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동물의 권리에 대한 윤리적 논의의 현황:동물해방론과 동물권리론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허남결 1

ㆍ한글요약 1

I. 머리말;왜 동물의 권리인가? 3

II. 동물권의 논의에 있어서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의 역사 6

1. 고대의 인도 종교 6

2. 유대-기독교적 전통 7

3. 데카르트 8

4. 칸트 8

5. 사회계약론 9

III.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11

1. 이익 동등고려의 원리 11

2. 비판 ①;폴란(Michael Pollan)의 동물복지론 13

3./(3) 비판 ②;프레이(R. G. Frey)의 불평등-가치 테제 개념 15

IV. 톰 레건의 동물권리론 16

1. 내재적 권리론 16

2. 비판 ①;마찬(Tibor R. Machan)의 도덕적 선택론 18

3./(3) 비판 ②;워렌(Mary Anne Warren)의 약한 동물권리권 19

V. 맺음말;향후 동물권 논의의 전망 21

1. 바너(Gary E, Varner)의 대화론 21

2. 캘리코트(J. Baird Calljcott)의 환경론적 입장 22

3. 사고프(Mark Sagoff)의 전망;권리론(해방론) 또는 복지론에서 환경론으로?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7

초록보기

서구사회에서 동물의 권리 내지는 해방론이 대두된 것은 그들의 전통적 동물관이 수정되고 있음을 뜻한다. 인간은 동물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서양인들의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은 유대-기독교적 전통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제기된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은 이런 서양인들의 전통적 윤리의식을 근본적으로 뒤흔들어 놓았다. 이 논문은 싱어의 문제제기 이후 전개된 일련의 동물권리 논쟁들을 간략하게 정리해 본 것이다. 동물의 권리와 관련된 논의들은 크게 동물해방 또는 복지론과 동물권리론으로 나누어진다. 싱어의 이익동등고려의 원리는 전자를, 그리고 레건의 내재적 권리론은 후자의 입장을 가각 대표한다. 동물해방(복지)론이 동물들의 현실적 고통을 제거하고자 한다면, 동물권리론은 모든 동물의 내재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후자는 전자 보다 훨씬 더 급진적이다. 본문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찬반양론들이 자세하게 소개되고 있다. 끝으로 필자는 동물의 권리 논재도 궁극적으로는 생태계 전체의 관점에서 이해되고 조명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환경론자들의 견해을 소개하면서 결론을 대신하고 있다. 참고로 목차를 보면 논지의 전개과정과 내용 및 언급되고 있는 학자들의 입장을 대강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죽음의 문제에 대한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임승택 pp.7-22

보기
티베트 불교와 샤마니즘 이희재 pp.23-42

보기
조선중기 도학자의 대 승려시 연구 :박순과 이이의 시를 중심으로 金相日 pp.43-62

보기
조선시대 문헌 소재 불교설화의 양상과 의미 박상란 pp.63-84

보기
유ㆍ불 문화논쟁에서 본 종병의 세계관 및 예술관 ,1 김연재 pp.85-110

보기
잉여냉동배아의 이용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불교적 입장 곽만연 pp.111-132

보기
조계종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방안 조기룡 pp.133-151

보기
밀교의 현신사상의 형성 고찰 배관성 pp.153-170

보기
동물의 권리에 대한 윤리적 논의의 현황 :동물해방론과 동물권리론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허남결 pp.173-199

보기
동물해방과 불살생 신성현 pp.201-216

보기
선사들의 삶을 통해 본 동물의 도덕적 지위 서재영 pp.217-239

보기
Buddhist Studies and Indology in Germany and Austria :Background, History, Contexts and Methodology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불교학과 인도학 : 배경, 역사, 맥락들과방법론 Karin Preisendanz ;우제선 ;강성용 역 pp.243-272

보기
インド佛敎硏究の回顧と展望 =인도불교의 회고와 전망 桂紹隆 ;김수아 역 pp.273-304

보기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2) 생명윤리의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미소장
2 (1999)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미소장
3 (2000) 동물권과 동물해방 , 미소장
4 (2003년) 인간과 동물간 무경계적 인식과 실천 불교와 동물해방론의 경우, 미소장
5 (2003) 실천 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미소장
6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 of Morals and Legislation, 미소장
7 (2001)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미소장
8 (1999) Moral Standing, the Value of Lives, and Speciesism, 미소장
9 (1999) Vivisection, Morals and Medicine: An Exchange, 미소장
10 (1993) A Companion to Ethics, 미소장
11 (2002)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Understanding Ethics, Indianapolis; Alpha Books 미소장
12 (1996) Appling Ethics; A Text with Readings 5th ed, Belmont :CA; Wadsworth 미소장
13 (1963) Lectures on Ethics, 미소장
14 (1999) Bioethics; An Anthology, Oxford; Blackwell 미소장
15 (1999) Ethics in Practice; An Anthology, Oxford; Blackwell 미소장
16 (1996) Do Animals Have Rights?, in Jeffrey Olen & Vincent Barry 미소장
17 (2003) Outcome Uncertain; Cases and Contexts in Bioethics, Belmont, CA; Wadsworth 미소장
18 (2004) The Unnatural Idea of Animal Rights Morality in Practice, Belmont, CA; Wadsworth 미소장
19 (2001) Environmental Ethics; Readings in Theory and Application, Belmont, CA; Wadsworth 미소장
20 (1999) The Case for Animal Rights, 미소장
21 (2002) Environmental Ethics; What Really Matters, What Really Work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2 (1995) Animal Liberation 2nd ed, 미소장
23 (1998) The Prospects for Consensus and Convergence in the Animal Rights Debate, Belmont, CA; Wadsworth 미소장
24 (2001) A Critique of Regan's Animal Rights Theory, 미소장