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율곡의 회통사상 / 김승영 1

[목차] 1

〈논문 요약〉 2

I. 들어가는 말 3

II. 회통사상 형성의 연원적 고찰 5

1. 『주역』의 회통사상 5

2. 『중용』의 회통사상 8

III. 율곡 철학의 기본체계 10

1. 리기지묘론 10

2. 기발리승론 14

IV. 율곡 '리통기국론'에 나나탄 회통사상 17

V. 율곡의 유·불의 회통사상 22

VI. 율곡의 유·도의 회통사상 26

VII. 나오는 말 30

〈참고 문헌〉 31

Abstract 34

초록보기

율곡 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틀이자 율곡사상 전반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이론적 바탕이 바로 ‘理氣之妙’라고 할 수 있다. 율곡은 ‘리기지묘’라는 독창적인 사유체계로 세계와 인간 존재에 대해 해명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리기지묘’는 리와 기의 상함적 관계이며, 유기적 관계이다. 또한 體와 用의 일원적 관계이며, 자연과 인간을 합일시키며, 본연성과 기질성의 상보적 함수를 하나로 회통하는 논리와 사유가 율곡의 ‘리통기국 속에 함축해 있는 것이다. 퇴계가 도덕적 인간으로서의 ‘리발’을 주장했다면, 율곡은 기와 리에 있어서 ‘발’과 ‘승’이라는 조화균형을 통해 리기가 서로 회통함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리가 발하고, 기가 발해서 혼동되고, 일그러진 관계가 아니라, 기의 동정을 통해서 리와 묘합되어 현실세계에 나타난다는 것이다.율곡의 성학집요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마음의 관한 비유들은 율곡의 ‘리기지묘’의 철학적 사유가 전반에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맥의 정황으로, 혹은 행간의 의미를 분석할 때, 불교의 사상과 내면적으로 교감하고 회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율곡이 순언 에서 ‘無爲而無不爲’를 핵심 패턴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핵심 패턴은 율곡철학 전반에 흐르고 있는 ‘리기지묘’의 또 다른 표현양식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무위’ 이면서 ‘무불위’이다. 마치 성리학의 연원이 되는 ‘無極而太極’이라는 논리구조로 율곡은 그대로 도가의 핵심사상을 간파한 것이다. 이것은 유가와 도가를 연결하는 고리인 동시에 회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Study on Yulgok's philosophy of Hoytong / Kim Seung Young

권호기사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길환, (2002) 율곡의 노자관(율곡 이이), 예문서원 미소장
2 김낙필, (1996) 栗谷 李珥의 醇言에 나타난 儒⋅道 交涉, 圓佛敎思想 미소장
3 김종문, (2002) 율곡의 이기철학 체계에 대한 연구(율곡 이이), 예문서원 미소장
4 송석구, (2002) 율곡 사상의 불교적 계기고(율곡 이이) , 예문서원 미소장
5 신동호, (1981) 老子思想의 存在論的 檢討, 論文集 미소장
6 Chinese Philosophy : A Study on the Joong Hwa of Golden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view of valuation 소장
7 이동준, (1975) 16세기 한국 성리학파의 역사 의식에 관한 연구, 미소장
8 이동준, (1999) 율곡철학의 개명적 정신(율곡철학과 현대사회) , 수덕문화사 미소장
9 Korean Philosophy : Yulgok`s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has connotated the characteristic of ju-ki and vice versa 소장
10 이종성, (2005) 기호학파의 개방적 진리관과 유도회통론, 儒學硏究 미소장
11 이평래, (2001) 元曉聖師의 一心思想, 元曉學硏究 미소장
12 최영진, (1989) 易學思想의 哲學的 探究, 미소장
13 최영진, (1993) 율곡사상의 구조적 이해, 계간 사상 미소장
14 최영진, (1985) 栗谷 理氣論에 있어 依樣과 自得, 東西哲學硏究 미소장
15 中道思想과 中庸思想의 세계관과 인식방법에 대한 고찰 네이버 미소장
16 최일범, (1991) 儒敎의 中庸思想과 佛敎의 中道思想에 관한 硏究, 미소장
17 栗谷의 理氣說에 關한 考察 네이버 미소장
18 황의동, (2002) 율곡의 리기론-리기지묘를 중심으로(율곡이이), 예문서원 미소장
19 林月惠, (2002) 中韓儒學的 ‘情’(亞文化團的形成與發展), 미소장
20 張敏, (2005) 栗谷學與朱子學的理氣論, 율곡학회국제학술대회 미소장
21 김하태, (1988) 東西哲學의 만남, 종로서적 미소장
22 류승국, (1983) 東洋哲學硏究, 槿域書齋 미소장
23 이병도, (1973) 율곡의 생애와 사상, 서문당 미소장
24 한형조, (2000)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미소장
25 황의동, (1999)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 예문서원 미소장
26 황의동,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1, 서광사 미소장
27 牟宗三, (1995) 中西哲學之會通十四講, 臺灣學生書局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