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교수 교육업적 평가제도:한ㆍ미 2개 사례 대학 비교/김흥회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평가 체제 4

2. 평가 방법론 6

3. 평가 결과의 활용 14

III. 연구 방법 15

IV. 한ㆍ미 사례대학의 교육업적 평가제도 비교 16

1. 평가 체제 16

2. 평가 방법론 17

3. 평가 결과 활용 20

V. 정책적 시사점과 결론 22

참고문헌 28

〈Abstract〉 31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미 2개 사례 대학의 교육업적 평가 제도를 비교하여 한-미 대학의 교육 업적 평가 제도를 알아보고 교육업적평가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주목적이 있다. 그동안 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시되어온 강의 또는 교육에 대한 정당한 관심의 회복 또한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이다. 평가의 거버넌스, 평가 방법론,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론적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이 세 가지 분석 틀을 가지고 한-미 2개 사례 대학의 교육업적 평가 제도를 비교하였다. 한국 D 대학의 형식적 분권, 중앙집권, 평가자의 다양성 부족, 비전문가의 활용은 미국 C 대학의 실질적 분권과 자율성, 평가자의 다양성, 전문가 중심의 평가와 대비되었다. 2개의 한-미 사례 대학 모두에 있어서 교육이 평가에 있어서 정당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었지만 분권과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확보된 미국대학에 있어서 편차, 다양성, 실험의 자율성이 존재하고 있었다. 평가에 대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한국의 사례 대학보다는 미국의 사례 대학에서 더 일반적이었다. 평가 방법론에서는 한국의 사례대학은 단순하고, 형식적이고 계량적인 기준이나 방법을 사용한 반면, 미국의 사례대학은 보다 풍부하고 열려진 질적 그리고 양적 자료를 활용하였다. 평가 결과의 활용은 미국 사례 대학의 일부 단과대에서는 진보적인 노력이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한-미 사례 대학 모두에서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중 초기서원 교육 비교 정낙찬 ;김홍화 pp.1-28

보기
미주 한인의 민족교육관 연구 김경근 pp.29-55

보기
미국 초·중등교육개혁법 고찰 :'No Child Left Behind Act'를 중심으로 염철현 pp.57-78

보기
한국과 일본의 대학평가체제 비교 고찰 한용진 ;정일환 pp.79-108

보기
교수 교육업적 평가제도 :한·미 2개 사례 대학 비교 김흥회 pp.109-139

보기
호주, 뉴질랜드와 미국의 교원 자격 기준 동향 비교 연구 강대구 ;박선형 pp.141-175

보기
교사평가의 쟁점 :평가주체 논쟁에 관한 외국 사례의 시사점 이차영 ;박찬주 pp.177-197

보기
미국의 성인교육 동향과 시사점 :개념과 성격을 중심으로 주동범 pp.199-217

보기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국제적 보급이 한국 평생교육에 미치는 영향 이영호 pp.219-247

보기
독일대학교의 노인교육모델에 대한 고찰 :독일 사례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응희 pp.249-266

보기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9-2004) 한국교육개발원 각 연도 교육통계연보,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2 (1996) 교수업적 평가제의 분석적 접근, 미소장
3 (2004,7/8월) 대학원 교육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미소장
4 (1994) 미국대학의 교수업적평가제도 경영실태 분석, 미소장
5 (2002) 전략적 교수업적평가제도 구축사례, 2002 Nuri Media Co, Ltd 미소장
6 (1999,11/12월) 대학 평가의 문제 연구와 교육, 대학 교육 미소장
7 (2001,3/4월호) 대학변화와 교수업적 평가, 대학교육 미소장
8 (1995) 교수평가제의 주요쟁점에 대한 분석적 접근, 미소장
9 (2004,1/2) 한국의 대학 경쟁력 강화방안, 미소장
10 (1995) 교수업적평가-고려대의 경우를 중심으로 , 미소장
11 (2002) 교수업적평가제와연봉제의 현황과 과제, 미소장
12 (2003) What makes a teacher great,, 미소장
13 (1991) Restoring the pillars of higher education, 미소장
14 (1989) Center for Faculty Evaluation & Development, Kansas State University 미소장
15 (2002) Integration: Evaluating faculty work as whole, 미소장
16 (1997) Cornell Center for Learning and Teaching, 미소장
17 (1994) Business faculty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new AACSB accreditation standard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미소장
18 (2002,Summer) The ultimate faculty evaluation: Promotion and tenure decisions,, 미소장
19 (2003)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미소장
20 Promoting Excellent Teaching is Harder Than You'D Think 네이버 미소장
21 (1993) Some thoughts about standardized teaching evaluations Perspective on Political Science, 미소장
22 (2002) Faculty evalu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areers , 미소장
23 (2001) Broadening our approach to teaching evaluation , 미소장
24 (2002) Teaching excellence, teaching expertise, and the scholarship of teaching, , 미소장
25 (1977-1978) Faculty evaluation in schools of businesses The impact of AACSB accreditation on promotion and tenure decisions, 미소장
26 (1990) The Status of tenured faculty evaluation in the community college, 미소장
27 (2001) An attempt to evaluate teaching quality: One department's story, 미소장
28 (1993) Dimensions of quality teaching in higher institutions, 미소장
29 (1991) Changes in evaluating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Theory into practice, 미소장
30 (2000) Teaching evalu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미소장
31 (2002) Evaluating teaching performance, 미소장
32 (1995) Faculty evaluation in community colleges, 미소장
33 (1984) Changing practices in faculty evaluation, Jossey- Bass Publishers 미소장
34 (1997) Teaching evaluation at a public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Factors related to the overall teaching effectiveness, 미소장
35 (1987) An empirical study of faculty evaluation system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미소장
36 (1986) Perceptions about current and ideal methods and purposes of faculty evaluation, 미소장
37 (1993) Perspectives on Political Science, 미소장
38 (2001) A multiple approach to faculty evalu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