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 : 주거지를 중심으로 / 김현식 1

요약 1

I. 머리말 2

II. 검단리유형에 대한 보론 3

1. 검단리유형의 핵심 요소 3

2. 흔암리유형과 검단리유형과의 관계 5

III.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 6

1. 검단리식토기의 형성과정 6

2. 울산식주거지의 형성과정 8

3. 울산식주거지의 공간구조와 거주형태 17

4. 흔암리유형에서 검단리유형으로 22

IV. 검단리유형의 출현배경 24

V. 맺음말 27

참고문헌 29

〈보고서〉 29

〈국내논문 및 저서〉 29

〈국외논문 및 저서〉 31

[요약] 32

초록보기

검단리유형은 검단리식토기와 울산식주거지라는 2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 영남지방 동남해안지역의 고고학적문화이다. 검단리식토기는 흔암리토기의 복합문양이 단순문양으로 변화하고 시문수법이 간략화되는 과정에서에 형성된 토기이며, 울산식주거지는 흔암리유형의 관산리식·미사리식주거지 등의 대형 주거지가 주거면적의 소형화, 노지의 감소, 노지위치의 정형화, 주혈배치의 4각구도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주거지이다. 검단리유형은 동남해안지역에 들어온 흔암리유형이 進化한 유형이며 시기상으로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의 송국리유형과 동시기에 해당된다. 울산식주거지의 내부공간은 작업·저장·수면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개별세대가 거주했던 주거로 추정된다. 검단리식주거지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 중기의 주거지인 송국리식 주거지와 공간구조, 취락에서의 면적분포, 증축행위의 존재, 환호취락의 존재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은데 이는 양 주거지가 주거양식, 사회발전단계에 있어 동일한 단계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흔암리유형의 대형주거지에서 울산식주거지로의 변화는 단위집단이 세대공동체에서 개별세대로 분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검단리식토기는 토기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에서 출현한 토기이다.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의 흔적은 다른 물질문화의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이런 단위집단의 변화와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으로 사회전체의 생산성이 향상되었을 것이다.

The Goemdan-ri Assemblage is an archeological culture identifying Ulsan type dwelling sites, Goemdan-ri type pottery, and small type stone coffins. Although the Goemdan-ri Assemblage

displays a unique regional color, Heunam-ri Assemblage elements can also be identified. Goemdan-ri pottery transitioned from Heunam-ri pottery and Ulsan type dwelling sites transitioned from large type dwelling sites. Also, Goemdan-ri type settlement structures have many similarities to Heunam-ri type settlement structures. This is similar to the assertion that settlement structures are transitioning of household-community. Hence, the Goemdan-ri Assemblage is an assemblage uniquely developed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at came into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and the Goemdan-ri Assemblage can be chronicled as a metaphase of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연구 :고남리패총을 중심으로 안덕임 pp.5-20

보기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中西部地域 遺蹟을 中心으로 朴性姬 pp.21-47

