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아서 단토의 미술종말론과 그 근거로서 팝아트의 두 가지 함의 / 장민한 1
1. 미술의 종말과 그 이후의 미술: 무엇이든지 미술이 될 수 있는 시기 1
2. 팝아트가 지닌 첫번째 함의: 지각적 식별 불가능성과 '의미의 구현' 4
3. 팝아트가 지닌 두번째 함의: 미술에 대한 믿음체계의 변화와 내러티브의 종말 10
4. 다원주의 미술의 시대: 배타적인 미술의 종말과 미술의 역할의 변화 14
주 18
참고문헌 21
Abstract 2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또 하나의 냉전 :미군 점령기(1945-1951) 일본에서의 '민주주의'적인 프랑스 미술의 궤적 | 박소현 | pp.7-46 |
|
보기 |
앤터니 곰리의 인체조각에 표현된 신체담론 | 김은영 | pp.47-73 |
|
보기 |
아서 단토의 미술종말론과 그 근거로서 팝아트의 두 가지 함의 | 장민한 | pp.75-96 |
|
보기 |
세잔의 신화, 그 의미와 진실 | 마순자 | pp.97-126 |
|
보기 |
Werner Tübke :사회주의 이념과 그리스도교 전통 사이에서 | 김재원 | pp.127-160 |
|
보기 |
해체적 소통으로서의 미완성 :아르널프 라이너의 덧작업 | 김향숙 | pp.161-194 |
|
보기 |
한지(韓紙) :종이의 한국 미학화 | 김정희 | pp.195-236 |
|
보기 |
그림으로서 사진과 사진으로서 그림 :현대 조형예술과 사진적 사실주의의 활용 | 이경률 | pp.237-27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1997) The Artworld, | 미소장 |
2 | (1981)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 | (1986) The Philosophical Disenfranchisement of Art, Columbia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 | (1992) The Visual Arts in Post-historical Perspective, The Noonday Press Farrar | 미소장 |
5 | (2004) After the End of Art: Contemporary Art and the Pale of Histor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6 | (2000) Art and Meaning,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미소장 |
7 | (1998.12) Danto and His Critics: After the End of Art and Art History, | 미소장 |
8 | (1993) Arthur Danto's Philosophy of Art, Expression | 미소장 |
9 | (1993) The End of Art and Beyond Essays after Danto,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Inc | 미소장 |
10 | (1997) The End of Art and Beyond: Essays after Danto, NJ: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Inc | 미소장 |
11 | (1993) How Danto's Aesthetics Recapitulates the Philosophy of min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