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과학 교과에서 단위를 학습하는 목적은 기본적으로 과학 분야의 학습과
연구를 위한 기초 소양을 기르고 일상생활에서 물리량에 대한 정보를
과학적으로 교환하는 기본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단위 학습의 기본 교재인 교과서에서 단위
관련 내용이 올바르게 기술되어 있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와
관련이 깊은 과학, 수학, 기술가정 교과서의 단위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그 주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초중등 교과서의 단위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단위에 대해 본격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기 전에 연습문제나 실험을
통해서 단위를 미리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에 비해 중학교에서는 비교, 어림, 측정 활동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단위 수치의 비교를 통하여 양감을 학습하는 내용이
부족했다. 또한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수치를 예제에서 제시한 경우가
있었다. 이밖에 실생활에 사용된 단위 예의 빈도가 과학 교과서는 수학
교과서에 비해 적었고, 단위 표기에 있어서도 국제단위계(SI) 표기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단위 교육과
관련하여 교과서 개발시 학습 전 단위의 선행제시, 양감 형성을 위한
자료, 생활 속 단위의 예 등과 관련 내용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units would be to
foster students' fundamental literacy for the study and research of
science and to bring their basic ability up to scientifically
communicate information of physical entities in everyday contexts.
Thus, the contents related to scientific units in school textbooks,
which are the main means for learning units must be described
properly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For that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units appeared in school
textbooks. The target textbooks were those belonging to the subjects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 Home Economy in Grades 1
- 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tudents rarely came across units through exercise problems
and manuals for experiments before the study of units. Although the
units related to electricity are usually experienced in our daily
lives, they are studied only after middle school. Secondly, there
was a decrease of the contents related to estimation and measurement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s compared with those of
elementary schools. Thirdly, the contents for providing the sense of
quantity were insufficient. Fourthly, the examples or exercise
problems were presenting rather impractical and unreal numerical
values of physical entities. In addition, examples of using units in
real life situations were less frequently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than in mathematics ones. Finally, there were some cases
of violating the notation rule of SI.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in future development
of textbooks to the early presentation of units before the study of
scientific units, materials for improving students' sense of
quantity, and concrete examples of units used in our daily live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교과서의 과학 단위 관련 내용 분석 | 한창민 ;송진웅 | pp.1-9 |
|
|
컴퓨터기반실험(MBL)을 적용한 Wien의 변위법칙 실험장치의 제작 | 류성주 ;정기주 ;이기원 | pp.10-15 |
|
|
현대 물리 개념 설명과 이해과정에서 시각 이미지의 역할 | 최재혁 | pp.16-20 |
|
|
백스터-우(Baxter-Wu) 모형의 질서 변수와 에너지의 비평형 임계 완화 | 남기권 | pp.21-28 |
|
|
탐촉자형 리크검출기의 추적가스와 측정조건에 따른 검출 특성 | 홍승수 ;임인태 ;김진태 ;신용현 | pp.29-34 |
|
|
열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미세액적의 제어 | 송채연 ;김기범 ;박혁규 | pp.35-39 |
|
|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제작한 Y₂O₃ 박막의 열전도도 연구 | 박건형 ;양호순 ;김종욱 ;홍경수 | pp.40-45 |
|
|
패턴 된 전극에 유전 전기영동 (Dielectrophoresis ; DEP) 방법을 이용한 GaN 나노와이어의 정렬 및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응용 | 이승용 ;김태홍 ;이상권 | pp.46-51 |
|
|
전반사 방법을 이용한 표면 근처 액정의 동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백도현 ;임동건 | pp.52-5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1999) Research of Science Education, | 미소장 |
2 | (1983) IntroductoryTopics in the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 | (1984) Aspects of Secondary Students’Understanding of Energy CLISP Centre for Studies in scientific andMaths Education, Leeds University | 미소장 |
4 | (1998)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SI), France | 미소장 |
5 | (1994) Measurement in the MiddleGrades, Inc. | 미소장 |
6 | (1987) Journal of Korea Association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7, | 미소장 |
7 | (1991) Journal of Korea Association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1, | 미소장 |
8 | (1989)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Mathematics, Inc. | 미소장 |
9 | (1987)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in Science Education 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