보기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 :주거지를 중심으로 김현식 pp.49-80

보기
長興 上芳村 炭化穀物의 經濟的 解釋 安承模 pp.81-113

보기
全南地域 四柱式住居址의 構造的인 變遷 및 展開過程 鄭一 pp.115-141

보기

참고문헌 (9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社)慶南考古學硏究所, 2002, 『晋州大坪玉房1• 9地區無文土器時代聚落』. 미소장
2 2000,『蔚山鳳溪里遺蹟』,嶺南大學校博物館. 미소장
3 (財)嶺南大學博物館, 2001,『浦項 大連里遺蹟』. 미소장
4 嶺南文化財硏究院, 2000,『浦項 草谷里遺蹟』. 미소장
5 嶺南文化財硏究院, 2001,『慶州 舍羅里 遺蹟』Ⅱ. 미소장
6 嶺南文化財硏究院, 2002, 『蔚山川上里聚落遺蹟』 미소장
7 嶺南文化財研究院, 2002,『大邱 西邊洞聚落遺蹟 I 』 미소장
8 嶺南文化財研究院, 2003,『薪山倉坪洞遺蹟』. 미소장
9 (財)嶺南文化財硏究院, 2005,『淸道 陳羅里遺蹟』. 미소장
10 2003,『蔚山 新峴洞 黃土田遺蹟』, 蔚山文化財硏究院, 미소장
11 (財)蔚山文化財硏究院, 2004, 『蔚山 校洞里456遺蹟』. 미소장
12 (財)蔚山文化財硏究院,2004, 『蔚山 華亭洞遺蹟』. 미소장
13 (財)蔚山文化財硏究院,2004,『蔚山 孝門洞 竹田谷遺蹟 • 孝門洞遺蹟』. 미소장
14 蔚山文化財硏究院, ,2005,『蔚山 川上里 平川遺蹟』. 미소장
15 (財)蔚山發展硏究院, 2003,『蔚山 西部里 南川遗蹟』. 미소장
16 慶南大學校博物館, 2004, 『蔚山 九英里遺蹟』. 미소장
17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연구소(대우 공), "館山里遺蹟.Ⅰ", 高麗大學校 埋藏文化硏究所, 1996 미소장
18 , 2001, 『寬倉里遺蹟』, 高麗大學校埋藏文化財研究所. 미소장
19 1998 ,『白石洞遺蹟』(公州大學校博物館). 미소장
20 東國大學慶州캠퍼스博物館, 1996, 『錫杖洞遺蹟』. 미소장
21 東國大學慶州캠퍼스博物館, 1998, 『錫杖洞遺蹟Ⅱ』. 미소장
22 東國大學慶州캠퍼스博物館,2002,『錫杖洞遺蹟Ⅱ•王京遺蹟Ⅰ』. 미소장
23 渼沙里先史遺蹟發掘調査團, 1994,『渼沙里』1~5. 미소장
24 , 1993,「金海 禮安里古墳群 出土人骨(2)」 『金海 禮安里古墳群』Ⅱ, 釜山大學校博物館. 미소장
25 1995,『蔚山檢丹里마을遺蹟』釜山大學校博物館. 미소장
26 梁山新平遺蹟 소장
27 蔚山大學校博物館, 2001,『울산연암동유적』. 미소장
28 上摹里遺跡 소장
29 2003 『蔚山 芳基里 靑銅器時代聚落』, 國立昌原大學校博物館. 미소장
30 2003, 『南江流域 無文土器文化의 變遷』 (慶北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미소장
31 한국 고대의 聚落과 住居 소장
32 , 2004,「선사 • 고대 논의 발굴사례 검토」, 『발굴사례연구논문집』창간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전문기관협회. 미소장
33 , 2005.「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환경과 생업」,『영남의 청동기시대 문화』,嶺南考古學會. 미소장
34 蔚山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立地에 대한 檢討 : 生業과 關聯하여 소장
35 , 2000, 「金海 禮安里遺蹟의 再檢討 - 性 • 年齡을 통한 社會搆造 復原 試案」, 『韓國 古代史와 考古學 -鶴山 金廷鶴博士頌壽紀念論叢』, 학연문화사. 미소장
36 Chronology and Social Changes of Dwellings in the Korean Bronze Age 소장
37 김운회, "역사변동에 대한 일반이론", 신학문사, 1990 미소장
38 靈岩郡 月松里의 石器文化 : 三角形石刀를 中心으로 소장
39 , 1974,「無文土器文化期의 住居址」,『考古學』3. 미소장
40 , 1993,「金海 禮安里古墳群 出土人骨(2)」 『金海 禮安里古墳群』Ⅱ, 釜山大學校博物館. 미소장
41 ,1994, 『建築用語辭典』, 技文堂. 미소장
42 金賢植,2003,「Ⅳ. 考察-黄土田遺蹟 無文土器時代 聚落에 대하여」,『蔚山 新峴洞 黄土田遺蹟』, 蔚山文化財硏究院. 미소장
43 蔚山式 住居址의 增築과 社會的 意味 소장
44 2003「嶺南地域 靑銅器時代文化의 變遷」,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4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wanchang-ri B Site Based on the Analysis of Polished Stone Tools 소장
46 欣岩里類型 形成過程 再檢討 소장
47 Establishment of Geomdan-ri Culture 소장
48 2001,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 聚落의 構造와 變化」 『한국농경문화의형성』 제 25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미소장
