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 강연욱 1
[요약] 1
[머리글] 2
방법 3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절차 5
결과 5
논의 8
참고문헌 9
[요약] 1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 강연욱 | pp.1-12 |
|
보기 |
아동 증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곽금주 ;이승진 | pp.13-40 |
|
보기 |
게슈탈트 집단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기개념,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여자 가출청소년을 중심으로 | 김민정 ;김정규 | pp.41-57 |
|
보기 |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 pp.59-75 |
|
보기 |
단어의미추론에서 상호배타성은 어휘적 제약인가 학습된 책략인가? | 이현진 | pp.77-89 |
|
보기 |
각성형과 회피형의 만성적 지연행동 측정 :Ferrari가 제안한 방법은 타당한가? | 임성문 | pp.91-102 |
|
보기 |
Psychotherapy in South Korea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 Eunsun Joo | pp.103-120 |
|
보기 |
알코올의존의 재발 모형 개발 :심리적 위험요소 중심으로 | 채숙희 | pp.121-142 |
|
보기 |
질투의 성차와 문화차 :한국과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 함진선 ;이장한 | pp.143-15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3) 서울신경심리검사(SNSB), | 미소장 |
2 | (1997)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 미소장 |
3 | (1989) 노인용 한국판 준화 연구 MMSE-K의 개발, | 미소장 |
4 | (1999) 도시지역 노인들의 치매유병률에 관한 단면조사연구, | 미소장 |
5 | (1989) 의 표준화 연구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 미소장 |
6 | (1996)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연령 교육수준이 한국판 MMSE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7 | (1995) How does education affect cognitive function? Annals of Epidemiology, | 미소장 |
8 | (1999) Social disengagement and incident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 미소장 |
9 | (1968) The association between quantitative measures of dementia and of senile change in the cerebral grey matter of elderly subject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미소장 |
10 | (1996) The neuropsychology of dementia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1 | (1998)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ill we be using it in 2001?, | 미소장 |
12 | (1991) A cognitive battery for dementia, | 미소장 |
13 | (1984)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neurological patients Journal of Neurology, | 미소장 |
14 | Heyman, (1987) Comparison of two screening tests in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 미소장 |
15 | Hughes, (1988) Relation of health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 among community residents, | 미소장 |
16 | Folstein, M. F, (200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linical guide, | 미소장 |
17 | & McHugh, (1975189-198)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 미소장 |
18 | Hofstetter, (1990)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ementia Archives of Neurology, | 미소장 |
19 | Grigoletto, F, (1999)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a healthy population, | 미소장 |
20 | Hasegawa, (1983) The clinical assessment of dementia in the aged A dementia screening scale for psychogeriatric patients Highlight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f Gerontology, | 미소장 |
21 | Katzman, (1983) Validation of a short Orientation-Memory- Concentration Test of cognitive impair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미소장 |
22 | Kawas, C, (2000) Age-specific incidence rates of Alzheimer's disease The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미소장 |
23 | Mattis, (1976) Mental status examination of organic mental syndrome in the elderly patients, | 미소장 |
24 | Katzman, (1984)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 미소장 |
25 | O'Conner, (1989) The influence of education social class and sex on Mini-Mental State scores, | 미소장 |
26 | (1975) A short portable mental status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organic brain deficit in elderly patients, | 미소장 |
27 | (1991) Physical basis of cognitive alterations in Alzheimer's disease Synapse loss is the major correlate of cognitive impairment Annals of Neurology, | 미소장 |
28 | (1986) A correlational analysis of the Blessed Information-Memory-Concentration test and the Mini-Mental State Exam, | 미소장 |
29 | (2002) An adaptation of the modifi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alysis of demographic influences and normative dat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