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논문요약=7,7,1
I. 서론: 동양의 '말'과 정치=7,7,4
II. 조선 사림의 공론정치론: 천리와 공론=10,10,3
III. 동서 '붕당정치'의 시작과 공론정치의 위기=12,12,4
IV. 주자학과 정치의 불화: '사적 윤리'의 정치화에 대한 이이의 비판=15,15,4
V. 사림의 자기부정과 그 대안: 〈군자-소인〉론에서 〈군자-군자〉론으로=18,18,4
VI. 사림의 공론정치론의 붕괴: 〈군자-군자〉론에서 〈소인-소인〉론으로=21,21,2
VII. 결론: 조선 공론정치의 난점 - 정신주의, 유아론, 혁명주의=23,23,3
참고문헌=26,26,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조선 공론정치의 이상과 현실 ,1 :당쟁발생기 율곡 이이의 공론정치론을 중심으로 | 김영수 | pp.7-27 |
|
보기 |
조선 시대 사대부의 여성관 :'제망실문(祭亡室文)'을 중심으로 | 유미림 | pp.29-49 |
|
보기 |
정치사상적으로 검토해보는 한국비교정치론 | 김병욱 | pp.51-73 |
|
보기 |
나카에 쵸민(中江兆民)의 평화이념 :민주제·연방제·군비철폐론 | 박홍규 | pp.75-90 |
|
보기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목적론에 대한 재고찰 | 김용찬 | pp.91-110 |
|
보기 |
행복(eudaimonia)의 정치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정치학』에 나타난 철학적 삶과 정치적 삶의 의미 | 박성우 | pp.111-131 |
|
보기 |
루소에 나타난 애국심과 시민의식 :민주주의를 위한 공적의지의 두 가지 조건 | 박의경 | pp.133-151 |
|
보기 |
한국의 산업화 시기 노사관계와 복지체제의 성격 :생산레짐론적 시각에서의 재조명 | 문병주 | pp.153-177 |
|
보기 |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의 가능성과 한계 :김대중 정부의 사회복지개혁 | 선학태 | pp.179-198 |
|
보기 |
E-governance 구축의 전략적 모색 :정책결정과정의 관점에서 | 김용철 ;윤성이 | pp.199-214 |
|
보기 |
기억의 정치학 :야스쿠니 vs. 히로시마 | 김상준 | pp.215-236 |
|
보기 |
평화통합전략으로서의 햇볕정책 | 김학노 | pp.237-261 |
|
보기 |
초국가적 행위자의 사이버공격과 핵공격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안보질서의 안정성을 중심으로 | 장노순 | pp.263-281 |
|
보기 |
일본 원조외교의 역할과 한계 분석 :캄보디아 문제(1977-1984)를 둘러싼 국제정치 역학과 일본 | 박홍영 | pp.283-302 |
|
보기 |
북한 지방국가기관의 구조와 운영실태 :중앙권력의 이중통제 지속과 아래로부터의 변화 | 박영자 | pp.303-323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장과 변법의 정치사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편 백산서당 | 미소장 |
2 | (1995) 조선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 미소장 |
3 | (1993) 16세기 전반 정치권력의 변동과 유생층의 공론형성, | 미소장 |
4 | (2004) 공론화를 위한 정치평론의 두 전략 비판전략과 매개전략, | 미소장 |
5 | (2005) 공론화와 정치평론 닫힌 사회에서 광장으로, | 미소장 |
6 | (2003) 축복과 저주의 정치사상 20세기와 한나 아렌트, | 미소장 |
7 | (2002) 한나 아렌트 정치판단 이론: 우리 시대의 소통과 정치윤리, 푸른숲 | 미소장 |
8 | (2002) 조선왕조 초기 공론과 공론형성과정 연구: 간쟁, 공론, 공론수렴제도의 개념과 종류, 특성, | 미소장 |
9 | (1996) 한국민주주의의 기원과 공공영역의 전개 : 유교적 공론정치 모델, | 미소장 |
10 | 성찰과 전망, 한국정치학회 | 미소장 |
11 | (1998) 한국정치와 공론성(1) 유교적 공론정치와 공공영역, | 미소장 |
12 | (2005)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새로운 지평,정치사상의 전통과 새 지평, | 미소장 |
13 | (1993) 선조 초기의 정국과 사림-이이의 경연일기를 중심으로, 인하역사학회 | 미소장 |
14 | (2004a) 세종의 세제개혁과정에 나타난 혁신리더십 ,선조에게서 배우는 혁신리더십, | 미소장 |
15 | (2004b) 조선왕조의 장기지속성 요인 연구: 공론정치를 중심으로, | 미소장 |
16 | (2005) 코리아 다시 생존의 기로에 서다, | 미소장 |
17 | (1995) 율곡사상의 정치학적 해석 , | 미소장 |
18 | (1996) 율곡의 군자관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 미소장 |
19 | (1986) 인조대 정치세력의 동향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 미소장 |
20 | (2004)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 | 미소장 |
21 | (2004) 동서양 사상에 있어서 정치적 정당성의 비교 , 한국정치사상학회 | 미소장 |
22 | (2002) 한국 및 동양의 공사관과 근대적 변용 , 한국정치사상학회 | 미소장 |
23 | (2005) 동양에서‘공적 합리성’의 특성과 근대적 변용 성리학적 공론관을 통해 본‘진리의 정치’와‘관용의 정치’ , | 미소장 |
24 | (1986) 당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 미소장 |
25 | (2002) 사림정치기의 공론정치 전통과 현대적 함의, | 미소장 |
26 | (2005) 율곡의 군주론, | 미소장 |
27 | Oriental Mode of Communication Yool-Gok's Thought of Communication | 소장 |
28 | (1989) 조선초기 언관?언론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9 | (1994) 조선중기의 사림정치 구조연구, | 미소장 |
30 | (1986) 조선조 공론권의 구조변동에 관한 시론, 연세대학교 | 미소장 |
31 | (1970) 소차제도와 조선조의 사림정치-율곡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율곡의 사상, | 미소장 |
32 |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 미소장 |
33 | (1996) 인간의 조건, | 미소장 |
34 | (1968) the politics of the vortex,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