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식민지 시대 여행 문화의 향유 실태와 서사적 수용 양상 / 곽승미 1

국문요약 1

1. 서론 2

2. 여행의 제도화와 유행 5

2-1. 제국의 전시공간으로서의 조선 5

2-2. 철도와 신문의 기획으로서의 여행 7

3. 국외 여행의 두 시선 11

3-1. 서양 - '외부'의 응시 11

3-2. 만주 - '내부'에의 꿈 16

4. 1930년대 후반 통속소설과 여행 - '현대인'과 '쭉쟁이'의 균열 19

5. 결론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8

초록보기

근대성의 형성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여행문화가 일상에서 향유되는 실태와 서사화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여행은 일제에 의해 제도화됨으로써 일상화되었다. 일상의 영역에서 여행은 제국의 논리를 설득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되고, 한편으로는 일종의 취향으로서 유행되어 현대적인 삶의 지표로서 인식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1920년대부터 잡지에 대거 수록되는 서구 기행문은 근대적 주체의 시선을 통해 서구를 관찰하는 동시에 동양인이자 식민지주민으로서의 자기 확인 과정을 드러낸다. 여행은 서사화되230 대중서사연구 제15호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그리고 타자로서의 자기를 확인하는 계기로서 전유된다. 이것은 근대적 삶을 일상으로 하는 근대적 주체로서의 정체성과 제국 외부의 이방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부딪치며 빚어낸 균열이다. 이러한 균열은 통속적 서사 안에서 만주의 심상을 통해 상상적으로 봉합되는 국면을 맞는다. 이를 통해 볼 때 내부와 외부가 만나게 되는 여행은 식민지 조선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The Enjoyment and Narrative Appropriation to the Travel Culture in the Colonial Period

Kwag, Seung-Mi

This eassy considers how the culture of travel, in Chosun under in colonial system, which mainly takes roles in process of the formation of modernity had been enjoyed in everyday life and appropriated in narratives. Be systemized for teaching the logic of a colonial policy by Japan, travel had been usual culture in Chosun. And the people in Chosun recognized tour as an index of modern life. The experience of travel in the Occidental, Abroad Travel Literature, was both interpreted by modern subject eye and the moment of taking their bearings not as modern subject but as an Oriental and people under colonial rule. For these factor, travel in the fictions functioned exotic interests and appropriated self-recognition as the oth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성과 전개 강옥희 pp.7-52

보기
딱지본 대중소설과 신파성 이영미 pp.53-88

보기
딱지본 대중소설, 혼란과 판타지 김청강 pp.89-119

보기
근대 역사담론의 형성과 소설적 수용 :역사·전기소설과 딱지본 소설을 중심으로 이승윤 pp.121-160

보기
네이션(nation)의 서사학과 낭만성 :이태준의 『왕자 호동』을 중심으로 진영복 pp.163-197

보기
문학연구방법으로서의 '악의 상징' 박상민 pp.199-228

보기
식민지 시대 여행 문화의 향유 실태와 서사적 수용 양상 곽승미 pp.229-256

보기
시와 영화의 문법과 현대적 미학성 김용희 pp.257-286

보기
민족영화론의 변이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담론의 형성 김소연 pp.287-318

보기
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 「오빠는 풍각쟁이야」, 장유정 저 <書評> 박애경 [평] pp.321-332

보기
『국극요람(國劇要覽)』과 1930년대 극(劇)인식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1932년 일본 연극사 자료해제 양세라 pp.335-352

