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Conception of YangQi and YinQi at the Discourse on theSoyangin and Soeumin Disease in『Dongyi Suse Bowon』
Han Kyung-Suk, Park Seong-Sik
Dept. of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ene, Dongguk Univ.
1. Objectives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ion on YangQi and YinQi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pecially that were focused on the discourse of the symptoms and diseases.
2. Methods
We analysis YangQi and YinQi in Gabobon(甲午本) and Sinchukbon(辛丑本) of『Dongyi Suse Bowon』
3.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ymptomatic-pharmacology of Soeunin and Soyangin was base on the master of reserving life(保命之主). YangQi is ascending Qi and YinQi is descending Qi. That conception is Qi of the large and small organ. And that is appeared hot or cold Qi in body. The influential competition of YinYang is focused on primordial Qi(正氣) of small organ in Gabobon. And focused on small organ's the primordial Qi of the exterior disease and large that of the interior disease in Sinchukbon. YangQi is divided to physiological that and patholgical that at the discourse on the Soyangin's interior disease in the Sinchukbon. Because YinQi is in proportion to physiological YangQi and inverse proportion to pathological YangQi, physiological that is similar to weak and strong of YinQi that is the master of reserving life. So ascending Yang of Soyangin is more correct as ascending physiological that. YinQi is not divided to physiologica that and patholgical that at the discourse on the Soeumin's interior disease in the Sinchukbon like Soyangin's that. But there is more reasonable that divid physiological YinQi and patholgical that. So descending Yin of Soeumin is more correct as descending physiological that.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東武 李濟馬의 太極心에 대한 考察 | 강태곤 ;朴性植 | pp.1-10 |
|
|
『東醫壽世保元』 少陰人과 少陽人 病證論의 陰氣과 陽氣에 관한 槪念 | 한경석 ;박성식 | pp.11-21 |
|
|
『東醫壽世保元』에서 이용된 제조의 起源에 대한 文獻的 考察 | 권승만 ;김일환 ;박혜선 ;김효수 ;임치혜 ;초재승 | pp.22-29 |
|
|
音樂治療의 原理와 體質醫學的 접근을 위한 검토 | 이지영 ;박성식 | pp.30-40 |
|
|
체질간호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 ,2 :『동의수세보원 갑오구본』을 중심으로 | 유정희 ;안상우 ;이의주 ;송일병 ;고병희 | pp.41-53 |
|
|
신체계측법을 이용한 사상체질별·성별 체형연구 | 김종원 ;전수형 ;설유경 ;김규곤 ;이의주 | pp.54-61 |
|
|
改定된 四象體質分類檢査紙Ⅱ의 信賴度와 妥當度에 대한 硏究 | 최경주 ;최양식 ;차재훈 ;황민우 ;이수경 ;고병희 ;송일병 | pp.62-74 |
|
|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2단계 설문지(TS-QSCD)의 개발 연구 | 김영원 ;신동윤 ;김정호 ;최대성 ;임미경 ;이경로 ;송정모 | pp.75-90 |
|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상인 성격의 설문분석 | 고우석 ;이의주 ;김경수 ;고병희 | pp.91-106 |
|
|
少陽少陰人과 太陽太陰人의 汗, 大便, 小便, 消化에 관한 임상적 비교 연구 | 박효진 ;이영섭 ;박성식 | pp.107-117 |
|
|
어레이 압저항 센서를 활용한 체질맥 임상연구 | 이시우 ;주종천 ;김경요 ;김종열 | pp.118-131 |
|
|
사상체질별 혈중 호모시스테인에 관한 연구 | 이정환 ;서은희 ;하진호 ;서영호 ;박석준 ;구덕모 | pp.132-137 |
|
|
太陰人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의 四象醫學的 治療效果에 관한 임상 연구 | 김형구 ;이수경 ;송일병 ;고병희 | pp.138-146 |
|
|
太陰人 加味調胃湯의 HPLC 분석 | 황영명 ;유영법 ;김종열 ;고병희 ;이의주 | pp.147-15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4) 改訂增補 四象醫學, 集文堂 | 미소장 |
2 | (1998) 東醫壽世保元.四象醫學會刊行, 大星文化社 | 미소장 |
3 | (2001) 東醫壽世保元 甲午舊本 復元本, | 미소장 |
4 | (2003)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集文堂 | 미소장 |
5 | (1997) 韓醫學에 나타난 陰陽觀-四象醫學의 성립배경과 四象醫學에 나타난 陰陽觀, | 미소장 |
6 | (1997) 東醫壽世保元에 나타난 陰陽觀, | 미소장 |
7 | (1997) 四象臟腑論을 중심으로 한 東武의 陰陽觀, | 미소장 |
8 | (1997) 少陽人 處方에 내재되어 있는 東武公의 陰陽觀, | 미소장 |
9 | (2001) 東醫壽世保元 甲午舊本 病證論 考察, | 미소장 |
10 | (2004) 四象人 體質病證중 表病과 裏病의 개념규정에 대한 硏究, | 미소장 |
11 | (2004) 四象人 體質病證중 表病과 裏病의 개념규정에 대한 硏究,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