49 松菊里型住居址의 復元的 考察 소장
50 Principles of Darwinian Evolutionary Archaeology 소장
51 「稻作의 出現과 擴散」, 『韓國 古代의 稻作文化』, 국립중앙박물관학술심포지움 발표요지, 2000, pp.1-20. 미소장
52 南韓 前期無文土器의 編年 : 嶺南地方의 資料를 中心으로 소장
53 松菊里類型의 檢討 소장
54 1996, 「無文土器時代 聚落의 變遷」,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釜山考古學委員會. 미소장
55 The Formation of Agricultural Society in Korea 소장
56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소장
57 ,2006b,『彌生時代 中型壺의 編年』,『石軒鄭澄元教授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論叢刊行委員會. 미소장
58 ,2005.「"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주거와 마을"에 대한 토론」,『영남의 청동기시대 문화』, 嶺南考古學會. 미소장
59 ,1992,「松菊里型 住居址分類試論」,『擇窩許善道先生停年退任記念韓國史論叢』, ᅳ朝閣. 미소장
60 Change in settlement pattern in the Plain Pottery Age of Chungnam, Korea 소장
61 ,『檢丹里式土器에 대한一考察』,釜山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62 『고고학개론』(서울: 이론과 실천, 1988) 미소장
63 松菊里型 住居址에 대한 硏究 소장
64 松菊里型 住居址의 청동기시대에 대한 試論 소장
65 2002「韓國靑銅器時代 前期中部地域 無文土器編年研究」,忠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66 寬倉里聚落의 景觀, 송국리문화를 통해 본 농경사회의 문화체계,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2005. 미소장
67 形式學的 方法의 問題點과 順序配列法(seriation)의 檢討 네이버 미소장
68 相對年代決定法의 綜合考察 소장
69 , 1995,「東아시아의 環濠聚落」, 『 蔚山 檢丹里 마을遺蹟 』, 釜山大學校博物館. 미소장
70 ,2001,『蔚山型 住居址에 대한 硏究』, 慶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71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oldae Mun' Pottery in Korea 소장
72 2006, 「영남지방 무문토기시대 중기로의 문양구성 변화」 , 『石軒 鄭澄元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미소장
73 『고고학 입문』. 서울: 학연문화사, 2005. 미소장
74 ,2005,「所土里遺跡에서 본 松菊里文化의 ―斷面」, 『蔚山 所土里 松菊里文化遺蹟』. 미소장
75 文化人類學槪論 네이버 미소장
76 An Examination of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Polished Stone Projectile Points of the Mumun Pottery Period 소장
77 The Change of Physical Environment During Holocene and Human Life of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aehwa River in Prehistoric Times in Ulsan, Korea 소장
78 2006,「船形石器에 대한 考察」『石軒鄭澄元敎授 停年退任記念論叢』,签山考古學硏究會. 미소장
79 嶺南地域의 無文土器時代 地域性硏究 네이버 미소장
80 玉 關聯 遺物을 통해 본 晉州 大坪 聚落의 分業體制 소장
81 Settlement Patterns of Yeoksam-dong Assemblage in Central-western Korea 소장
82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아침, 1991 미소장
83 (2004),『집(6,000년 인류주거의 역사)』,서울:다우. 미소장
84 『고대사회』(문화문고, 2000) 미소장
85 Charles Darwin 외 3명, "종의 기원 : 사진과 그림으로 읽는다", 한길사, 1994 미소장
86 , 1984,「東南アシア燒畑農耕民の集落」,『季刊考古學』7. 미소장
87 , 1959,「共同體と 單位集團」, 『考古學硏究』第六券 一. 미소장
88 , 1975, 「家とムラ」, 『日本的生活の母胎』日本生活文化史 1. 미소장
89 1989,『日本農耕社會の成立過程』,岩波書店. 미소장
90 , 1966,「集落と共同體」,『日本の考古學』古墳時代 下.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