보기
『국극요람(國劇要覽)』 :抄譯 대중서사학회 pp.353-368

보기
구활자본 고소설 세책본 소개 유춘동 pp.369-374

보기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22.3-5) 독일 가는 길에 1-3, 미소장
2 (1922.6.) 파리와 백림, 미소장
3 (1922.8.) 독일 지방의 2주간, 미소장
4 (1922.9.) 고 라텐아우 국장 당일의 백림, 미소장
5 (1923.6.) 파란화란백이의를 여행하고셔, 미소장
6 (1924.1.) 북구열국견문기, 미소장
7 (1924.10.) 남구빨칸 반도기타 열국을 력유하고, 미소장
8 (1924.11.) 희랍. 토이기. 오지리를 보던 실기, 미소장
9 (1927.7.) 우리가 외국에서 보고 가장 경탄한 것 새 조선 사람의 본밧고 십흔 일들 영국에서 사대경탄, 미소장
10 (1928.5.) 외국에 가서 생각나든 조선 것 -음식, 미소장
11 (1927.7.) 동서 12제국을 보고 와서, 미소장
12 (1929.6.) 태평양의 노도 차고 황금의 나라 미국으로 !, 미소장
13 (1929.9.) 를 보고 다시 태서양 건너 애란으로 !, 미소장
14 (1929.11.) 부활하는 애란과 영길리의 자태, 미소장
15 (1926.11.) 양행중 잡관잡감, 미소장
16 (1926.12.) 보는 것마다 세계진물, 미소장
17 (1927.3.) 독일 백림의 첫 생활 파리로부터 백림에, 미소장
18 (1929.6.) 저들의 청춘!! 각국의 청춘생활 만사에 치밀하고 조직적인 독일청년의 특질, 미소장
19 (1930.5.) 기독구교의 성대한 기념제 광경, 미소장
20 (1930.9.) 시체의 벨당 구주대전의 고전장 기행, 미소장
21 대중서사연구 제15호, 미소장
22 (1932.12.) 쏘비엣로서아행, 미소장
23 (1933.3.) 백림과 파리, 미소장
24 (1933.4.) 꼿의 파리행, 미소장
25 (1933.9.) 백림에서 륜돈까지, 미소장
26 (1934.5.) 열정의 서반아행, 미소장
27 (1934.9.) 태평양 건너서, 미소장
28 (1934.11.) 이태리미술관, 미소장
29 (1935.1.) 이태리미술기행, 미소장
30 (1951.) 방랑의 가인, 미소장
31 (1939.8.1-1940.3.) 사랑의 수족관, 조선일보 미소장
32 (2005.)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미소장
33 (2004) 인터/내셔널리즘과 만주, 미소장
34 (2005.) 근대기행 담론 속의 기차와 차내 풍경, 미소장
35 (2004.) 근대 일본 유학생의 공간 체험과 표상 -유학생 기행문을 중심으로, 미소장
36 (2004.) 한국 근대 산문의 계보학, 소명출판 미소장
37 (2004.)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미소장
38 (2003.)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철도로 돌아본 근대의 풍경, 산처럼 미소장
39 (2004) 만주국 기행문학연구, 미소장
40 (2004.)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미소장
41 (2004.) 시각장의 변화와 근대적 심상 공간 -근대 초기 기행문을 중심으로, 미소장
42 (2004.) 서양 체험을 통한 신여성의 자기 구성 방식 -나혜석박인덕허정숙의 서양 여행기를 중심으로, 미소장
43 < 벽공무한> 의 여행모티프와 유희적 노마드, 미소장
44 (2005) 식민지 시대 여행 문화의 향유 실태와 서사적 수용 양상 255, 미소장
45 (1999.)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46 (2005.) 근대문학에 나타난 만주 표상, 미소장
47 (2004.) 1920년대 해외 기행문을 통해 본 식민지 근대의 내면 형성경로, 미소장
48 (2004.) 지역간 문명의 위계와 시각적 대상의 창안 -1920년대 해외 기행문을 중심으로, 미소장
49 (2002.)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미소장
50 (2002.)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미소장
51 (1984) and the Mode of Excess, Bolumbia Univ. Pres 미소장
52 (2002.) 문화와 제국주의, 창 미소장
53 (2000.)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미소장
54 (2006) 구경꾼의 탄생, 마티 미소장
55 (2004.) 관광과 근대성-사회학적 분석, 일신사 미소장
56 (2004) 박람회-근대의 시선, 논형 미소장
57 (2002.)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