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Hedge) 표현에 대한 연구 / 신명선 1
〈요약문〉 1
1. 서론 2
2. 헤지(hedge)의 개념과 특징 4
2.1. 헤지(hedge)에 대한 언어학적 발견 과정 4
2.2. 헤지(hedge)의 개념과 사용 동기 7
3. 학술텍스트에서 헤지(hedge)의 사용 양상 9
3.1. 가능성과 추측: 수, -겠-, 아마도, 듯하다 등 9
3.2. 일반화의 방지(전체와 부분): ~ 중의 하나, 한, 일종의 등 11
3.3. 드러내기-숨기기(주체화-객체화) 13
3.4. 한정: 거의, 주로, 크게, 비교적, 큰, 깊이 있게, 그리, 다소 등 15
3.5. 전제와 함축: 부정 표현 16
3.6. 수행성 약화 18
4. 학술텍스트에서 헤지 사용의 의미 20
5. 결론 24
□ 참고문헌 □ 24
〈Abstract〉 27
부록1. 분석 대상 자료 목록 28
본고는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hedge) 표현의 양상을 고찰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헤지(hedge)란 명제 내용의 판단을 유보하거나 수행성을 약화시키는 표현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헤지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모호성, 공손성, 양태성 등을 들 수 있다.
그 동안 국어 학술텍스트에 등장한 헤지 표현의 유발 요인으로 지적된 것은 ‘수동태’와 ‘간접 인용’ 등이다. 그런데 실제 국어 학술텍스트를 분석해 본 결과 ‘수동태’나 ‘간접 인용’ 외에 ‘하나의, 일종의, 수, -겠-, 부정 표현’ 등 다양한 요소들이 헤지 유발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헤지는 화자의 공손성의 표지로 알려져 있어 이를 사회적 약자의 소극적 언어사용 방식으로 판단하기 쉽다. 그러나 헤지는 상대와의 결속력을 강화하면서 상대를 적극적으로 설득시키는 언어사용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use aspects of hedge and a motive of hedge use. Hedge is a expression of judgement reservation and performatives weakening. The characteristic of hedge is vagueness, politeness and modality.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y, primary factors of hedge induction is passive voice and quotation. But the result of analyze the Korean academic texts, many factor is abstracted. The primary factors of hedge induction are ‘hanaui(하나의), iljongui(일종의), su(수), -get-(-겠-), the infinitive mood' etc.
It is said that hedge is a marker of politeness. And it is easy to think hedge a negative language. Because the weak mostly use hedge. But hedge is a positive marker that persuade a partner. It is a kind of communicative strategies. It is positive appeal device for tightening the union of reader.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六祖法寶壇經 諺解(上·中·下)』에서의 '을/를' 표지·무표지 양상에 대한 연구 | 박철주 | pp.5-31 |
|
보기 |
한국어 보조 용언의 상적·양태적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징 :'놓다, 두다, 버리다, 내다, 말다, 치우다'를 중심으로 | 장미라 | pp.33-60 |
|
보기 |
국어교과서의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 :7차 국어교과서 관용표현의 빈도와 교과 내용 분석을 주로 하여 | 조창규 | pp.61-86 |
|
보기 |
서부경남 지역에서의 지역화 교육 실천 사례 | 김연희 | pp.87-114 |
|
보기 |
한·중 중학교 국어교과서 바탕글 비교 연구 | 任曉禮 | pp.115-149 |
|
보기 |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hedge) 표현에 대한 연구 | 신명선 | pp.151-180 |
|
보기 |
芝峰 李수光의 外任期 詩樣相 | 김원준 | pp.181-212 |
|
보기 |
문집 소재 조선후기 민요자료 정리 및 분류 | 최재남 | pp.213-232 |
|
보기 |
김기림의 영화적 글쓰기와 문명의 관상학 | 나희덕 | pp.233-254 |
|
보기 |
김동리의 소설구성이론과 작품의 형상화 연구 | 강숙아 | pp.255-282 |
|
보기 |
텍스트의 무의식과 소설적 진실 :이상 문학의 텍스트 생산 과정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김정관 | pp.283-318 |
|
보기 |
1930년대 식민지 근대성과 제 2세대 여성소설 | 안혜련 | pp.319-340 |
|
보기 |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구어전통과 서구의 상호작용 | 양문규 | pp.341-364 |
|
보기 |
해방공간과 좌절된 열망 :엄흥섭의 해방공간 소설 연구 | 장명득 | pp.365-388 |
|
보기 |
『태백산맥』의 반동인물 | 조구호 | pp.389-408 |
|
보기 |
텔레비전 드라마 교육에 대한 장르별 접근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8종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귀은 | pp.409-437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