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인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해발 800 m)에서 자라는 60~70년생 신갈나무림과 제주 한라산 지역(해발 1,000 m)에서 자라는 60년생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 고정량을 추정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5~9 본씩 총 25 본의 표본목을 조사하였다. 광양 백운산 지역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현존량은 288.4 ton/ha, 남사면은 241.9 ton/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368.4 ton/ha, 남사면은 364.3 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20.7 ton/ha/yr, 남사면 17.7 ton/ha/yr이었다.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19.0 ton/ha/yr, 남사면 21.2 ton/ha/yr로서 바이오매스 현존량과 연간 순생산량 모두 한라산 지역이 백운산 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잎의 생산 효율인 순동화율(NAR)은 백운산 지역(4.1~5.1)이 한라산 지역(3.7~4.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광양 백운산 지역에서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현존량은 5,666 GJ/ha, 남사면은 4,793 GJ/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에서 북사면은 6,550 GJ/ha, 남사면은 6,435 GJ/ha로 나타났다.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365 GJ/ha/yr, 남사면 360 GJ/ha/yr, 한라산 지역 북사면 351 GJ/ha/yr, 남사면 347 GJ/ha/yr로서 백운산 지역이 한라산 지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60- to 70-year-old Quercus mongolica stand facing northern and southern aspect in Mt. Baekwoon (800 m above sea level), Gwangyang, Jeollanam-do and in Mt. Halla (1,000 m above sea level), Jeju-do. The total biomass was 288.4ton/ha in northern aspect and 241.9 ton/ha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368.4 ton/ha in northern aspect and 364.3 ton/ha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Annual net production was 20.7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17.7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19.0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21.2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Total 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of Mt. Halla were greater than those of Mt. Baekwoon. The net assimilation rate (NAR) was 5.05 in northern aspect and 4.09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4.60 in northern aspect and 3.66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Total energy content was 5,666 GJ/ha in northern aspect and 4,793 GJ/ha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6,550 GJ/ha in northern aspect and 6,435 GJ/ha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Annual energy content was 365 GJ/ha/yr in northern aspect and 360 GJ/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351 GJ/ha/yr in northern aspect and 347 GJ/ha/yr in so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제조 온도에 따른 굴참나무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 김남훈 ;황원중 ;권성민 ;권구중 ;이성재 | pp.1-8 |
|
|
SEM-EDS를 이용한 PEG처리재 세포벽내의 PEG분포 분석 | 권구중 ;김남훈 | pp.9-14 |
|
|
무기물처리 목재의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 김건형 ;오태경 ;이원희 | pp.15-21 |
|
|
VOC analyzer를 이용한 파티클보드로부터 방산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간이 측정방법 개발 | 안재윤 ;김수민 ;김진아 ;김현중 ;문석중 | pp.22-30 |
|
|
콩기름 이용을 위한 지방산-글리세롤-pMDI와 요소수지 혼용 접착제가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 | 유영삼 ;최진림 ;서준원 ;박 헌 | pp.31-36 |
|
|
방부처리 목재를 포함한 토양매립 바이오메스의 중금속함량과 안전성 문제 | 임기표 ;이종탁 ;범정원 | pp.37-45 |
|
|
RBBR 탈색능을 이용한 목재부후균의 선발 및 이들 균의 laccase 효소활성 | 최윤정 ;신유수 ;조남석 | pp.46-53 |
|
|
광양 및 제주 지역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 권기철 ;이돈구 | pp.54-65 |
|
|
월악산 24년생 잣나무 인공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 권기철 ;이돈구 | pp.66-75 |
|
|
국내산 주요 침엽수 잎의 추출성분 ,2 :화백나무(Chamaecyparis pisifera (Sieb. et Zucc.) Endlicher)잎 추출성분 및 항산화 활성 | 이상극 ;배영수 | pp.76-8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6)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탄소 고정량 및 에너지 고정 효율 -위도 사면을 중심으로-, | 미소장 |
2 |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원광대학교 출판국 | 미소장 |
3 | (2003) 광양 평창 영동 지역 신갈나무 임분의 현존생물량 및 순생산량, | 미소장 |
4 | (2001) 공주 포항 그리고 양양 지역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5 |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6 | (2003) 강원도 춘천지역 신갈나무 임분과 굴참나무 임분의 물질생산, | 미소장 |
7 | (1996)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8 | (1974) 자원에너지와 활동한계, | 미소장 |
9 | (1998) 경기도 포천지방 35년생 잣나무인공림의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0 | (1987) 삼림생태계의 에너지 생산구조와 이용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1 | (2005) 산림 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발효열교환장치 개발, 농림부 농림기술관리센터 | 미소장 |
12 | (1990)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 - 제2장 생태연구 편, 과학기술처 | 미소장 |
13 | (1986) 한국의 소나무 및 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유기Energy 생산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4 | (1981) 15년생 낙엽송임분의 성장 및 생산구조, | 미소장 |
15 | (1981) Physiognomy and phytosociology of the international woodland research sites pages 1-35 in D Dynamic Properties of Forest Ecology, Cambridge Univ Press | 미소장 |
16 | (1997) Forest Ecology 2nd ed., Prentice-Hall Inc | 미소장 |
17 | (1967) Comparative ecological studies on three main type of forest vegetation in Thailand - IV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hao Chong rain forest, | 미소장 |
18 | (1944) Estimation of amount of foliage of trees and stands, | 미소장 |
19 | (1970) Methods for ensuring additivity of biomass components by regression analysis, | 미소장 |
20 | (1965) turnover and mineral cycling in woodlands, | 미소장 |
21 | (1979) Estim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removal Proceedings of Impact of Intensive Harvesting on Forest Nutrient Cycling, | 미소장 |
22 | (1958) Provisional yield tables for oak and beech in Great Britain, | 미소장 |
23 | (1966) Forest dimension and production in the Great Smoky Mountains, | 미소장 |
24 | (1972) Primary productivity of red alder ecosystem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