학이 자신의 경계를 넘어 상호협력함으로써 날로 새로워지는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기술평가할 수 있는 종합학문으로 모색된 것이 문화학이다. 영어권에서는 ‘문화연구’가, 독일어권에서는 ‘문화학’이 하나의 대안으로 등장하여 오늘날까지도 현재진행형인 학문이 문화학이다. 문화학은 자체적으로 또 하나의 인문과학이 아니라 각 개별 인문과학들을 네트워킹하여 사회문화적 현상을 종합적으로 보려는 시도이며 이를 사회적 실천에 반영하려는 실천적 성향의 학문이다. 이의 성공가능성은 아직 미지수이나 문화학은 개별화전문화한 인문학의 상황을 반성하고 현실의 문화적 삶의 영역을 다시 획득하려는 하나의 시도로 존재의미를 가진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emergence and vision of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the main frame of which has been emerged around the mid-20th century. Cultural studies was an academical response to the enormous socio-cultural change in the 20th century. Under the awakening that existing classical human studies could no longer handle the complexity and the diversity of social problems successfully, it has tried to establish a unified science in a transdisciplinary way, which networks distinct human/social sciences and understands cultural realities in a submerging perspective. In english speaking world, "Cultural Studies" was proposed as a transdisciplinary study in the 60s, while in German speaking region in the 80s. under the name of "Kulturwissenschaft". It is yet to be determined how successful cultural studies might be. However, it should still be a meaningful attempt to unify the specialized, fragmented disciplines into a submerging whole, which may offer a richer account of actual human life as a cultural anima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험으로서의 가치 노양진 pp.5-28

보기
비극적 인식과 인륜성 임홍빈 pp.29-48

보기
대타 존재(1' être pour autre)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philia) 김요한 pp.49-78

보기
문화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현대 문화학의 발생과 전망 원승룡 pp.79-107

보기
孟子-告子의 인성론 논쟁에 대한 재고찰 임헌규 pp.109-131

보기
윤리 공동체의 범위와 육식의 윤리성 김학택 pp.133-155

보기
하이데거의 존재지평과 발현사건으로서의 존재 박유정 pp.157-178

보기
생명과학은 물리과학으로 환원되는가? 고인석 pp.179-202

보기
개연적 판단 :논증과 추론 이상하 pp.203-233

보기
막스 쉘러의 몸과 메를로-퐁티의 몸과 살 김종헌 pp.235-259

보기
Plotinos의 Enneades에 나타난 정신(nous)에 관한 연구 :정신과 정신적인 것과의 동일성을 중심으로 김태규 pp.261-290

보기
책임개념에 대한 실천윤리적 해명 김양현 ;노영란 ;변순용 ;임채광 pp.291-328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브랜틀링거, P. , (1990) 영미문화연구, 문화과학사 미소장
2 이상엽, (2001) 문화인문학-인문학의 문화학적 기획(인문학과 해석학), 한국해석학회 미소장
3 Benthien C, (2002) Germanistik als Kulturwissenschaft, Rowohlt Taschenbuch Verlag 미소장
4 Böhme, H, (2002) Kulturwissenschaft, 제2판, Rowohlt Taschenbuch Verlag 미소장
5 Cassirer, E, (1961) Zur Logik der Kulturwissenschaften, Erste Studie, Darmstadt 미소장
6 Fauser, M, (2003) Einführung in die Kulturwissenschaf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미소장
7 Frühwald, W, (1991) Geisteswissenschaften heute, Suhrkamp, Frankfurt 미소장
8 Geertz, C,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Basic Books. Inc 미소장
9 Grossberg, L, (1992) Cultural Studies, Routledge 미소장
10 The Emergence of Cultural Studies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네이버 미소장
11 Konersmann, R, (1996) Aspekte der Kulturphilosophie(in Kulturphilosophie), Reclam 미소장
12 Simmel, G, (1996) Der Begriff und die Tragödie der Kultur(in Kulturphilosophie), 미소장
13 Weber, M, (1968) Die ‘Objektivität’ sozialwissenschaftlicher und sozialpolitischer Erkenntnis(in Gesammelte Aufsätze zur Wissenschaftlehre), Tübingen 미소장
14 Williams, R, (1958) Culture and Society 1780-1950 , 미소장
15 (1961) The Long Revolution, Broadview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